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딸이 가장 변변한 풍요의 신 가족들아들과 딸이라는 것도 기억이 날 것이다. 이들이 사이좋은 한 가족인 만큼, 각자에 대해 골고루 소개할 말이 많으면 좋겠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프레이야는 북유럽 신화에서 매우 빈번하게 언급되지만 아버지와 아들은 그다지 별 볼일이 없다. 특히 아버지 뇨르드의 존재감은 너무나 미미해 애처로울 정도다...
-
지증왕 지증(智證), 智證王습보갈문왕(習寶葛文王)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김씨로 눌지마립간의 딸인 조생부인(鳥生夫人)이며, 왕비는 박씨로 이찬(伊飡) 등흔(登欣)의 딸 연제부인(延帝夫人)이다. 왕은 몸이 건장했으며 담력이 있었다고 한다. 재종형인 소지마립간이 후계자 없이 죽자 64세의 나이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502...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437년
- 사망 :
- 514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이뇌왕 이부리지가(已富利知加), 異腦王利知加)’라고도 한다. 대가야 시조 뇌실주일(惱室朱日, 또는 伊珍阿鼓王·內珍朱智)의 8세손으로 부인은 신라의 이찬(伊飡) 비지배(比枝輩, 또는 比助夫)의 딸(혹은 누이)이다. 아들은 제10대 왕인 월광태자(月光太子)이다. 그런데 월광태자는 제16대 왕인 도설지왕(道設智王)과 동일인으로 보는 견해가 있으며, 이러한...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
신라 35대 왕, 경덕왕 신라 제 35대 왕, 景德王전제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해 정치개혁을 시도했으며, 불교중흥에 힘쓰는 등 신라문화의 절정기를 맞게 했다. 즉위와 제도개혁 이름은 헌영(憲英). 성덕왕의 아들이며 효성왕(孝成王)의 동생이다. 왕비는 이찬(伊飡) 순정(順貞)의 딸 김씨와 서불한(舒弗邯) 의충(義忠)의 딸 만월부인(滿月夫人) 김씨이다. 효성왕이 자식...
- 출생 :
- 미상
- 사망 :
- 765(경덕왕 24)
- 국적 :
- 통일신라,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742년∼765년
- 능묘 :
- 경주 경덕왕릉(慶州 景德王陵)
-
-
-
-
연산군 유교적 통치이념을 거부하고 절대 왕권을 추구하다즉위 후 조정에 피바람이 휘몰아쳤다. 연산군은 세자 시절 신승선(愼承善)의 딸과 결혼해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으며, 1명의 후궁에게서 2남 1녀를 더 두었다...유교적 통치이념을 거부한 파격 군주 연산군은 조선왕조의 어떤 왕과도 성격이 다른 인물이었다. 무엇보다도 그는 조선의 통치이념인 유교 윤리를 거부...
- 시대 :
- 조선
- 출생 :
- 1476년(성종 7)
- 사망 :
- 1506년(연산군 12)
- 본명 :
- 이융(李小隆)
- 본관 :
- 전주(全州)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