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연합] 1993년 > 정치 > 국방 > 개관 > 중장기국방정책발전 도입을 지양하고 국산무기를 쓴다는 원칙아래 산(産)ㆍ학(學)ㆍ연(硏)을 연계한 범국가적 연구개발체제를 확대해 기술협력다변화를 통한 첨단무기체계의 국내개발을 뒷받침하고 무기체계소요계획과 연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중ㆍ장기획득개발계획을 발전시켜 나갈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국방인력관리의 경제성과...
  • [연합] 1995년 > 정치 > 국방 > 주변국 군사정세 > 일본 지지기반을 확립하고 국력에 상응하는 독자적인 방위력 정비에 노력하고 있으며 미(美)ㆍ일(日) 연합작전능력의 제고, 전역미사일방위(TMD) 체제와 같은 첨단무기의 공동연구개발과 주일(駐日) 미군에 대한 지원확대를 통해 미ㆍ일 안보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특히 일본은 평화유지활동이 대내적으로는 자위대의...
  • [북한] 2001년 > 군사 > 군사외교 동향 > 북한-미얀마, 군사협력 모색 2000년 11월에는 국방부.외무부 관계자들로 구성된 미얀마 정부대표단이 극비리에 평양을 방문, 인민무력부 고위 관계자들과 회담했다. 회담에서 양국은 첨단무기의 판매보다는 실전에 사용될 야포 등 재래식 무기의 판매 및 기술이전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의 군사전문지 디펜스 위클리는 북한이 1998년...
  • [연합] 1995년 > 정치 > 국방 > 주변국 군사정세 > 중국 강화는 신국제질서하에서 중국의 위상확립과 아ㆍ태지역에서의 영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걸프전에서의 교훈을 중시하고 있는 중국은 자체개발 기술과 도입기술로 첨단무기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또한 해외투사능력의 향상을 위해 항공모함 보유를 추진하는 등 원양해군 건설을 지향하고...
  • [북한] 2003년 > 남북회담ㆍ합의문ㆍ법률 자료 > 주요 원문 > 우리의 핵억제력은 결코 위협수단이 아니다 인적자원과 자금을 경제건설과 인민생활에 돌리려는데 있다. 우리는 미국이 대조선적대시정책을 포기하지 않는한 자금이 적게 들면서도 그 어떤 첨단무기나 핵무기도 무력화시킬 수 있는 강력한 물리적 억제력을 강화해나갈 것이다. 핵무기전파방지조약에서 탈퇴하고 국제원자력기구와의 담보협정의 구속에서도 벗어난...
  • [연합] 1991년 > 91년의 한국 > 한ㆍ미 연례안보협의회의 > 결과와 의의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이번 회의는 북한의 핵개발을 당분간 그대로 지켜보되 「넌워너 수정안」에 따른 주한미군 2단계 철수계획의 일단 연기와 첨단무기의 보강을 통한 주한미군의 현대화 작업추진 및 방위산업기술의 이전에 의한 한국군의 전력강화 등 연합방위능력을 증강하는 선에서 북한의 핵에 대한 간접적인...
  • [연합] 2003년 > 정치 > 국방 > 국방 중기계획 한편 군사용 사유지를 정리하고 사격장 주변 민가이전 등 민간부문 민원도 이 기간에 대부분 완료키로 했다. 하지만 국방예산 미확보로 당초 추진 예정이던 첨단무기 도입사업은 상당한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전투기의 작전범위를 대폭 확장해 공군 전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필수장비인 공중급유기는 2004년부터...
  • [북한] 2002년 > 군사 > 군사력과 군수산업 > 군수산업 지대지미사일 등 첨단 유도무기와 AN-2기ㆍMI-2헬기 등 일부 항공기를 개발, 생산을 개시했다. 1990년대에는 사거리 1천㎞인 노동1호 미사일을 개발하는 등 각종 유도무기의 성능개선에 주력하면서 미그-29기 등 신예 전투기의 조립생산도 추진했다. 이로 미뤄 현재 일부 첨단무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무기를 자급자족할...
  • [북한] 2002년 > 군사 > 군사외교 동향 > 대중국ㆍ대러시아 군사관계 지원하되 북한의 요구에 따라 인건비나 일부 북한 설비이용료 등을 군사장비로 제공한다는데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이 눈독을 들이는 러시아제 첨단무기는 방공망 강화를 위한 S-300 지대공미사일과 대공레이더 항법시스템, 미그-29 전투기, 해군력 보강을 위한 4천t급 이상 대형군함, 지상군 전력 강화 차원의 T...
  • [북한] 2002년 > 군사 > 전략무기 개발 > 핵개발 의혹 해당한 조치가 있을 것이다” ▲2002.04.30 = 북-KEDO 평북 향산서 고위 전문가 협상 ▲2002.05.07 = 노동신문 논평 “미국이 핵탄두장착 요격미사일 등 첨단무기 개발에 집착하고 있으므로 우리도 이에 대책을 세워 나가지 않을 수 없다” ▲2002.05.19 = 경수로 건설 인력과 물자 수송을 위한 양양-선덕 공항 직항로...
  • [북한] 2003년 > 군사 > 군사력과 군수산업 > 군수산업 지대지미사일 등 첨단 유도무기와 AN-2기, MI-2헬기 등 일부 항공기를 개발, 생산을 개시했다. 1990년대에는 사거리 1천㎞인 노동1호 미사일을 개발하는 등 각종 유도무기의 성능 개선에 주력하면서 미그-29기 등 신예 전투기의 조립생산도 추진했다. 이로 미뤄 현재 일부 첨단무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무기를 자급자족할...
  • [연합] 1996년 > 정치 > 국방 > 주변국 군사정세 > 일본 침략은 자위대 단독으로, 대규모침략은 미ㆍ일 연합전력으로 대처한다는 기본방침에 입각하고 있다. 일본은 소요전력을 내실화, 효율화하기 위해 76년부터 첨단무기 위주의 질높은 방위력 건설에 역점을 두어 5년 단위의 ‘중기(中期) 방위력정비계획’을 추진해왔으며, 이를 통해 최첨단 F-15 전투기를 비롯한 이지스함...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3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