항목
-
<친일인명사전> 발간민족문제연구소와 친일인명사전 편찬위원회가 <친일인명사전>을 발간했다. <친일인명사전>은 일제강점기에 부역 행위를 한 한국인의 명단과 행적을 담은 책이다. 해방 후 반민특위(반민특위의 와해 참조)가 좌절되면서 미뤄진 친일 청산 과제를 학술적으로 풀자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 시대 :
- 2009년 11월 8일
- 국가/대륙 :
- 한국
-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관료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관료는 2009년 11월 8일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관료 분야에 분류된 이들의 명단이다. col-3 강경희 (康璟羲) - 경찰 강계항 (姜啓恒) 강규원 (姜奎元) 강근하 (姜根河) 강대철 (姜大喆) 강명옥 (康明玉) 강보형 (姜寶馨) - 경찰 강봉서...도서 위키백과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경찰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경찰은 2009년 11월 8일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경찰 분야에 분류된 이들의 명단이다. col-3 강경희 (康璟羲) - 관료 강낙중 (姜洛中) 강난희 (姜蘭熙) 강남기 (姜南奇) 강노영 (姜老永) 강덕호 (姜德鎬) 강만표 (姜萬表) 강면욱 (姜冕昱...도서 위키백과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중추원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중추원은 2009년 11월 8일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조선총독부 중추원 분야에 분류된 이들의 명단이다. col-2 강경희 (姜敬熙) 강동희 (姜東曦) 강번 (姜藩) - 경제 강병옥 (康秉鈺) 강이황 (姜利璜) 강필성 (姜弼成) - 관료 고영희 (高永...도서 위키백과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수작/습작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수작/습작은 2009년 11월 8일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조선귀족 작위를 수작했거나 습작한 이들의 명단이다. col-2 고영희 (高永喜) - 매국, 중추원 고중덕 (高重德) - 고흥겸의 습작 고흥겸 : 고영희의 습작 - 중추원 권중현 (權重顯...도서 위키백과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매국은 2009년 11월 8일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 을사조약과 한일신협약,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는 과정에 가담한 이들의 명단이다. 권중현 (權重顯) - 수작/습작, 중추원 박제순 (朴齊純) - 수작/습작, 종교 이근택 (李根澤) - 수작...도서 위키백과
-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제국의회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 제국의회는 2009년 11월 8일에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자 명단 중에서 일본 제국의회 의원으로 분류된 이들의 명단이다. 김명준 (金明濬) - 중추원, 친일단체 박상준 (朴相駿) - 중추원, 관료, 종교 박영효 (朴泳孝) - 수작/습작, 중추원, 관료 박중양...도서 위키백과
-
민족문제연구소 民族問題硏究所, Institute for Research in Collab..강만길·함세웅·최병모를 공동대표로 하여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시민연대를 발족했다. 2005년 4월에는 일제협력단체사전으로 단재상을 수상했다. 2009년 11월에 친일인명사전을 발간했으며, 2012년 역사 다큐멘터리 ‘백년전쟁’을 제작했다. 한편, 2007년부터는 시민역사관건립위원회와 함께 식민지역사박물관의...
- 설립 :
- 1991년 2월 (반민족문제연구소)
- 소재지 :
-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7다길 27
- 사이트 :
- https://www.minjok.or.kr
-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親日反民族行爲眞相糾明委員會이광수(이상 소설가), 김기창(화가), 현제명(작곡가) 등은 포함되었다. 1~3기의 친일인사는 총 1,005명이다. 민간단체인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된 친일인사 4,389명에 비해 적은 수의 인사를 선정하게 된 것은 위원회가 '일제강점하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2...
-
김영화 金永華, Kim Yeong-hwa북한으로 가게 된 경위는 분명치 않으며, 자진 월북이라는 설과 납북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후의 행방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2008년 발간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 예정자 명단의 연극영화 부문에 이름이 올라있다. 작품세계 일본 유학파였던 김영화는 영화감독 이규환의 소개로 일본 '신코시네마...
- 출생 :
- 1913년
- 본명 :
- 김영화 (金永華 , Kim Yeong-hwa)
- 데뷔 :
- <아내의 윤리(안해의 윤리)>(A Wife's Moral, 1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