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극인 가택(可宅), 丁克仁광주(廣州) 출신. 자는 가택(可宅), 호는 불우헌(不憂軒) · 다헌(茶軒) · 다각(茶角). 아버지는 진사 정곤(丁坤)이다. 한편, 『국조방목(國朝榜目)』에는 정인(丁寅)의 아들로 되어 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29년(세종 11) 생원이 된 후 여러 번 과시에 응시했으나 번번이 떨어졌다. 1437년(세종 19) 세종이 흥천사...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
조선무용건설본부 朝鮮舞踊建設本部내용 박용호, 정지수, 김민자, 진수방, 한동인, 장추화, 이석예, 김애성, 김해성, 정인방, 심선방 등 40여 명의 신진 무용인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 무용의 초석을 다지며, 식민지 잔해 청산과 새로운 춤의 토대 확립을 위해 설립하였다. 해방 직후 일본에서 활동하지 않은 무용가들과 국내 젊은 무용가들이 과거의 굴레...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45년 9월 3일
- 성격 :
- 무용 단체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46년
- 설립자 :
- 박용호, 정지수, 김민자, 진수방, 한동인 등 신진무용인 40여 명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
손자병법 작전편, 병문졸속 미도교지구야 兵聞拙速 未睹巧之久也의미로도 많이 사용된다. 속(速)은 빠른 속도를 말한다. 우리는 지금 이 단어를 ‘빨리 하느라 조금 어설픈 태도’를 설명할 때 주로 사용한다. 그다지 긍정정인 의미는 아니다. 하지만 《손자병법》에서 졸속은 ‘조금 어설프더라도 빨리 공격한다’라는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완벽하게 준비할 때까지 기다리는 건...
-
국제작가회의 國際作家會議그들은 인간성의 해방, 문화의 옹호, 표현의 자유를 주장했으며, 이를 통해 파시즘에 대항하는 휴머니즘 문학을 제창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그해 10월정인섭이 「세계문단의 당면 동의」라는 글을 통해 파리의 국제작가회의 성과를 상세히 소개하고 세계문단의 동향을 신자유주의 운동으로 집약해 설명하였다. 하지만...
- 시대 :
- 현대
- 성격 :
- 문학행사
- 유형 :
- 의식행사
- 행사시기 :
- 1935년 6월 22일∼26일
- 장소 :
- 프랑스 파리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오충사 五忠祠丁春)과 함께 이순신의 막하에 들어가 진주 제석당산성(帝釋堂山城)에 주둔하여 큰 공을 세웠으므로 이순신의 계문으로 초계군수가 내려졌다. 그 뒤 아우 정인, 아들 정언신(丁彦信)과 함께 순절하여 정철에게는 병조판서가 추증되었다. 1921년에 창원정씨(昌原丁氏) 문중과 여수지역 향민이 쌍봉면 웅천리(지금의 여수...
- 건립시기 :
- 1921년
- 성격 :
- 사당
- 유형 :
- 유적
- 소재지 :
- 전라남도 여수시 웅천동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연화장세계 蓮華藏世界法性海)라고 보았다. 풍륜에 대해서는 망상(妄想)의 바람으로 보거나 무주(無住)의 근본이 바람이므로 풍륜 위에 있다고 하였다. 한없는 성덕(性德)을 갖춘 정인(正因)의 꽃이 연꽃이므로 이렇게 함장되어 있는 것이 연화장세계라고 하였다. 둘째, 부처의 입장에서 해석하면 대원(大願)의 바람으로써 대비(大悲)의 바다...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홍우경 초상 홍우경 초상 초본, 洪友敬 肖像내용 2004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유지 바탕에 채색. 세로 56.2㎝, 가로 28.4㎝.홍우경은 1603년(선조 36) 선조의 딸 정인옹주(貞仁翁主)와 혼인하여 당원위(唐原尉)에 봉해졌다. 조선시대에는 초상화를 그리면서 완성본인 정본(正本)을 그리기 전에 밑그림인 초본(草本)을 그렸다...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