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헌숙왕후 온경(溫敬), 공효(恭孝), 양혜(良惠), 의목순성(懿..
    고려전기 제5대 경종의 제1 왕비.|개설 성은 김씨(金氏). 본관은 경주(慶州). 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의 딸로 고려 태조의 외손녀일 가능성이 크다. 생애 및 활동사항 앞서 935년(태조 18)에 경순왕이 항복하여왔을 때 태조는 맏딸 낙랑공주(樂浪公主)를 그 배필로 삼게 하였는데 그 소생 가운데 한 명일 가능성이 짙다...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왕후(王后)
    유형 :
    인물
    직업 :
    왕비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
    경주(慶州)
  • 헌숙왕후 Queen Heonsuk, 獻肅王后
    헌숙왕후 김씨(獻肅王后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 경종의 왕비이며,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딸이다. 신라의 경순왕은 935년 11월 고려에 항복하였으며 슬하의 딸을 고려 경종에게 출가시켰는데 그녀가 헌숙왕후이다. 이로 인해 경순왕은 정승공(正丞公) 상보령(尙父令)에 봉해지고 식읍과 녹봉을 더 받았다. 경...
    도서 위키백과
  • 죽방부인 Lady Jukbang, 竹房夫人
    등 여전히 호사를 누렸는데, 이들 왕자들은 마지막까지 충절을 지킨 인물들로 꼽힌다. 경순왕은 고려에 항복 후 딸을 고려 경종에게 출가시켰는데 그녀가 헌숙왕후 김씨이다. 그녀의 생졸 및 모후 등에 대해서는 밝혀진바 없으며, 고려 경종이 고려 태조 왕건의 손자로 955년 태어나 975년에 왕위 올랐는바, 배우자인...
    도서 위키백과
  • 고려의 왕후 목록 高麗王后, 高丽君主配偶列表
    견씨 國大夫人 甄氏 문성왕후文成王后 제4대 광종光宗 대목왕후大穆王后 949년 ~ ? 황주 황보씨黃州 皇甫氏 태조 太祖신정왕후 神靜王后 제5대 경종景宗 헌숙왕후獻肅王后 헌승황후 憲承皇后 경주 김씨慶州 金氏 영릉榮陵 신라 경순왕 敬順王 헌의왕후獻懿王后 충주 유씨忠州 劉氏 문원대왕 文元大王문혜왕후 文惠王后...
    도서 위키백과
  • 신정왕후 (고려) Queen Sinjeong (Goryeo), 神静王后
    왕위가 광종과 대목왕후 사이에서 태어난 왕주(고려 경종)에게 계승되니, 신정왕후의 외손자로 왕위가 계승된 것이다. 그러나 경종이 제1후인 헌숙왕후와 제2후인 헌의왕후로부터 소생을 얻지 못하면서 고려의 왕위 계승 구도는 다시 안개 속에 쌓이게 된다. 이에 경종의 외조모인 신정왕후는 자신의 친손녀 둘을 경종의...
    도서 위키백과
  • 낙랑공주 (고려) Princess Nakrang (Goryeo), 安貞淑儀公主
    않아 알 수 없다. 아버지 : 태조(太祖, 877 ~ 943) 어머니 : 신명순성왕후 유씨(神明順成王后 劉氏, 생몰년 미상) 배우자 : 경순왕(敬順王, ? ~ 978) 딸 : 헌숙왕후 김씨 고려·조선조에 경순왕 후손들에 대한 군역·부역 면제 등의 특전이 계속 내려지면서 이를 기화(奇貨)로 보계(譜系)를 위조하여 경순왕 후손으로서...
    도서 위키백과
  • 영릉 榮陵
    高麗史)』에 의하면, 경종은 981년(경종 6) 7월 병오일에 정전(正殿)에서 승하하여 경기(京畿) 남쪽 산기슭에서 장례를 지냈다고 한다. 이후 경종의 왕비인 헌숙왕후(獻肅王后) 김 씨가 승하하자 영릉에 합장되었다. 형태와 특징 영릉의 영역[陵域]은 3,880㎡ 정도 되고, 현재 북한의 보존 및 보호 구역으로 설정되어...
    시대 :
    고려 전기
    유형 :
    유적/고인돌·고분·능묘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경종 (고려) Gyeongjong of Goryeo, 景宗 (高麗王)
    유력 왕위 계승자였던 효성태자와 원녕태자가 살해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이후 경종은 보복법을 취소하였다. 광종 생존 당시 광종의 명으로 경순왕의 딸 헌숙왕후 김씨와 결혼하였다. 즉위 후인 975년, 장인인 경순왕을 상보로 책봉하면서 작위를 정승공(政丞公)에서 낙랑왕(樂浪王)으로 높이고 식읍을 하사하였다...
    도서 위키백과
  • 대명궁부인 Lady Daemyeong, 大明宮夫人
    고려의 제3대 왕 외숙 : 광종 - 고려의 제4대 왕 남편, 외사촌 : 경종 - 고려의 제5대 왕 외숙 : 문원대왕(文元大王) - 고모 문혜왕후의 남편 외숙 : 증통국사(證通國師) 이모 : 낙랑공주(樂浪公主) - 신라 경순왕의 부인 이종사촌 : 헌숙왕후 김씨(獻肅王后 金氏) - 경종의 제1비 《천추태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도서 위키백과
  • 고려 왕실 House of Wang
    천추전부인(문원대왕과 혼인) 보화궁부인 문덕왕후(성종과 혼인) 경화궁부인 임씨 - 혜종의 딸 현비 김씨 - 김○○의 딸 경종 헌화대왕 헌숙왕후 김씨 - 경순왕의 딸 헌의왕후 윤씨 - 문원대왕의 딸 천추왕태후 황보씨 - 대종의 딸 목종 송 효숙왕태후 황보씨 - 대종의 딸 대명궁부인 유씨 - 원장태자의 딸 성종 문의...
    도서 위키백과
  • 근친혼 Consanguine marriage, 近親婚
    친누이들의 시아버지라는 점 외에 광종의 딸과 결혼하여 자신이 광종의 사위라는 자격을 취득함으로써 정통성을 더 강화할 수 있었다. 고려 경종과 헌숙왕후 : 경종은 태조의 3왕비 신명순성왕후의 아들 광종의 아들이고, 헌숙왕후는 태조와 신명순성왕후의 딸 낙랑공주와 경순왕의 딸이다. 경종과 헌숙왕후는 서로 친고...
    도서 위키백과
  • 성종 (고려) Seongjong of Goryeo, 成宗 (高麗王)
    있다. 광종, 성종의 노력으로 문치주의 전통이 수립되었고 개인의 능력이 중시되는 개방적인 사회로 나아갔다. 성종의 두 누이인 헌애왕후와 헌정왕후, 고종 사촌인 헌숙왕후는 호족을 견제하려던 백부 광종의 근친혼 정책에 따라 광종의 태자 경종의 왕비가 되었다. 그러나 경종은 헌애왕후와의 사이에서 아들 개령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개성 고려 경종 영릉 좌측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