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페이 1 Maffei 1, マフェイ1
    타원은하이다. 상자 형태를 띠고 주로 늙은 금속풍부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찬가지로 계속해서 별들로 이루어진 매우 작은 청색의 은하을 가지고 있다. 모든 거대타원은하와 같이, 마페이 1은 두드러지는 분포의 구상성단들을 가지고 있다. 마페이 1은 우리은하로부터 3~4 Mpc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이 은하...
    도서 위키백과
  • 준성 천체 탐조등은 하늘에서 얼마나 밝게 보이는가?
    지구에서 맨눈으로는 어떤 준성 천체나 활동 은하도 관측할 수 없다. 지구에서 보이는 가장 밝은 준성 천체는 3C 273이다. 이 천체는 지구에서 20억 광년 정도 떨어진 거리에 있는데 작은 아마추어용 망원경으로는 찾기가 어렵다. 그러나 준성 천체는 매우 밝아서 멀리 있는 다른 천체에 비해 큰 천체 망원경으로는...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초고에너지 우주선 Ultra-high-energy cosmic ray, 超高エネルギー宇宙線
    2007년에는 PAO에서 EECR이 가까운 은하의 중심인 활동은하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에서 방출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극도로 높은 에너지를 활동은하 자기권 내의 원심성 가속구조를 통해서도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여러 연구 결과에서는 우주선의 40% 미만이 활동은하에서 나왔다는 결과가 나오면서...
    도서 위키백과
  • 퀘이사의 흡수선이란 무엇인가?
    만약 퀘이사(보다 일반적으로 활동 은하이나 준성 천체)의 스펙트럼이 퀘이사 자체가 생성하지 않는 흡수 특성을 가지고 있다면, 퀘이사의 빛이 그 빛의 일부를 흡수하는 다른 물질이나 다른 천체를 지나왔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종류의 퀘이사 흡수선은 그것이 퀘이사 빛에 끼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알 수 있는데...
    도서 누구나 천문학 | 태그 우주
  • NGC 4302 NGC 4302
    은하이다. 이 은하는 1784년 4월 8일에 윌리엄 허셜에 의해 발견되었고, 처녀자리 은하단의 구성원이다. NGC 4302은 세이퍼트 은하로 분류되어 있으며, 저이온화 방출선 영역 (LINER) 은하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크고 뚜렷한 먼지띠를 가지고 있다. NGC 4302는, 위에서 언급한것처럼, 큰 먼지띠를 가지고 있는데...
    도서 위키백과
  • NGC 7742 NGC 7742, 荷包蛋星系
    있다는 점에서 다른 나선은하보다 구분된다. 천문학에서, 이 같은 은하를 '고리 은하' 또는 '링 은하' (Ring Galaxy) 로 분류한다. NGC 7742의 경우, 가운데 은하과 흐릿한 나선팔의 조화 덕에 계란 프라이 은하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NGC 7742는 LINER 은하이자, 2형 세이퍼트 은하로 분류되어 되어 왔는데, 이는 이...
    도서 위키백과
  • 우주의 기원 및 진화
    온도가 내려갔지만 관심 있는 그 다음의 시점은 이후 약 70만 년 동안 일어나지 않았다. 그때 온도가 충분히 낮아져서 전자와 이 안정된 원자를 형성하기 시작했으며, 물질로부터 은하와 별이 형성되었다. 그뒤에 대부분 수소와 약 20∼30%의 헬륨을 재료로 하여 탄생한 별은 다른 더 무거운 원소들을 만들었는데 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장주기변광성 long-period variable star
    이들은 예외 없이 적색거성이거나 초거성이다. 주기가 약 200일로 상당히 뚜렷한 군에 있는 이러한 변광성들은 일반적으로 종족 Ⅱ라고 하는 별(주로 은하의 중심과 헤일로에서 관측되는 늙은 별)에 속한다. 주기가 1년 이상인 또다른 군은 주로 종족 Ⅰ의 별(일반적으로 은하의 나선팔에서 관측되는 젊은 별)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NGC 3256 NGC 3256
    촉진 시키는 걸로 관측됐고, 찬드라 X-선 망원경과 스피처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 가시광선 영역에서 안 보이는 남부 중심부는 광도가 낮은 활동 은하 (AGN)으로 밝혀졌고, 또한 X-선 영역에서는 세이퍼트 2형 은하와 유사한 은하으로 확인됐다. NGC 3256은 적어도 7개의 거대한 전리수소영역을 포함하고...
    도서 위키백과
  • M-시그마 관계 M-시그마 관계, M–sigma relation
    동역학적 측정 결과로 블랙홀의 질량은 팽대부 질량의 평균 ~1% 정도 주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매고리언 관계", Magorrian relation) 다른 두 기법, 활동은하에서의 반사광측량(reverberation mapping), 그리고 퀘이사의 빛을 설명하기 위해 요구되는 블랙홀에서의 우주 밀도를 계산하는 솔탄의 주장(soltan argument...
    도서 위키백과
  • 세페이드 변광성 Cepheid variable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은 이들의 절대등급(絶對等級)이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거리지수로 아직까지 유용하다. 단주기 세페이드는 우리은하의 헤일로(halo)와 중심에서 발견되는 늙은 별들의 계급인 종족 Ⅱ에 속한다. 고전적 세페이드의 절대등급은 그들의 주기로부터 계산된다. 만일 절대등급이 알려지면 별의 거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성운 성무, 星雲
    실제로는 더 많이 존재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천문학자들은 행성상성운이, 은하 안에 있는 질량이 태양질량의 1~4배인 모든 별의 항성진화 마지막 단계에서 1년...이후에는 포피부가 날아가버려 행성상성운이 생기게 된다. 남아 있는 은 중심별을 이루고 천천히 식어 결국은 백색왜성이 된다. 행성상성운은 별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블랙홀을 포함한 활동 핵을 지닌 두 활동 은하의 상상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