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영화관의 과학기술 ‘스크린’
    사람의 눈이 느낄 수 있는 최고의 ‘스펙터클’을 구현하도록 만든 것이다. 최근에는 ‘스크린X’라는 상영기법도 활용되고 있다. 스크린X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개발해 상용화 중인 토종 상영기술로, 상영관의 양쪽 벽을 스크린으로 활용한다. 이를 활용하려면 스크린 양쪽 벽에 영상을 동시에 띄울 수 있는 멀티...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유전자 가위 이용해 핵산 증폭, 돌연변이 찾아낸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박현규 교수 연구팀이 유전자 가위 기술을 이용해 핵산을 증폭, 유전자 돌연변이를 찾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유전자 돌연변이 검출에는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검사가 활용된다. DNA의 짧은 조각인 ‘프라이머’ 물질을 이용해 유전자를 증폭시킨 뒤 시퀀싱(DNA의...
  • 대덕연구단지 大德硏究團地
    1980년대를 거치며 대부분의 정부출연연구소가 입주했으며, 기업부설연구소는 대체로 1990년대에 입주했다. 고등교육기관의 경우 충남대학교와 한국과학기술원 등이 자리 잡고 있다. 1992년 11월 대덕연구단지에 대한 준공식이 거행되었고, 이후 대덕연구단지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본격적으로 참여하면서 혁신창출의...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스마트 파스 smart patch
    고성능 반도체 집적 회로가 장착돼 있고 표면에 여러 개의 전극이 있어서 심장의 수축과 이완 능력, 심전도 신호를 동시에 검출해 무선으로 외부에 알려 준다. 또한 휴대 전화 같은 휴대용 단말 기기를 통해 원격으로 켜고 끌 수 있다. 2010년 KAIST(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과 유회준 교수 연구팀이 개발하였다.
  • 스마트폰으로 뇌 신경회로 제어하는 생체 이식 장치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정재웅 교수팀이 스마트폰으로 뇌 신경회로를 제어할 수 있는 생체 이식 장치를 개발했다. 최근 뇌 기능 연구와 뇌 질환 치료 분야에서 생체 이식 기기로 특정 신경세포에 빛 자극을 줘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광유전학적 방법론이 부상하고 있다. 동물의 뇌에 광섬유를 이식한 뒤 레이저 등 외부...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건강
  • 반복되는 경험, 매번 새로운 기억 뉴런에 저장된다
    같은 신경 세포 집단에 저장되고 강화될 것으로 추측됐다. 하지만 실제로 신경 세포 수준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한진희 교수 연구팀은 살아있는 생쥐 뇌의 편도체 영역에서 기억 저장 뉴런을 표지하고 광유전학 기법으로 조절하는 기술을 이용해 실험...
  • 코로나19 회복 후에도 기억 T세포 장기간 유지…중증감염 막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서 회복된 후에도 코로나19를 방어하는 ‘기억 T 세포’가 장기간 유지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의철 교수와 고려대 안산병원 최원석 교수, 충북대병원 정혜원 교수 공동 연구팀은 코로나19에서 회복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추적 연구를 통해 기억 T...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감염성 , 전염병 , 건강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科學技術政策硏究院
    과학기술과 관련된 경제사회의 제반문제를 연구 분석함으로써 국가 과학기술 정책의 수립과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한다. 연원 및 변천 1987년 1월 한국과학기술원 부설 과학기술정책연구평가센터가 설립되었고, 1993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STEPI)로 개편되었다. 1999년 과학기술정책...
    위치 :
    서울특별시 동작구 보라매로5길 15 전문건설회관 20층
    설립 :
    1987년 1월
    유형 :
    단체
    분야 :
    과학/과학기술
  • 해파리 떼 퇴치하는 로봇
    내기도 하고, 쥐치나 말쥐치(해파리의 천적임)를 이용해 해파리를 제거하기도 한다. 하지만 2013년경에는 로봇이 해파리 퇴치에 나서게 될 것으로 보인다. KAIST(한국과학기술원) 건설및환경공학과 명현 교수가 개발 중인 ‘군집로봇’ 덕분이다. 이 로봇은 2∼4대가 편대 유영을 하며 노무라입깃해파리 떼를 제거하게...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기계 , 과학 일반
  • 휴머노이드 Humanoid
    아주 느리게 이족보행이 가능한 수준이었다. 1996년에는 혼다자동차가 발전된 형태의 휴머노이드 ‘P-2’를 개발하였고, 2000년에는 아시모를 만들었다. 우리나라 휴머노이드 로봇에는 카이스트의 휴보와 한국과학기술원의 마루와 아라가 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는 한국 고유의 여성 얼굴을 닮은 에버원을 개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계
  • 코네트 KORNET, Korea Network
    하드웨어의 개발이 어렵고 방대하여 선진국에서도 불과 몇 개국만이 개발에 성공, 활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82년 한국통신(주)이 설립되었을 때 외국의 기술을 도입, 서울과 대구·부산에 정보 고속도로인 데이터 통신망을 구축, 일부에서 활용해 오던 중 84년 한국과학기술원 은종관에 의해 자체기술개발에 성공...
    분야 :
    정보 시스템과 사회
  • 지능형 로봇 intelligent robots
    분별하기 어려운 정도로 인간과 흡사한 로봇으로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 현실에서 활발한 활용이 기대된다. 로봇의 진화 '휴보'는 한국과학기술원에서 개발한 인간형 로봇으로 2004년 KHR-3 휴보를 만들고 머리 부분을 아인슈타인의 얼굴로 대체하여 새로운 버전의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알버트 휴보라 명명...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韓國科學技術院)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화학공정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검정사업
한국과학기술원(KAIS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