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인민보 朝鮮人民報
    내용 8·15광복 후 서울에서 가장 먼저 나온 일간신문으로, 9월 8일 조선총독부 기관지였던 ≪경성일보 京城日報≫에서 나온 좌파기자들이 타블로이드판 국문신문으로 창간하였다. 사장 겸 발행인은 김정도(金正道), 부사장은 고재두(高在斗)였으며, 편집실은 종로 중앙기독교청년회관에 두었고, 조선교학도서회사(朝鮮...
    시대 :
    현대
    창작/발표시기 :
    1945년(창간)
    성격 :
    신문, 일간신문
    유형 :
    문헌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한중일보 韓中日報
    개설 《한중일보》는 8·15광복 후 한반도 이남에 거주하게 된 10만 여명의 재한화교들을 대상으로 휴전 후인 1953년 12월 18일 타블로이드판 4면으로 창간된 중국어신문이다. 이 신문은 《아주일보(亞洲日報)》(이후에 《아주경제(亞洲經濟)》로 개제)가 2007년 11월 15일에 창간되기 전까지는 국내 유일의 중국어신문...
    시대 :
    현대
    창작/발표시기 :
    1953년 12월 18일 창간
    성격 :
    신문, 중국어일간신문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한중일보사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하퍼즈 바자 Harper’s Bazzar
    1867년에 창간된 월간 여성 패션 잡지명으로 시초에는 타블로이드판에 주간 신문 형태였으나 1901년 월간지로 바뀌어 1913년에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William Randolph Hearst)가 인수하였다. 이전의 편집자는 애드나 울먼 체이스(Edna Woolman Chase), 카멜 스노(Carmel Snow), 다이애나 브릴랜드(Diana Vreeland)였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구세신문 救世新聞
    하고자 했다. 창간호는 편집 겸 발행인으로 허가두(Robert Hoggard, 영국인으로 초대 한국 사령관) 정령, 발행처는 구세군 대한 총사령부이고, 체재는 타블로이드판 8면에 순한글로 4호 활자를 사용했으며, 3단으로 편집 · 제작했다. 이렇게 시작되어 ‘매월 일회’ 발행의 『구세신문』은 당시 기독교계 신문들이 창간...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한국기독공보 韓國基督公報
    인터넷 홈페이지 서비스를 개시하였으며, 2001년 3월 24일부터 매주 28면 발행 체제로 전환하였다. 2007년 9월 제92회 총회에서 데일리 뉴스 신문 제작(타블로이드판)을 허락받았으며, 2009년 1월 19일에는 크리스찬 미디어를 개국하였다. 2016년 12월 22일에는 인터넷 신문을 등록하였으며, 2018년 5월에는 유튜브 채널...
    시대 :
    현대
    창작/발표시기 :
    1970년
    유형 :
    문헌/연속간행물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보감 寶鑑
    그러나 한일합방 이후 일제에 의해 『경향신문』이 폐간되자 그 부록으로 발행되었던 「보감」도 1910년 12월 30일 220호를 마지막으로 함께 폐간되었다. 타블로이드판 4면으로 발행된 『경향신문』과 달리 「보감」은 국판 8면으로 발행되어 읽은 뒤 책으로 제본하기 쉽게 만들어졌다. 실제로 발행되고 난 후 1906...
    시대 :
    근대/개항기
    창작/발표시기 :
    1906년 10월 19일∼1910년 12월 30일
    성격 :
    잡지, 천주교잡지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총4권
    간행/발행 :
    경향신문사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 전남일보 全南日報
    전국지로 등록을 갱신하였고, 1969년 7월 16일에는 지방신문으로는 최초로 색도판인쇄를 실시하였다. 1968년 2월 8일부터는 자매지로 ≪주간소년≫을 타블로이드판 16면으로 발행하였으며, 1970년 10월 1일에는 ≪전일그라프 全日GRAPH≫를, 1971년 1월 28일에는 ≪전일연감≫을 발행하였다. 또, 1970년 1월 15...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새한신문
    1961년 5월에 창간되었으며 주간으로 펴냈다. 발행인은 대한교육연합회 회장이다. 타블로이드판 8면으로 시작해 1962년 10월부터 대판 4면으로 바꾸었다. 한국의 민주교육 발전을 위한 교육전문지로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에게 배포했고 〈새교육〉·〈새교실〉도 함께 펴냈다.→ 한국교육신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소년한국일보 少年韓國日報
    衍)이었으며, “전국의 소년소녀들에게 이해와 의사발표, 그리고 교양의 터전을 마련해주기 위하여 창간”하였다. 서지사항 이 신문은 초창기에는 평일은 타블로이드판 4면, 일요일은 대판(大版) 8면 특집호를 발행하다 61년 12월 신문 판형을 대판으로 바꾸었다. 이듬해 10월 29일부터는 조간 신문으로 발행 시간을...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국방일보 전우(戰友), 國防日報
    본문을 한글로 제작하는 신문이 되었다. 1969년 1월 1일 세로쓰기 형태에서 가로쓰기 체재로 바꾸고, 제호도 『전우신문』으로 한글화하였다. 1974년 1월 타블로이드판 8면 가로쓰기와 1988년 10월 대판 가로쓰기에 이어 1989년부터는 일반 유료광고도 게재하고 있다. 1990년 3월 제호를 『국방일보(國防日報)』로 변경...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코리아타임스
    참여하였다. 이 신문은 UN군으로 참전중인 우방 장병들에게 국내외 뉴스를 알리고, 한국의 실정을 바로 인식시키려는 목적으로 창간되었다. 창간 당시는 타블로이드판 2면이었으며, 1952년 4월 12일부터는 4면으로 증면하였다. 1952년 5월 정치파동 때 비판에 앞장서자 정부는 보조비를 중단하고 새로이 『코리언...
    시대 :
    현대
    저작자 :
    김상용
    창작/발표시기 :
    1950년 11월 1일
    성격 :
    신문, 영자신문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김활란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흥국시보 興國時報
    편찬/발간 경위 신문의 사장은 함태영, 주필은 김재준, 편집은 유재기가 맡았다. 첫 시작은 프린트 형태로 시작했으나 곧 타블로이드판 8면의 활판 인쇄물로 월 2회 5,000부 이상을 발행하였다. 당시 매우 많은 부수로, 전국 각지의 농민들에게 큰 호응을 받았다. 흥국형제단은 유재기가 설립한 단체로 단순한 종교 모임...
    시대 :
    현대
    유형 :
    문헌/연속간행물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