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여민락만 경록무강지곡(景籙無彊之曲), 與民樂慢권4의 「여민락만」과 동일하여 「여민락만」의 원곡임을 알 수 있다. 전 10장의 『세종실록』의「여민락」은「용비어천가」의 한문시를 사용하고 가사는 16 정간마다 1자씩 배치되어 있으며 궁(宮, 潢)에서 시작하여 하오(下五, 黃)로 마친다. 장구점 1점은 8정간마다 붙어 있고, 장구점 7점마다 박(拍)을 치는데 박을...
- 시대 :
- 조선
- 성격 :
- 여민락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진요 震耀편(篇), 인출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요>는 <진요>와 <숙제> 두 편으로 구성되어 있는 ⟪정대업지무악⟫의 제6변의 제1편이다. 『세종실록』의 <진요>는 32정간 1행, 24행이 한 곡을 이루고 있다.(1행부터 4행까지는 1행 31정간, 5행부터 24행까지는 1행 32정간). 출현음은 남(㑲:A3), 황(黃:C4), 태(太:D4), 고(姑:E4...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전통음악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사설 社說부르짖는 사설로 일제에 도전하였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각각 창간 6개월 만에 <자연의 化>라는 사설과 <祭祀問題를 재론하노라>라는 사설로 정간 처분을 받았다. 특히, ≪조선일보≫는 정간이 풀린 직후 <愚劣한 조선총독 당국자는 何故로 우리 일보에 정간을 명하였나뇨>라는 항의 사설을 쓰고, 또...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
-
의인 依仁종묘제례악 용도에 맞게 축소되었으나, 〈의인〉과 〈융화〉 두 곡만은 곡의 길이가 축소되지 않았다. 구성 및 형식 《세종실록악보》에 전하는 〈의인〉은 32정간 6행의 길이로 되어 있으며, 선율은 임종궁 평조의 5음 음계로 되어 있다. 1행 32정간은 8(3·2·3), 8(3·2·3), 8(3·2·3), 8(3·2·3)으로 나뉘는데...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전통음악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인자 引子없다. 전인자와 후인자는 당악정재인 「연화대(蓮花臺)」와 향악정재인 「봉래의(鳳來儀)」에서 사용되었는데, 가사가 없는 관현(管絃)만의 연주로, 1행 32정간의 악보로 보아 모두 12행의 길이를 갖는다. 음계는 황·태·협·중·임·남·무의 7음 음계를 사용해 황종으로 시작해서 황종으로 끝난다. 1행마다 박(拍)이...
- 성격 :
- 인자곡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소년세계 少年世界少年世界)』는 1929년 12월 1일 소년세계사에서 이원규가 창간한 사회주의 계열의 아동 · 청소년 잡지이다. 이 잡지는 1929년부터 1930년 9월 10호를 내고 정간되었고, 1932년 다시 속간되었다. 이후 1933년 3월에는 제호를 『신세계』로 변경, 1935년 6월호까지 발간된다. 『동아일보』 「소년세계 발간」(1929.8.30.3...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연속간행물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
이길용 ・ 송진우 ・ 여운형 마라톤 우승의 감격, 일장기 말소로 표현하다묻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조사 결과를 발표한 직후인 8월 27일 오후 5시에 조선총독부는 송진우 사장을 경기도경찰부장실로 호출하여 무기발행정지, 곧 정간 명령서를 교부하였다. 지령 제3호의 문서에는 안녕질서를 방해하였기 때문에 신문지법 제21조에 따라서 1936년 8월 27일자로 발행을 정지한다는 내용이 있었다...
- 출생 :
- 이길용 1899년, 인천송진우 1890년, 전라남도 담양여운형 1885년, 경기도 양평
- 사망 :
- 이길용 미상송진우 1945년여운형 1947년
- 포상훈격 :
- 이길용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송진우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여운형 2005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2008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모래알 고금의 시선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는 점은 동일하지만 연작으로서 3부의 이야기가 서사적 긴밀성이나 유기성을 지니는 것은 아니다. 연재 지면인 『경향신문』의 정간과 복간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며 총 4회에 걸쳐 연재되었다. 연재 기간을 보면 『모래알 고금』(1957.9.10.~1958.1.22.)이 1회부터 134회까지 1부 연재...
- 시대 :
- 현대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영산회상 현악영산회상, 靈山會相구성되었다. 장마다 갈래는 중령산이 5장으로 가락더리는 3장으로 구분되어 있고, 나머지 악곡은 모두 4장으로 구분한다. 상령산과 중령산은 6·4·4·6 정간의 20박 한 장단으로 느리게 연주하다가 세영산부터 3·2·2·3 정간의 10박 한 장단으로 속도가 변하여 가락더리까지 이어지게 된다. 삼현도드리부터 염불...
- 유형 :
- 작품/전통음악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