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벽위신편 闢衛新編가 수록되어 있다. 아울러 49개 조목에 달하는 연안 지형 내용, 1482년 이래의 해방 관련 사건들이 첨부되었다. 권5 「정리전도」는 세계 인문 지리학 또는 역사 지리학적 설명으로, 그 끝에는 박규수의 「지세의명(地勢儀銘)」이 첨부되어 있다. 권6 「비어초략」에서는 청의 문사들이 제시한 해방 이론을 바탕으로...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천주교
-
-
관북여지도 關北輿地圖1712년(숙종 38) 조선과 청나라 정계(定界)를 전후로 함경도 지방 방어에 대한 높아진 관심을 잘 보여준다. 특히, 국내외에 현존하는 약 8점의 『관북여지도』와 비교해볼 때, 정밀도와 완성도가 높아 역사지리학적 · 미술사적으로 가치가 빼어난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2020년 2월 27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해주도 병풍 海州圖 屛風여러 장르를 한 화면에서 종합적으로 보여줄 뿐 아니라 황해도 감영의 구조는 물론, 해주팔경의 일부와 해주의 주요 산천과 명승고적이 묘사되어 있어 역사 · 지리학적으로도 사료적 가치가 높다. 2017년 12월 6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고,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작품/서화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