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운현궁 사적 제257호, 雲峴宮
    태어나 운현 언덕의 큰 소나무를 타고 뛰노는 12세 소년으로 자랐다. 명복, 익종의 양자가 되어 왕위에 오르다 흥선대원군 집안과 헌종의 어머니인 조대비(신정왕후)의 인연은 효명세자의 장례에서부터 시작된다. 1830년 순조의 장남 효명세자가 죽었을 때 남연군의 둘째 아들 이정응(흥완군)을 수묘관(守墓官)으로...
    위치 :
    중부 정선방(조선시대)
    소재지 :
    종로구 삼일대로 461 등 운현궁
  • 효정왕후 Queen Hyojeong, 孝定王后
    이 아이가 조선의 마지막 궁녀인 천일청(千一淸) 상궁이다. 1863년, 철종이 승하하고 고종이 즉위하자 홍성(弘聖)의 존호가 가상되었고 1890년, 대왕대비인 신정왕후가 승하하자 왕실의 최고 어른이 되었다. 대한제국이 개국하면서 왕태후에 책봉되었다. 1904년 1월 2일(음력 1903년 11월 15일) (광무 7), 경운궁 수인당...
    도서 위키백과
  • 정덕왕후 Queen Jeongdeok, 貞德王后
    君) 원장태자(元莊太子) 등의 왕자와 문혜(文惠)선의(宣義)왕후와 성명미상의 공주를 두었다. 이들은 태조의 제3후 신명순성왕후(神明順成王后)계 및 제4후 신정왕후 황보씨(神靜王后)계와 상호 연결된 혼인관계를 맺으면서 고려 초기의 정치적 변동기에 중요한 왕실세력의 하나로 남아 있었다. 아버지 : 시중(侍中...
    도서 위키백과
  • 수릉 綏陵
    다시 추숭(追崇)되었다. 이에 따라 1830년 효명세자 연경묘(延慶墓)로 조성하였던 묘를 1834년 봉릉(奉陵)하였고, 1846년과 1855년 천릉(遷陵) 후 1890년 신정왕후(神貞王后, 1808~1890)의 합장이 이루어졌다. 신정왕후는 승하 후 능호(陵號)가 홍릉(洪陵)으로 정해졌으나 익종과 합장이 결정되어 수릉(綏陵)이라는 능호...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적/고인돌·고분·능묘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여흥부대부인 Sunmok Budaebuin, 純穆大院妃
    철종 14년) 12월, 철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왕위 계승권은 철종의 4촌인 익평군의 아들과 철종의 호적상 6촌인 흥선군의 아들들로 압축되었다. 흥선군은 신정왕후를 자주 찾아 친분을 쌓고 자신의 아들 중 한 명을 익종의 양자로 삼는다는 조건으로 왕위 계승에 대한 동의를 얻어냈다.《철종실록》 15권, 철종 14년...
    도서 위키백과
  • 헌종계비 효정왕후 가상존호 옥책 憲宗繼妃 孝定王后 加上尊號 玉冊
    6년(1902), 헌종 계비(繼妃) 효정왕후(孝定王后, 1831~1903)에게 ‘유녕(裕寧)’이라는 존호(尊號)를 가상(加上)하면서 제작한 옥책이다. 고종의 망육(望六)을...묘호(廟號)를 올렸으나 존호를 올리지 못한 문조(文祖,익종)와 문조비 신정 익황후(神貞 翼皇后)에게도 존호를 추상(追上)하였고, 전례를 따라 왕실의 어른...
    분류 :
    유물 > 어책
    크기 :
    세로: 26.2cm, 길이: 184.1cm, 두께: 1.4cm, 폭: 17.6cm, 편폭(片幅): 3.4cm
    재질 :
    청옥(靑玉), 동(銅), 비단
  • 성종 고려 6대왕, 成宗
    이가 바로 제6대 왕 성종(成宗)이며 이때 그의 나이 22세였다. 성종은 비적장자로서 왕위를 계승한 인물이었다. 광종 11년(960) 태조의 아들 대종 욱(제4비 신정왕후 황보씨 소생)과 태조의 딸인 선의왕후 유씨(제6비 정덕왕후 유씨 소생)와의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난 성종에게는 형 효덕태자와 아우 효경태자가...
  • 동구릉 신들의 정원에서 왕도 사랑했네
    몇 차례 숨길을 열고 닫는다. 산림이 주는 피톤치드의 청량감이 폐부 깊숙이 스민다. 왕도 사랑을 했구나 왕릉의 길은 경종의 비 단의왕후 심 씨의 혜릉과, 익종과 신정왕후 조 씨의 능인 수릉 앞에서 갈린다. 두 능은 동구릉을 빙 둘러 다시 만나리라. 수릉으로 향한다. 익종은 헌종의 아버지였다. 살아서 왕이 되지...
    소재지 :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길 233
    가는 법 :
    지하철 중앙선 구리역 3번 출구. 마을버스 2, 6번 환승. 동구릉 하차
    이용 시간 :
    오전 6시~오후 5시 30분 입장(3~10월)오전 6시 30분~오후 4시 30분 입장(11~2월)
  • 진찬의궤 進饌儀軌
    김씨(純元王后金氏)의 육순을 축하하기 위하여 베푼 진찬의절을 기록한 책으로, 3권 권수 합 3책이며 필사본이다. ③ 1868년(고종 5) 12월 6일 대왕대비인 신정왕후 조씨(神貞王后趙氏)의 회갑을 축하하기 위하여 베푼 진찬의식에 관한 기록으로, 2권 권수 합 3책이며 필사본이다. ④ 1877년 12월 6일 신정왕후 조씨의...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예술·체육/무용
  • 상호도감의궤 上號都監儀軌
    유물설명 1866년(고종 3)에 대왕대비 신정왕후(神貞王后, 1808~1890)의 수렴청정(垂簾聽政)이 끝나자 이를 경축하기 위해 익종(翼宗), 헌종(憲宗), 철종(哲宗) 및 이들의 비인 신정왕후(神貞王后), 효현왕후(孝顯王后), 효정왕후(孝定王后), 철인왕후(哲仁王后)에게 존호(尊號)를 올린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고종은...
    분류 :
    유물 > 전적
    크기 :
    가로: 32.4cmcm, 세로: 45.3cmcm
    재질 :
    종이에 먹과 채색
  • 세도가문의 틈에 선 헌종의 몸부림
    순조의 뒤를 이어 여덞 살의 나이 어린 헌종이 즉위하였다. 헌종은 순조의 손자이며, 앞서 대리청정을 하였던 효명세자(후에 익종으로 추존됨)와 신정왕후 사이에서 난 아들이었다. 헌종이 여덞 살이라는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기 때문에 당시 왕실의 가장 큰 어른인 순원왕후, 즉 순조비가 수렴청정을 하였다. 순원왕후...
  • 동구릉 동오릉, 東九陵
    능인 목릉, 제18대 현종과 명성왕후의 능인 숭릉, 제16대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능인 휘릉, 제20대 경종의 비 단의왕후의 능인 혜릉, 제21대 영조와 계비 정순왕후의 능인 원릉, 제24대 헌종과 효현왕후, 계비 효정왕후의 능인 경릉, 제23대 순조의 세자인 익종과 신정왕후의 능인 수릉 등 9개의 능이 자리하고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사적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13건

신정왕후
신정왕후 조씨의 초상
효명세자 상상어진
흥선대원군
신정왕후수릉산릉도감의궤
신정왕후수릉산릉도감의궤
신정왕후수릉산릉도감의궤
디자인 - 신정왕후 왕세자빈 책봉 죽책
문조비 신정왕후 추상존호 금보
문조비 신정왕후 추상존호 금보
문조비 신정왕후 추상존호 금보
문조비 신정왕후 추상존호 옥보
문조비 신정왕후 추상존호 옥책
문조비 신정왕후 추상존호 옥보
문조비 신정왕후 추상존호 금보
문조비 신정왕후 추상존호 금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