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백전백승 百戰百勝
    본 뜻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전백승(知彼知己 百戰百勝)’이라는 말로 널리 알려진 이 말의 원문은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가지 전투를 해도 위태롭지 않다(知彼知己 百戰不殆)”이다. 출전은 『손자병법(孫子兵法)』이다. 바뀐 뜻 오늘날에는 백전백승이 백 번 싸워서 백 번 이긴다는 뜻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
    유형 :
    한자어
  • 추상적 抽象的
    본 뜻 ‘추상’은 구체적 표상(表象)이나 개념에서 공통된 성질을 뽑아 이를 일반적인 개념으로 파악하는 정신 작용을 말한다. 그래서 ‘추상적’이라고 하면 개개의 대상에서 공통되는 성질을 뽑아 종합한 것을 말한다. 바뀐 뜻 오늘날 쓰이는 ‘추상적’이란 말에는 ‘사물의 공통된 성질을 종합한 것’이라는 의미는...
    유형 :
    한자어
  • ‘려(黎)’ 역시 중인(衆人)이나 보통 백성을 표시한다. 그러나 ‘서(庶)’가 단독으로 서인(庶人)의 뜻을 가지는 데 반해, ‘려(黎)’는 민(民)이나 인(人) 및 평민(平民)을 나타내는 말과 결합되어야 비로소 서민(庶民)의 뜻을 표시할 수가 있다. ‘여민(黎民)’의 뜻은 안색(顔色)에서 유래한다. 려(黎)는 청흑색...
    유형 :
    여러 가지 호칭
  • 고무적 鼓舞的
    본 뜻 고무(鼓舞)란 본래 말 그대로 북을 치며 춤을 춘다는 뜻이다. 북을 치며 춤을 추면 어깨춤이 절로 나도록 흥겨워지고 신이 난다. 이처럼 남의 마음을 흔들어 신나게 하거나 북돋워주는 일을 ‘고무한다’, ‘고무적이다’ 등으로 이르게 되었다. 바뀐 뜻 남을 격려하여 자신을 얻도록 용기를 북돋워주는 일이나...
    유형 :
    한자어
  • 궁형 宮刑
    본 뜻 고대 중국에서 시행되던 가장 독한 5가지 형벌 가운데 하나이다. 사형(死刑)보다 더 치욕스런 것으로 최고의 형벌이었다. 남자는 생식기를 없애거나 썩혔으며, 여자는 질을 폐쇄시켜 생식을 불가능하게 했다. 가장 대표적인 궁형 방법은 고환을 실이나 줄로 묶어 그것이 썩게 만드는 것이었다. 여성의 경우에는...
  • 종묘 宗廟
    본 뜻 중국 제왕들이 조상의 위패를 두던 묘를 가리킨다. 주나라 이후 천자(天子)는 칠묘(七廟)로서 3소(三昭), 3목(三穆)과 태조(太祖)의 묘를 합해 일곱이다. 제후(諸侯)는 오묘(五廟)로서 2소(二昭), 2목(二穆)과 태조의 묘를 합해서 다섯이다. 대부(大夫)는 삼묘로서 1소, 1목, 태조의 묘를 합해 셋이다. 사(士)는...
  • 숙맥 숙맥불변, 菽麥
    본 뜻 사서오경의 하나인 『춘추』의 주석서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로, 원말은 숙맥불변(菽麥不辨)이다. 주자(周子)에게 형이 있었는데 그가 똑똑치 못하여 콩〔菽〕과 보리〔麥〕도 구분하지 못했다는 데서 유래한 말이다. 바뀐 뜻 원래는 모양이 뚜렷이 차이가 나는 콩 · 보리도 구분하지 못할 정도로 어리석은...
    유형 :
    한자어
  • 봉급 주급, 俸給
    본 뜻 일을 계속하는 데 대한 대가로 지급되는 일정한 금액을 말한다. 봉급의 형태는 일주일마다 지급되는 주급(週給)일 수도 있고, 월급(月給)일 수도 있고, 연봉(年俸)일 수도 있다. 바뀐 뜻 보통 봉급이라는 말은 월급과 같은 말로 쓰이고 있는데, 월급은 한 달에 한 번 나오는 급여라는 고정된 뜻인 데 반해, 봉급은...
    유형 :
    한자어
  • 고자 鼓子
    본 뜻 고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설이 있다. 첫째가 힌두어 ‘고자(khoja)’에서 온 것으로, 인도 동부의 벵골 지방에서는 인접 국가에서 사람을 잡아다가 거세해서 다른 나라에 노예로 내다 팔았는데, 이것이 명칭과 함께 남지나 방면으로 퍼져서 우리나라에까지 이르게 된 것이라 한다. 그러므로 고자는...
    유형 :
    한자어
  • 작가 作家
    본 뜻 집안을 부유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처럼 가문을 빛내는 것을 제가(齊家)라고 한다. 당나라 때의 유명한 시인이자 문인화에 뛰어난 왕유(王維)가 있었는데, 마침 같은 동네에 남의 비문(碑文)이나 써주며 생활하는 왕여(王璵)가 있었다. 어느 날 왕여가 비문을 썼는데, 비문의 주인은 종에게 수고비를 들려...
  • 백중(伯仲) : 맏형과 그 다음 형. 백중지세(伯仲之勢) : 서로 우열(優劣)을 가리기 어려움. 백낭(伯娘) : 맏딸. 백이숙제(伯夷叔齊) : 중국 은(殷)나라의 전설적인 형제(兄弟). 맏아들인 백이와 셋째아들인 숙제는 은나라 고죽국(孤竹國)의 왕자들이었는데, 부왕(父王)이 사망한 후 서로 후계자가 되기를 사양하다가...
    유형 :
    처음, 시작에 관련된 한자
  • 연애 연정, 戀愛
    본 뜻 연(戀) -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애(愛) - 사랑하다. 친밀하다. 연(戀)은 한쪽에서 일방적으로 그리워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한 마음을 연정(戀情)이라고 한다. 이 연정이 장차 상호 교감하는 애정으로 자랄 수 있다. 애(愛)는 서로 마음이 오가는 상태의 친밀한 감정을 나타낸다. 그러한 마음을 애정(愛情...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