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 가장 변변한 풍요의 신 가족들
    아들과 이라는 것도 기억이 날 것이다. 이들이 사이좋은 한 가족인 만큼, 각자에 대해 골고루 소개할 말이 많으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프레이야는 북유럽 신화에서 매우 빈번하게 언급되지만 아버지와 아들은 그다지 별 볼일이 없다. 특히 아버지 뇨르드의 존재감은 너무나 미미해 애처로울 정도다...
  • 지증 지증(智證), 智證王
    습보갈문왕(習寶葛文王)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김씨로 눌지마립간의 인 조생부인(鳥生夫人)이며, 왕비는 박씨로 이찬(伊飡) 등흔(登欣)의 연제부인(延帝夫人)이다. 은 몸이 건장했으며 담력이 있었다고 한다. 재종형인 소지마립간이 후계자 없이 죽자 64세의 나이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502...
    시대 :
    고대/삼국
    출생 :
    437년
    사망 :
    514년
    유형 :
    인물
    직업 :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태종무열 Muyeol of Silla, 武烈王
    김영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603년에 출생했다. 아버지는 진지(眞智王)의 아들 김용춘김용수(金龍樹)라고도 한다., 어머니는 진평왕의 이었던 천명부인이다. 그가 사료에 '진골'로 기재된 것에 대해서는 할아버지인 진지이 재위 4년 만에 국인에 의해 폐위당한 점이나 김춘추 자신이 진골...
    도서 위키백과
  • 이뇌 이부리지가(已富利知加), 異腦王
    利知加)’라고도 한다. 대가야 시조 뇌실주일(惱室朱日, 또는 伊珍阿鼓王·內珍朱智)의 8세손으로 부인은 신라의 이찬(伊飡) 비지배(比枝輩, 또는 比助夫)의 (혹은 누이)이다. 아들은 제10대 왕인 월광태자(月光太子)이다. 그런데 월광태자는 제16대 왕인 도설지(道設智王)과 동일인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며, 이러한...
    시대 :
    고대/삼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선덕 King Seondeok of Silla, 宣徳王
    삼국유사에는 나타나지 않는 내용이며, 사다함은 선덕보다 2백 년 이전에 활동하던 인물이라 증조부-증손자로 보기에는 연대 차이가 길다. 어머니는 성덕왕의 로, 혜공왕에게는 고종사촌, 혜공왕은 그의 외사촌간이 된다. 경덕왕 23년(764년) 아찬(阿飡)을 거쳐 혜공왕 10년(774년) 상대등(上大等)이 되었다. 선덕...
    도서 위키백과
  • 세종 조선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다
    죄인의 이 왕비의 자리에 있을 수 없다며 폐비를 주장했지만 태종은 이를 허락하지 않았다. 세종도 부왕의 뜻대로 장인인 심온을 복권시키지 않았지만, 정비인 소헌왕후만은 몹시 아꼈다. 세종과 소헌왕후는 8남 2녀의 자녀를 두었는데, 첫째 아들이 문종, 둘째 아들이 세조(수양대군)다. 세종은 이 밖에 5명의 후궁을...
    시대 :
    조선
    출생 :
    1397년(태조 6)
    사망 :
    1450년(세종32)
    본명 :
    이도(李祹)
    본관 :
    전주(全州)
  • 신라 35대 왕, 경덕왕 신라 제 35대 왕, 景德王
    전제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해 정치개혁을 시도했으며, 불교중흥에 힘쓰는 등 신라문화의 절정기를 맞게 했다. 즉위와 제도개혁 이름은 헌영(憲英). 성덕왕의 아들이며 효성왕(孝成王)의 동생이다. 왕비는 이찬(伊飡) 순정(順貞)의 김씨와 서불한(舒弗邯) 의충(義忠)의 만월부인(滿月夫人) 김씨이다. 효성왕이 자식...
    출생 :
    미상
    사망 :
    765(경덕왕 24)
    국적 :
    통일신라, 한국
    종교 :
    불교
    재위 :
    742년∼765년
    능묘 :
    경주 경덕왕릉(慶州 景德王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선조 조선 최대의 전란을 겪다
    정씨도 선조가 왕위에 오르기 직전에 죽었다. 선조는 세자를 거치지 않고 바로 으로 즉위했기 때문에 즉위 초반에는 명종비인 인순왕후의 수렴청정과 원상들의...이듬해부터 친정을 시작했다. 선조는 1569년(선조 2)에 박응순(朴應順)의 을 왕비로 맞이했다. 그가 의인왕후(懿仁王后)다. 의인왕후는 몸이 약하고...
    시대 :
    조선
    출생 :
    1552년(명종 7)
    사망 :
    1608년(선조 41)
    본명 :
    이균(李鈞)
    본관 :
    전주(全州)
  • 광종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대왕, 光宗
    있으며 자신의 누이인 낙랑공주는 경순왕 김부에게 출가했다. 게다가 경순왕의 을 며느리로 삼았으니 광종은 신라계의 외조부와 매부, 며느리를 각각 둔 것...삼고 서경을 서도로 삼는 조치도 내렸다. 이러한 일련의 개혁 작업들은 으로서의 자부심을 대내외에 나타내는 것이었고 뒤이어 일어날 대대적인 숙청작업...
  • 솔로몬 지혜의 왕, Solomon
    그의 지위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다. 이러한 대가족은 쾌락뿐 아니라 명성도 가져다주었는데, 당시 혼인은 외교의 한 형태였다. 솔로몬은 원근각처 들의 누이나 과 혼인함으로써 거대한 상업제국을 세우는 데 필요한 군사·무역 동맹들을 맺었다. 이러한 혼인으로 얻은 신부들 가운데 이집트 파라오의 이...
    출생 :
    미상
    사망 :
    BC 931
    국적 :
    이스라엘
  • 연산군 유교적 통치이념을 거부하고 절대 왕권을 추구하다
    즉위 후 조정에 피바람이 휘몰아쳤다. 연산군은 세자 시절 신승선(愼承善)의 과 결혼해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으며, 1명의 후궁에게서 2남 1녀를 더 두었다...유교적 통치이념을 거부한 파격 군주 연산군은 조선왕조의 어떤 과도 성격이 다른 인물이었다. 무엇보다도 그는 조선의 통치이념인 유교 윤리를 거부...
    시대 :
    조선
    출생 :
    1476년(성종 7)
    사망 :
    1506년(연산군 12)
    본명 :
    이융(李小隆)
    본관 :
    전주(全州)
  • 아소카 참회의 군주
    출신이지만 고귀한 왕족의 혈통을 타고난 사람이 아니었다. 전설에 따르면 산속에서 수도 생활을 하고 있던 한 가난한 브라만이 어느 날 자신의 어린 이 훗날 위대한 을 낳을 것이라는 계시를 받았다. 그러자 그는 예언과 함께 을 빈두사라 에게 보냈는데, 그녀가 바로 다르마이다. 아소카에게는 많은 이복형제...
    국적 :
    인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