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큰고니 천연기념물 제201-2호, Whooper Swan
    아이슬란드에서 번식하고, 유럽, 카스피해 주변, 한국, 중국 동부, 일본에서 월동한다. 주로 동해안의 석호, 천수만, 금강 하구, 낙동강 하구, 주남저수지, 하남시 팔당 등지의 습지에서 무리지어 월동한다. 11월 초순에 도래하며 3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초식성으로 자맥질해 긴 목을 물속에 넣어 넓고 납작한...
    분류 :
    오리과(Anat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201-2호
    서식지 :
    유라시아대륙 북부, 아이슬란드에서 번식하고, 유럽, 카스피해 주변, 한국, 중국 동부, 일본에서 월동한다.
    크기 :
    L140cm
    학명 :
    Cygnus cygnus Whooper Swan
  • 검은머리갈매기 Larus saundersi
    찾아와 겨울을 지내고 이듬해 3월경에 번식지로 가는 겨울철새이다. 우리나라 서해의 해안 및 갯벌에서 겨울철에 소수 집단을 볼 수 있다. 중국 동북부와 몽골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 대만, 한국, 베트남 북부에서 겨울을 난다. 서산의 간척지 부근의 해안 갯벌에 10월부터 찾아와 겨울을 나는 국제적으로 멸종위기에...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도요목(Charadriiformes) > 갈매기과(Laridae)
    학명 :
    Larus saundersi (Swinhoe, 1871)
    멸종위기등급 :
    멸종위기야생동식물II급
    국내분포 :
    남양만, 아산만, 금강 하구, 만경강 하구, 낙동강 하구, 전라남도 순천만 갯벌에서 월동한다.
    해외분포 :
    중국의 랴오닝성, 장쑤성, 산둥성, 허베이성에서 번식하고, 중국 남부, 대만, 베트남 북부에서 월동한다.
    특징 :
    겨울철새
  • 중백로 中白鷺, intermediate egret
    초순에 도래해 9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초지 또는 얕은 물에서 천천히 거닐며 물고기, 개구리, 미꾸라지 등을 잡아먹는다. 백로류와 함께 무리지어 집단번식하지만 개체수가 적다. 둥지는 쇠백로보다 약간 크게 만들며 알을 3~4개 낳고 24~27일간 포란한다. 특징 중대백로와 쇠백로의 중간 크기다. 중대백로와 달리...
    분류 :
    백로과(Ardeidae)
    서식지 :
    한국, 중국 중·남부, 일본, 동남아시아,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에 분포한다.
    크기 :
    L65.5cm
    학명 :
    Egretta intermedia Intermediate Egret
  • 떼까마귀 Corvus frugilegus
    농경지에서 채식하기 때문에 농작물에 큰 피해를 준다. 큰 나무 위에서 집단으로 번식한다. 둥지는 많은 나뭇가지를 사용하여 흙으로 굳혀 밥그릇 모양으로...문헌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박종길. 2014.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자연과생태 이우신, 구태희, 박진영. 2014. 야외...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참새목(Passeriformes) > 까마귀과(Corvidae)
    학명 :
    Corvus frugilegus Linnaeus, 1758
    국내분포 :
    제주도, 거제도, 호남평야, 군산, 울산 태화강변 등 남부 곡창지대에서 매우 큰 무리를 이루어 월동하는 흔한 겨울철새이다.
    해외분포 :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 분포한다.
    특징 :
    겨울철새
  • 개리 천연기념물 제325-1호, Swan Goose
    자룽습지보호구, 사할린 북부 등 매우 제한된 지역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양쯔강 유역, 대만, 일본에서 월동한다. 일부 제한된 지역에서 흔한 나그네새이며...하구에서 월동하는 무리는 혹한기에 대부분 남쪽으로 이동한 후 일부 개체는 금강 하구에서 월동하며, 대부분 집단은 중국 동남부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
    분류 :
    오리과(Anat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325-1호
    서식지 :
    러시아 극동, 중국 동북부, 몽골, 중국 헤이룽장성 자룽습지보호구, 사할린 북부 등 매우 제한된 지역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양쯔강 유역, 대만, 일본에서 월동한다.
    크기 :
    L81~94cm
    학명 :
    Anser cygnoides Swan Goose
  • 큰부리도요 Asian Dowitcher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인도차이나반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1993년 9월 3일 경기 시흥 소래염전에서 어린새 1개체가 처음 관찰된 이후 봄·가을에 불규칙하게 관찰되는 희귀한 나그네새다. 봄철에는 4월 하순에서 5월 하순까지, 가을철에는 8월 초순에서 9월 초순까지 관찰...
    분류 :
    도요과(Scolopacidae)
    서식지 :
    오브강 유역, 바이칼호 주변, 몽골, 중국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인도차이나반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크기 :
    L33cm
    학명 :
    Limnodromus semipalmatus Asian Dowitcher
  • 되새 brambling
    서식 스칸디나비아에서 캄차카, 사할린의 아한대에서 번식하고, 북아프리카, 유럽, 소아시아, 중앙아시아, 러시아 극동, 한국, 중국, 일본에서 월동한다. 한국...보통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불규칙하게 수십만 마리의 대규모 집단이 도래하기도 한다. 땅에 떨어진 씨앗, 풀씨 등을 즐겨 먹는다. 큰 무리를 이루어...
    분류 :
    되새과(Fringillidae)
    서식지 :
    스칸디나비아에서 캄차카, 사할린의 아한대에서 번식하고, 북아프리카, 유럽, 소아시아, 중앙아시아, 러시아 극동, 한국, 중국, 일본에서 월동한다.
    크기 :
    L15.5~16.5cm
    학명 :
    Fringilla montifringilla Brambling
  • 까치 가티, Black-billed Magpie
    포란한다. 번식 후에는 무리지어 생활하며 해질녘에는 일정한 장소에 모여 잠을 잔다. 겨울철에는 들판, 하천에서 서식하는 말똥가리, 독수리 등 맹금류를 공격해 몰아내는 경우가 많다. 특징 다른 종과 혼동이 없다. 머리, 목, 등이 검은색으로 보이며, 날개깃과 꼬리깃은 녹색, 푸른색, 자주색 광택이 있다. 첫째...
    분류 :
    까마귀과(Corvidae)
    서식지 :
    유라시아대륙의 중위도 지역, 북아프리카, 아라비아반도 남서부에 서식한다.
    크기 :
    L43~48cm
    학명 :
    Pica pica Eurasian Magpie / Common Magpie
  • 혹고니 천연기념물 제201-3호, Mute Swan
    유역에서 번식하고, 소아시아, 북아프리카, 중국 동부, 한국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적은 수가 월동하는 겨울철새다. 11월 초순에 도래하며 3월 하순까지 관찰된다. 행동 수생식물의 뿌리와 줄기를 먹는다. 다른 고니류처럼 시끄러운 소리를 거의 내지 않는다. 특징 전체가 흰색이다. 등색 부리와 검은색 혹이 있다...
    분류 :
    오리과(Anatidae)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201-3호
    서식지 :
    유럽 중·서부, 몽골, 바이칼호 동부, 우수리강 유역에서 번식하고, 소아시아, 북아프리카, 중국 동부, 한국에서 월동한다.
    크기 :
    L152cm
    학명 :
    Cygnus olor Mute Swan
  • 세가락갈매기 Rissa tridactyla
    흔히 괭이갈매기 무리와 섞이며, 섬 해안이나 절벽 또는 벼랑에 집단으로 번식하는데, 마른풀과 해초를 모아 접시 모양 둥지를 틀며, 매년 같은 둥지를 보수하여...참고문헌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부 박종길. 2014. 야생조류 필드 가이드. 자연과생태 이우신, 구태희, 박진영...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도요목(Charadriiformes) > 갈매기과(Laridae)
    학명 :
    Rissa tridactyla (Linnaeus, 1758)
    국내분포 :
    10월부터 4월까지 동해안 해안에서 드물게 관찰된다.
    해외분포 :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그린란드의 해안 절벽에서 번식하고, 북태평양, 북대서양, 북극해 주변의 먼 바다에서 월동한다.
    특징 :
    겨울철새
  • 붉은어깨도요 Great Knot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국내에서는 큰 무리를 이루어 통과하는 흔한 나그네새다. 봄철에는 4월 중순에 도래해 5월 하순까지 관찰되며, 가을철에는 8월 초순에 도래해 10월 중순(드물게 11월 초)까지 관찰된다. 행동 갯벌, 해안의 모래펄, 하구에 서식한다. 항상 무리를...
    분류 :
    도요과(Scolopacidae)
    서식지 :
    시베리아 북동부에서 번식하고, 인도,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월동한다.
    크기 :
    L28cm
    학명 :
    Calidris tenuirostris Great Knot
  • 붉은부리갈매기 Larus ridibundus
    먹는데, 거미, 갑각류, 환형동물을 비롯하여 새알이나 쥐도 먹으며 어장에 남아 있는 어류 조각이나 음식물 찌꺼기도 주워 먹는다. 행동습성: 번식은 해안 모래밭, 호수 또는 만 가운데 있는 섬, 습지, 풀밭에서 집단으로 하며, 땅 위 오목한 곳에 둥지를 틀고 4월 중순에서 7월에 한배에 2∼4개의 알을 낳는다. 참고...
    분류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류강(Aves) > 도요목(Charadriiformes) > 갈매기과(Laridae)
    학명 :
    Larus ridibundus Linnaeus, 1766
    국내분포 :
    우리나라 전역의 해안가, 하구, 항구에서 무리를 이루어 월동한다.
    해외분포 :
    유라시아대륙 북부, 영국, 아이슬란드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유라시아대륙과 아프리카의 적도에서 월동한다.
    특징 :
    겨울철새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