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북한] 2001년 > 외교 > 북한-미국 관계 > 고위급 교환방문 > 올브라이트 장관 방북 > 방북 성과 김 국방위원장은 10월 24일 오후 3시40분 올브라이트 장관의 숙소인 백화원초대소를 다시 찾아 회담을 속개됐다. 김 위원장은 “어제(23일) 우리가 나눈 3시간의 대화가 50년간의 침묵을 깨기에 충분하다고는 믿지 않는다”면서 “일정을 앞당겨 어제 집단체조를 본 게 참 잘 됐다. 만약 당초 예정대로 회담과 집단 체조...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2000년 > 정치 > 외교 > 다자외교장의 남북관계 개선지지 > 올브라이트 장관 방북 조 차수의 방미시 합의에 따라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 국무장관이 10월 23일 평양을 방문, 북ㆍ미관계는 급속도의 발전이 이뤄졌다. 올브라이트 장관은 이틀간에 걸쳐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회담한 뒤 한반도 긴장 완화, 북ㆍ미 외교대표부 개설, 미사일 문제 등 양국 현안을 “지지하고 건설적이며 심도 깊게 논의 했다...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1년 > 외교 > 북한-미국 관계 > 고위급 교환방문 > 올브라이트 장관 방북 > 방북동정 올브라이트 장관은 10월 23일 오전 10시30분 김일성(金日成) 주석의 시신이 안치돼 있는 금수산기념궁전(옛 주석궁)으로 조명록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을 예방하는 것으로 공식 일정을 시작했다. 금수산기념궁전 방문에는 북측에서 조명록 제1부위원장 겸 군총정치국장, 백남순(白南淳) 외무상, 강석주(姜錫柱) 외무성...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1년 > 외교 > 북한-미국 관계 > 고위급 교환방문 > 올브라이트 장관 방북 > 방북과정과 수행원들 조명록 차수의 방북에 이어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국 국무장관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비롯한 북한 지도자들과 회담을 갖고 북-미 양국간 현안을 논의하는 한편 빌 클린턴 대통령의 방북 가능성에 대비한 사전 정지작업을 위해 2000년 10월 21일 역사적인 북한 방문 길에 올랐다. 지난 1945년 북한정부 수립 이후 평양을...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1년 > 외교 > 북한-미국 관계 > 고위급 교환방문 > 올브라이트 장관 방북 방북과정과 수행원들 방북동정 방북 성과 조명록 차수의 방북에 이어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국 국무장관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비롯한 북한 지도자들과 회담을 갖고 북-미 양국간 현안을 논의하는 한편 빌 클린턴 대통령의 방북 가능성에 대비한 사전 정지작업을 위해 2000년 10월 21일 역사적인 북한 방문 길에 올랐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10년 > 1999~2010 북한 10대 뉴스 > 2000년 > 북ㆍ미, 적대관계 종식 선언 북한과 미국은 10월 조명록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과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의 상호 방문을 통해 양국 정상들의 친서를 교환하고 50여 년간의 적대관계 종식을 선언하는 등 양국관계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조 제1부위원장이 10월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을 방문했으며 뒤이어 올브라이트 미 국무장관이 같은...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2000년 > 정치 > 외교 > 다자외교장의 남북관계 개선지지 > 북ㆍ미 외무장관 회담 특히 태국에서 열린 ARF 회의에 맞춰 백남순 북한 외무상과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국 국무장관이 7월 28일 1시간여 동안 방콕 샹그릴라호텔에서 역사적인 첫 회담을 갖고 북한 미사일 문제 등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백 외무상과 올브라이트 장관은 회담에서 관계 정상화에 대한 양국 정부의 의지를 재확인하고...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0년 > 세계 > 세계정세 > 북ㆍ미관계 화해무드 북한은 올해 미국과의 관계증진을 위해 조명록 특사를 미국에 파견하고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 국무장관을 초청하는 등 파격적인 조치들을 취했다. 그 동안 양국이 핵 문제와 미사일 개발 등 현안을 둘러싸고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해왔다는 것을 감안하면 놀랄만한 진전이 일어났다. 북한의 실권자인 김정일 국방위원장은...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0년 > 정치 > 외교 > 남북정상회담 외교 > 한ㆍ미 협의 평양방문을 마치고 귀국한 다음날 인 6월 16일 황원탁(黃源卓) 외교안보 수석을 미국으로 보내 빌 클린턴 대통령에게 회담결과를 설명했고,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 국무장관은 1주일 뒤인 23일 방한했다.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은 방한기간에 남북정상회담에 대해 설명을 들은 뒤 한반도 문제에 대한 양국 협력방안을 논의...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1년 > 군사 > 전략무기 개발 > MD와 북한 미사일 > 북-미 미사일 회담 일지 2000. 7.19 = 김정일 北국방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대통령과 회담에서 ‘위성 대리발사시 미사일계획 재고’ 언급 2000. 7.28 = 북(백남순)-미(매들린 올브라이트) 외무장관 회담 2000. 10.9~12 = 조명록 국방위 제1부위원장 방미, 클린턴대통령 예방 2000. 10.23~5 = 올브라이트 장관 방북,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1년 > 군사 > 전략무기 개발 > 미사일 > 미사일발사 유예 표명 조-미관계의 근본적인 개선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평화와 안전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라데 대하여 견해를 같이하였다”고 밝혔다. 이후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국 국무장관은 2000년 10월 24일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이틀간에 걸쳐 한반도 긴장완화, 북미 외교대표부 개설 양국 현안을 논의했고, 특히 미사일 문제...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1년 > 정치 > 김정일 총비서 활동 > 공식활동 > 대외 공식활동 등을 내용으로 하는 11개 조항의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김 총비서는 특히 같은해 10월 23일과 24일 남북 분단 이후 줄곧 적국으로 대해왔던 미국의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을 평양으로 불려 들여 회담을 가졌다. 김 총비서와 올브라이트 장관은 회담에서 한반도 긴장완화, 미사일문제 등 양국 현안을 심도있게 논의...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