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연합] 2006년 > 경제 > 정보통신 > 유선통신 > 와이브로 상용화 모바일 무선인터넷 와이브로 사업자인 KT와 SKT는 시범서비스를 종료하고 6월 30일부터 세계 최초로 상용서비스에 돌입했다. 와이브로는 시속 60㎞로 이동중에도 사용이 가능한 차세대 무선인터넷 서비스로, 데이터 전송속도(기지국 기준으로 상향 5.5Mbps, 하향 20Mbps)가 최근 상용화된 이동전화 기반의 HSDPA(고속...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8년 > 경제 > 정보ㆍ통신 > 유선통신 > 와이브로의 새로운 도전 달리는 차안에서도 무손 초고속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와이브로가 2008년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 와이브로 주 사업자인 KT는 5월 경기도와 와이브로 서비스 지역확대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데 이어 10월 경기도 전역에 광역 무선초고속인터넷 네트워크 구축을 마무리했다. 경기도에 적용된 와이브로 기술은 KT가...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9년 > 경제 > 정보ㆍ통신 > 통신정책 > 와이브로 신규사업자 허용 새롭게 진입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신규 사업자는 기존 사업자와 기지국과 로밍을 공용화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2009년 11월 KT와 SK텔레콤 등 두 와이브로 사업자가 허가조건을 이행치 못한 것으로 보고 시정명령 및 이행촉구 결정을 내리고 국내 와이브로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정부는 먼저...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5년 > 경제 > 정보통신 > 유선통신 > 와이브로 사업자 선정 정보통신부는 2005년 1월 와이브로(휴대인터넷-무선초고속인터넷) 사업자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KT, SK텔레콤, 하나로 텔레콤 등 사업권을 신청한 사업자는 모두 사업권을 받았다. 와이브로 서비스는 사업 개시 7년 만에 가입자 1천400만과 4조 원의 시장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시장 규모 4조 원은 2004년...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7년 > 경제 > 정보ㆍ통신 > 유선통신 > 와이브로 국제 표준 채택 2007년 한국이 최초로 개발한 와이브로가 3세대(G) 이동통신의 여섯 번째 표준으로 채택됨에 따라 한국 통신산업 30년의 자존심을 지키는 것은 물론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하게 됐다. 2007년 10월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파총회(RA: Radio Assembly)가 와이브로를 포함하는 모바일 와이맥스...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6년 > 자료편 > 법령ㆍ자료 > 2006년 100대 뉴스 > 87. 삼성 와이브로 복합단말기 세계 최초 개발 삼성전자가 와이브로(휴대인터넷)와 음성ㆍ화상통화가 동시에 가능한 모바일 컨버전스 시대의 첨단 디지털기기를 세계 최초로 선보이면서 와이브로 확산작업에 본격 돌입했다. 삼성전자 이기태 사장은 2006년 11월 7일 오전 각국 통신사업자들과 시장조사기관 등 IT업계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7년 > 자료편 > 법령ㆍ자료 > 2007년 100대 뉴스 > 89. 와이브로 기술, 국제표준으로 채택 G)의 6번째 국제표준으로 채택됐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10월 18일 오후 제네바 국제회의센터에서 진행된 전파총회(Radio Assembly) 본회의에서 한국의 와이브로 기술을 3G 국제표준으로 승인했다. 휴대인터넷 또는 모바일 와이맥스로 불리는 와이브로는 이동 중에도 광대역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무선통신 서비스...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10년 > 자료편 > 주요 자료 > 2011년에 달라지는 것 > 방송통신 > 와이브로(WiBro) 서비스 전국 82개 시로 확대 현재 수도권 및 광역시 위주로 제공되는 있는 와이브로 서비스가 2011년 4월부터 전국 82개 시로 확대된다. 또한 경부ㆍ중부ㆍ영동ㆍ호남 고속도로 외에도 추가로 서해안ㆍ남해ㆍ신대구부산 고속도로에서도 와이브로 서비스가 제공될 예정이다.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5년 > 경제 > 정보통신 > 단말기 > 와이브로 등 개발 계속 국내 업체들은 외형적인 성장 외에도 기술 개발 등 질적인 측면이 큰 진전을 보였다. 특히 ‘빅3’의 치열한 카메라폰 화소전쟁이 이어지면서 삼성전자가 500만 화소 카메라를 세계 최초로 선보이며 300만 화소에 그친 일본을 추월, 카메라폰 부문에서 선두를 달리기 시작했다. 3G(3세대) 단말기인 W-CDMA(광대역코드...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5년 > 경제 > 정보통신 > 단말기 > DMB 세계시장 선점 가능 한국의 독자 기술로 완성한 지상파DMB와 휴대인터넷(와이브로)이 2006년을 기점으로 세계 시장을 선점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의 독자적인 기술로 모바일 아이맥스 분야 국제표준으로까지 채택된 와이브로는 KT가 2006년 4월부터 수도권 지역에서 본격 상용화한다. 이동통신 사업자인 SK텔레콤도 KT에 이어...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5년 > 경제 > 정보통신 > 정보화정책 > 정보통신정책 핵심기술 확보 및 국제 표준화를 선도함으로써 글로벌 시장 선점의 기반을 마련했다. IT 839 전략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서비스 도입 및 시범사업과 연계해 와이브로 상용제품, 네트워크기반 지능형 서비스로봇 등 핵심기술을 개발해 신규시장을 창출했고 와이브로, 지상파DMB의 지속적인 국제 표준 반영 등을 통해...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8년 > 경제 > 정보ㆍ통신 > 정보화정책 > 주파수 정책 방통위는 와이브로에 010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음성탑재를 허용하기로 했다. 2009년부터는 이동전화와 와이브로를 동시에 즐기는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할 길을 열어준 것이다. 또 새로운 주파수 배치계획을 마련했다. 이에 따르면 800㎒ 셀룰러 주파수의 이용기간이 2011년 6월 만료됨에 따라 여유분인 20㎒, FM방송중계...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