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모 玳瑁전어지』에 우리나라 제주도 바다에도 있다고 하였으며, 『자산어보』의 해구(海龜) 설명 중에 ‘배와 등에 대모의 무늬가 있고 …… 혹시 대모일 것 같다.’는...태평양의 열대 바다에 많고, 타이완(臺灣) · 오키나와(冲繩), 일본의 규슈(九州) · 혼슈(本州)의 연해에도 온다고 하였으니 예전에는 제주도 연해에...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동물
-
전지왕 직지(直支), 腆支王이후에, 『일본서기』에는 428년 이후에 죽은 것으로 나와 있어서 『삼국사기』에 쓰여 있는 420년과는 차이가 난다. 생애 및 활동사항 전지왕은 태자로 있을 때 부왕인 아신왕에 의해 397년(아신왕 6)에 왜(倭)에 볼모[質子]로 보내졌다. 이는 아신왕이 고구려의 남진압력에 대항하기 위해 왜와의 화호(和好)를 도모...
- 시대 :
- 고대/삼국/백제
- 출생 :
- 미상
- 사망 :
- 420년(전지왕 16)
- 경력 :
- 백제 제18대 국왕(재위: 405∼420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도리시마섬 (나가사키현) 鳥島 (長崎県)표선에서 170km 동남쪽에 위치한다. 일본에서는 다른 섬과 구분하기 위해 히젠토리시마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섬은 대한민국 대륙붕의 자연적 연장내에 위치하며 일본과는 해구로 단절되어있다. 일본에서는 이 암초가 대륙붕이나 배타적 경제 수역(EEZ)의 기점이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단조 군도(남녀군도) 이어도도서 위키백과
-
죽천문집 竹泉文集모두 일본이나 대마도에 보내는 서계로, 서식이 틀리니 개서(改書)하라는 내용이 특징적이다. 서(序) 가운데 「회양지서(淮陽誌序)」·「정축구황록서(丁丑救荒錄序)」·「무인견폐록서(戊寅蠲弊錄序)」 등은 회양수(淮陽守)로 있었던 것을 계기로 읍지(邑誌)와 구황록을 편찬하게 되었다는 경위를 서술한 것이다...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김진규(金鎭圭)
- 창작/발표시기 :
- 1773년(영조 49)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5권 12책
- 간행/발행 :
- 김양택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장서각 도서,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죽여도 죽지 않는 생존의 귀재들!!내려가는 일본의 추운 지역에서도 겨울을 거뜬히 날 수 있다. 놀라운 사실은 과학자들이 번데기를 영하 183℃의 액체질소에 70일 동안 넣어 두었는데도 살아남았다는 것이다. 노란쐐기나방과는 반대로 ‘더위 견디기’의 귀재는 서관충(tubeworms)이다. 서관충은 산호처럼 군집생활을 하는 생물로 해저 화산 분출구에...
-
안세이 하치노헤 해역 지진 安政八戸沖地震안세이 하치노헤 해역 지진은 1856년 8월 23일에 하치노헤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릭터 규모은 M7.5~7.7. 최대진도은 진도5.웹 인용 최대 해일 높이 (해일 규모) 은 5~7m. 사망자 38명. 산리쿠 해역 북부의 고유지진이다.、地震調査研究推進本部 서적 인용 pp.667-678 깨진 링크 일본 해구 메가스러스트 지진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