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강유전성 强誘電性, ferroelectricity
    자발분극(양전하와 음전하의 중심이 분리되어 결정체의 한쪽은 양, 다른쪽은 음으로 대전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부도체나 유전체의 특성.|이것은 적당한 전기장을 가해서 분극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특성을 의미한다. 강유 전성의 이름은 철과 같은 물질에서 일어나는 강자성(ferromagnetism)과 철자법이 비슷하다. 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강유전성 强誘電性, ferroelectricity
    자발군극을 갖고 그 분극방향이 전계에 의하여 반전할 수 있는 성질. 이것에 대하여 자발분극이 없는 상태를 상유전성(常誘電性)이라 한다. 〈참조어〉 상유전성(paraelectricity)
  • 강유전체 (관련어 강유전성) Ferroelectricity, 強誘電体
    강유전성(ferroelectricity)은 외부 전기장을 가하면 반전될 수 있는 자발적인 전기 편극을 갖는 특정 물질의 특성이다. 강유전체(强誘電體, Spontaneous polarization, Ps)을 가지는 재료로서 외부 전기장에 의하여 분극의 방향이 바뀔 수(switching) 있는 물질을 뜻한다.서적 인용서적 인용 주로 산화물이 많이 응용되...
    도서 위키백과
  • 강유전성 액정 표시 장치 FLCD, 强誘電性液晶標示裝置
    단순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의 한 가지. 액정 소재에는 메모리성이 있으며 일단 전압을 가하면 그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항상 주사(走査)할 필요는 없다. 정지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일체 변화가 없으므로 흔들림이 없는 화면을 실현할 수 있다. 또 STN형 액정 표시 장치보다 반응 속도나 콘트라스트...
  • 강유전성 antiferroelectricity
    결정 내의 이웃이 된 격자점의 전기쌍극자가 반평행으로 늘어서며 쌍극자 모멘트를 부정하는 것으로 전체로서 자발분극을 갖지않는 성질
  • 쿠르차토프 Igor Vasilyevich Kurchatov
    개발을 이끌었다. 심피로폴의 크리미아대학교를 졸업한(1923)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과학 아카데미 물리기술연구소의 연구원이 되었다(1927). 처음에는 강유전성에 관련된 연구를 했으나 1933년경 핵물리학에 몰두했다. 물리기술연구소의 핵물리실험실 실장으로서 그는 최초의 소련 사이클로트론 건설을 감독했다...
    출생 :
    1903. 1. 12, 러시아 심
    사망 :
    1960. 2. 7, 모스크바
    국적 :
    소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큐리 점 cuie point
    ① 일반 용어. 물질의 강자성(강유전성, 반강자성)과 비강자성(비강유전성, 비반강자성)과의 사이의 천이를 일으키는 온도 주 : (1) 강자성체는 하나의 큐리점을 가지고 그 이상에서 상자성체로 된다. (2) 반강자성체의 자화율은 온도와 함께 증대하고 큐리점에 달한 후는 감소한다. (3) 강자성체 중에는 큐리점을 상하...
  • 압전 재료 壓電材料, piezoelectric materials
    이것은 소성한 뒤 직류 고전압에 의해 분극 처리를 실시해서 압전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를 위한 불가결의 조건은 자기를 구성하고 있는 미결정 알맹이에 강유전성을 갖게 하는 일이다. 그 대표적인 것은 BaTiO3 및 Pb(Zr-Ti)O3 계이다. 최근 주류로 되어 있는 후자의 특징은 이 결정의 상전이 상태에서의 큰압전 효과를...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잔류 분극 remanent polarization
    (1) 강유전성물질 용어. 분극 Pr의 값에서 전계의 제거 후에 남는 것. 잔류분극은 분극된 강 유전체에 고정된 표면전하를 큐리점 이상으로 가열한 때에 해방되는 전하를 적분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주 : ① 이 전계가 분극을 포화하는데 충분히 큰(통상, 3Ec 즉 보존전계의 3배) 경우 전계 제거 후에 남는 분극을 포화...
  • 잔류전하 remanent charge
    강유전성 물질 용어. 인가전계를 제거한 후에 남는 전하. 주 : 잔류 전하는 이전에 인가한 전계가 포화가 생길 만큼 큰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질적으로 이전 인가의 전계에 의하지 않는다. 만일 이 물질이 포화하지 않는 또는 할 수 없는 경우. 잔류전하를 기술하는 경우는 이전에 인가된 전계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 액정 디스플레이의 잔상효과
    네마틱 액정 중에서 가장 빠른 수준의 응답수준을 보여주나 낮은 명암비등의 문제로 인해 본격적으로 상용화된 사례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강유전성 액정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 FLCD)에 사용되는 강유전성 액정의 응답은 통상의 액정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통상의...
    도서 위키백과
  • 다강체 Multiferroics
    다강체(Multiferroics)란 다강성 물질, 즉 서로 다른 강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물질을 말한다. 강유전성, 강자성, 강탄성 등의 여러 강성(ferroic)들이 존재하는데, 이중 두 개 이상의 성질을 갖는 물질을 다강체라 일컫는다. 다강체라는 말은 1994년 H.Schmid가 처음 사용하였는데, Schmid는 다강체를 두개 이상의 강성...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