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봉수 李鳳秀
    걸쳐 폭넓게 강의했으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등에 출강하여 한국지리를 맡아 가르치기도 했다. 연구의 관심은 주로 지형학과 역사지리학에 있었으며, 논문으로는 〈지리학상으로 본 탄금대와 행주산성〉(1958)·〈남한산성의 지형적 고찰〉(1961) 외 다수가 있다. 1956년과, 1959년 2차례에 걸쳐 대한지리학회 회장...
    출생 :
    1903. 7. 15, 경북 영일
    사망 :
    1970. 8. 22,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지리교육과
    학과개요 지리학은 지표상에 나타나는 인문 및 자연 현상의 공간적 분포와 상호 연관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주요한 연구 대상은 공간조직, 자연환경, 인간과 자연의 관계, 도시구조, 지역개발 등입니다. 지리교육과는 지리학과 지리교육학의 전문 지식을 교육하고 이를 중등학교와 사회 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는 능력...
    분류 :
    대학교 > 교육계열
  • 인구 人口, population
    인류 사회의 거의 모든 면들이 인구 추세에 관련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구학이 체계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사망률이 통계적인 규칙성을 나타내는 현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18세기부터였다. 인구학은 경제학·사회학·통계학·의학·생물학·인류학·역사학·지리학 등 다른 학문 분야와도 관련이 깊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통계
  • 대동지지 大東地志
    이 책의 구체적인 특징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동지지〉는 팔도의 군현을 기록한 지역별 지지와 산천·국방·도로·강역·역사지리 등의 주제별 지리학을 결합시킨 독특한 체제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조선 전기의 전국지리지 편찬과 조선 후기의 읍지 편찬의 맥락을 계승한 후, 조선 후기에 새로 꽃을 피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적
  • 지형학 地形學
    어느 지역의 지역성을 파악하는 데 있어 자연환경의 한 요소로서 지형에 대한 이해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지형학은 20세기에 들어와 자연지리학의 핵심 분야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지형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1900년대 초에 시작되었다. 이때는 주로 고토 분지로(小藤文次郎)를 중심으로 한 일본인...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아시아 아시아 대륙, Asia
    동질성을 지닌 대륙을 일컫는 말이라기보다는 지리학적인 지명에 가깝다. 세계에서 가장 다양성이 풍부한 대륙이며, 규모도 가장 커서 세계 육지면적의 30%를 차지한다. 어떤 대륙보다도 고도가 높은 거대한 산맥이 많이 모여 있으며 해안선도 가장 길다. 또 전역에서 폭넓은 기후대가 다양하게 발달해 있어서, 지구상...
    위치 :
    동반구(東半球)의 북부
    인구 :
    4,779,980,000명 (2024 추계)
    면적 :
    44,614,000㎢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란가쿠 蘭學, rangaku
    본격적인 단계에 접어든 란가쿠는 크게 세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의학, 또는 이와 밀접한 본초학(本草學)이며, 둘째는 천문역학, 세째가 세계지리학이다. 이들은 더욱 세분화되어 의학의 경우 식물학·약학·화학으로, 천문역학의 경우 물리학 계통으로, 지리학은 서구 역사 연구와 전반적인 인문·사회과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기요 Arnold Henry Guyot
    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한 것이다. 그는 뇌샤텔대학과 독일에서 공부했으며, 1835~40년에 파리에서 교편을 잡았고 1839년에는 뇌샤텔 아카데미의 역사 및 자연지리학 교수가 되었다. 1838년 유명한 자연박물학자이자 지질학자인 루이스 아가시의 영향을 받아 빙하의 구조 및 운동에 관한 연구에 착수했다. 1848년 미국...
    출생 :
    1807. 9. 28, 스위스 뇌샤텔근처 부드빌리에르
    사망 :
    1884. 2. 8, 미국 뉴저지 프린스턴
    국적 :
    스위스/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지지 地誌, regional geography
    지지는 지리학에 있어서 계통지리와 함께 지리학의 2대 부분을 이룬다. 계통지리가 귀납적인데 반해 지지는 연역적이며 계통지리와 지지는 모두 지리학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볼 수 있다. 학자에 따라서는 대상지역의 범위가 중간일 때는 코로그래피(chorography), 대상지역의 범위가 가장 좁을 때는 토포그래피...
    도서 다음백과
  • 리히트호펜 Ferdinand von Richthofen
    중국에 관한 주요저서를 집필했으며 지리학 방법론을 발달시키고 지형학의 학문적 체계를 세우는 데 기여했다. 지형학이란 육지와 해저 기복의 형상을 다루는 지질학의 한 분야이다. 리히트호펜은 돌로미티 알프스와 트란실바니아 등지의 지질학 조사를 통해 명성을 얻은 뒤 1860년 극동으로 파견된 독일 경제사절단에...
    출생 :
    1833. 5. 5, 프로이센(지금의 폴란드) 슐레지엔 북부 카를스루에
    사망 :
    1905. 10. 6, 독일 베를린
    국적 :
    독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윌리엄 모리스 데이비스 William Morris Davis
    주의 하천과 계곡 The Rivers and Valleys of Pennsylvania〉(1889)을 출간함으로써 데이비스 특유의 지형분석체계의 기초를 닦았다. 이 저서의 출판은 아마 자연지리학에 그가 남긴 가장 큰 공헌이었을 것이다. 그는 이 저서에서 지형의 자연적 형태는 길고 지속적이며 정연한 침식작용에 의한 변화의 결과라고 주장...
    출생 :
    1850. 2. 12, 필라델피아
    사망 :
    1934. 2. 5, 캘리포니아 패서디나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뮌스터 Sebastian Münster
    그의 〈세계지리학 Cosmographia〉(1544)은 처음으로 세계를 독일어로 기술한 것이며, 16세기 유럽의 지리학적 사조를 엿볼 수 있는 주요작품이다. 1527년 바젤대학의 히브리어 교수로 임명되어 히브리 성서 2권(1534~35)을 편집했으며, 여기에 라틴어 직역과 많은 주석을 달았다. 1540년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
    출생 :
    1489, 라인 강 유역의 팔츠 잉겔하임(지금의 독일에 있음)
    사망 :
    1522. 5. 23, 스위스 바젤
    국적 :
    히브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지리학연구원
일본, 제29차 국제 지리학회의(IGC) 기념우표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에 근거한 르네상스 시대의 세계 지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