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처소
    불교 처소(法處所攝色, 법처에 속한 물질, dharmāyatana-paryāpanna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법처에 속한 '으로, 12처의 법체계에서 말하는 법처(法處)에 속하는 물질[色]을 말한다. 즉, 물질임에도 불구하고 6경(六境) 가운데 .cw성.cw향.cw미.cw촉의 5경(五境)에 속하지 않고 6번째의 법경(法境)에 속하는 ...
    도서 위키백과
  • 유대과 무대
    유루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에 이런 뜻의 여러 가지 2(二法)들이 나열되어 있다.sfnsfn 유견(有見法) 일체의 색법 즉 물질을 유견유대(有見有對色) 처소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연기론인 아뢰야연기의 종자설과 깊은 관련이 있다.sfnsfnsfn 《구사론》의 〈분별계품〉에서 설하고 있는, 18...
    도서 위키백과
  • (불교) Rūpa, 色 (仏教)
    포함시키고 있다. 하지만, 무표은 색경 따라서 제6식인 의식(意識)의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법경(法境) 즉 법처(法處)에 포섭되는 (물질)이라는 뜻의 처소(法處所攝色)으로 규정하고 있다.sfnsfn 한편, 설일체유부의 이러한 무표업 이론에 대해, 경량부나 《구사론》의 저자인 세친은 모두 무표업의...
    도서 위키백과
  • 오위백 五位百法
    속하는 현상으로서, 감각되지 않는 작용이나 힘, 또는 내면에 새겨져 있는 잠재력. 《대승아비달마집론》 제1권과 《대승아비달마잡집론》 제1권에 따르면 처소에는 극략색. 《대승아비달마집론》 제1권. 2022년 7월 23일에 확인: 어떠한 것이 처소(法處所攝色)입니까? 반드시 숙지해야 하는 다섯 종류의 ...
    도서 위키백과
  • 불교 용어 목록 (ㅂ)
    법지(法智)는 욕계의 고(苦) 끊어서 없앰)하는 무루지이다. 달리 말하면, 욕계에서 불교의 진리를 철저히 아는 상태의 지혜(智慧)이다.sfnsfn 집이라고도 한다. 처소(法處所攝色, dharmāyatana-paryāpanna)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법처에 속한 '으로, 12처의 법체계에서 말하는 법처(法處)에 속하는 물질을...
    도서 위키백과
  • 내외
    속하는 .cw수.cw상.cw행 또는 식을 뜻한다. 구체적으로 의 경우에는 5경과 법경의 처소(무표)을 뜻하고, 수.cw상.cw행.cw식은 법경에서 처소(무표)을 제외한 모든 것을 뜻한다.sfnsfn 《구사론》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 따르면, 마음, 즉 6식(識)은 아집(我執, ahaṃkāra)의 의지처가 되기 때문에...
    도서 위키백과
  • 유색과 무색
    제5권에 이런 뜻의 여러 가지 2(二法)들이 나열되어 있다.sfnsfn 유색(有色法) 즉 색법(色法) 즉 물질[色]은 그 성질에 따라 유견유대(有見有對色) 처소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연기론인 아뢰야연기의 종자설과 깊은 관련이 있다.sfnsfnsfn 유색과 무색 즉 '유색(有色法) 이 둘을 합하면 일체...
    도서 위키백과
  • 유견과 무견법
    유루 《아비달마품류족론》 제5권에 이런 뜻의 여러 가지 2(二法)들이 나열되어 있다.sfnsfn 유대(有對法) 일체의 색법 즉 물질을 유견유대(有見有對色) 처소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연기론인 아뢰야연기의 종자설과 깊은 관련이 있다.sfnsfnsfn 《구사론》의 〈분별계품〉에서 설하고 있는, 18...
    도서 위키백과
  • 명색 Namarupa, 名色
    심신(心身) 즉 정신과 육체 또는 몸과 마음을 뜻하며, 여기서의 '정신' 또는 '마음'은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cw마음작용(심소법).cw법경(처소은 제외)을 합한 개념이다. 그리고 '육체' 또는 '몸'은 안.cw이.cw비.cw설.cw신의 5근과 .cw성.cw향.cw미.cw촉의 5경과 처소(무표)을 합한...
    도서 위키백과
  • 불교 용어 목록 (온)
    것에 속하는 .cw수.cw상.cw행 또는 식을 뜻한다. 구체적으로 의 경우에는 5경과 법경의 처소(무표)을 뜻하고, 수.cw상.cw행.cw식은 법경에서 처소(무표)을 제외한 모든 것을 뜻한다.sfnsfn 요별이라고 한다. 마음) 요익경(饒益境)은 이로운 대상 또는 자신에게 이익이 있는 대상을 말한다. 반대말은...
    도서 위키백과
  • 불교 용어 목록 (구)
    사람을 가두어 두는 시설)" 이러한 뜻에서 번뇌의 동의어로 사용된다.sfn 극략색(極略色)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서 처소(法處所攝色) 가운데 하나이다. 을 세밀하게 나누어 이 나눔이 극한에 이르렀을 때 성립되는 물질의 최소단위를 말한다. 즉,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물질론에서의 극미(極微...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