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알폰소 10세 현명왕 알폰소, Alfonso X
    전사했다. 둘째 아들인 산초는 침략자들을 물리치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프랑스 왕의 조카들이기도 한 페르난도의 아들들을 무시하고 알폰소 10세의 상속자를 자처했다. 알폰소는 1278년 산초의 주장을 승인했지만 프랑스의 압력을 받아 1281년에는 애매한 태도를 취했다. 산초는 알폰소에게 불만을 품은 세력들을...
    출생 :
    1221. 11. 23, 카스티야 부르고스
    사망 :
    1284. 4. 4, 세비야
    국적 :
    카스티야·레온
  • 하인리히 2세 Heinrich II
    에서 프로테스탄트인 쿨름바흐바이로이트의 알베르트 2세 알키비아데스를 무찔렀으나 가톨릭교도인 맏아들과 둘째 아들을 잃었다. 그의 통치 말년은 자신의 상속자로서 루터파인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율리우스와의 투쟁으로 얼룩졌다. 결국 하인리히는 새로운 종교에 대해 어느 정도의 관용을 보임으로써...
    출생 :
    1489. 11. 10
    사망 :
    1568. 6. 11
    국적 :
    독일,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 커원 Richard Kirwan
    그는 가톨릭교도로 태어나 1750~54년 프아티에대학교를 다녔고, 같은 해 프랑스 생토메르에 있는 예수회 수련원에 들어갔으나 1755년 그의 형(가족재산 상속자)이 결투로 죽자 생토메르를 떠나 아일랜드로 돌아왔다. 그는 변호사로서 잠깐 일했지만 곧 이 직업이 자신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777~87년...
    출생 :
    1733. 8. 1, 아일랜드 골웨이 클러프밸리모어
    사망 :
    1812. 6. 1, 더블린
    국적 :
    아일랜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줄루족 Zulu
    연장자가 가족을 다스린다. 줄루족 사회는 아버지의 권위가 강한 가부장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일부다처제 관습이 있으며, 한 남자에 속한 여러 아내들은 상속자의 어머니인 '큰부인'을 중심으로 엄격하게 서열이 정해져 있다. 또한 과부가 죽은 남편의 형제와 의무적으로 결혼하는 레비레이트 혼(婚) 관습과 여성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명예혁명 名譽革命, Glorious Revolution
    선동 비방죄로 기소당했다. 그들은 1688년 6월 제임스 2세의 가톨릭교도 왕비 모데나의 메리가 아들을 낳는 것과 거의 동시에 석방되었다. 제임스 2세에게 상속자가 탄생한 사건은 그의 가톨릭 정책이 무한정 계속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었으며 국민의 불만은 극에 달했다. 토리당의 던비 백작과 헨리 컴프턴 런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페르디난트 3세 Ferdinand III
    2세는 자신의 중앙집권적·절대주의적인 계획을 은연중에 포기하고 1627년 당시의 현상태로 돌아갔다. 1636년 로마인들의 왕(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상속자)으로 선출된 페르디난트는 이듬해 아버지가 죽자 황제가 되었다. 그는 비록 자기 영토 내에서 종교적 관용을 거부했고 재산을 박탈당한 프로테스탄트 귀족에 대해...
    출생 :
    1608. 7. 13, 오스트리아 그라츠
    사망 :
    1657. 4. 2, 빈
    국적 :
    신성 로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보나파르트, Napoléon-Joseph-Charles-Paul Bo..
    하여 공식적인 권위를 모두 상실했다. 제정이 몰락한 뒤 은퇴한 것과 다름없이 지내다가 1879년 나폴레옹 3세의 아들이 죽음에 따라 나폴레옹 제위의 직계 상속자가 되었다. 보나파르트 가문의 왕권을 주장하는 사람으로서 불운하고 불명예스럽게 지냈으며, 죽기 전에 큰아들 나폴레옹 빅토르 제롬(1862~1926)에게 자리...
    출생 :
    1822. 9. 9, 트리에스테
    사망 :
    1891. 3. 17, 로마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베아트릭스 Beatrix
    경력을 가졌기 때문에 이 약혼은 국민의 분노를 불러일으켰다. 두 사람은 1966년 3월 10일 결혼했고, 이어 1890년 이래 오라녜가(家) 최초의 남자 상속자인 빌렘 알렉산데르(1967), 얀 프리스코(1968), 콘스탄테인(1969)이 태어나자 두 사람에 대한 국민의 적대심은 확실히 약해졌다. 1980년 율리아나 여왕이 물러난 뒤...
    출생 :
    1938. 1. 31, 네덜란드 수스트데이크
    국적 :
    네덜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대영 제국의 흥망성쇠
    혈통을 남겨 놓지 못했어도 왕위계승률을 남겨 놓음으로써 새로운 왕조가 잉글랜드의 정치적 정서를 이어가도록 했다. 그 왕위계승률은 계승자가 남자 상속자이며 반드시 신교인이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것이 스코틀랜드와 웨일스를 합한 브리튼 전체를 통치하는 하노버 왕조의 시작이다(이때부터 잉글랜드보다는...
  • 글래스펠 수전 글래스펠, Susan Glaspell
    Desires〉(공연 1915)을 무대에 올리기 위해서였다. 이 작품과 단막극 〈시시한 것들 Trifles〉(1916)은 소극단에서 자주 공연되었다. 장막극들 중 〈상속자 Inheritors〉(공연 1921)와 〈지평선 The Verge〉(1921)은 프로빈스타운 극단이 사업을 확대하여 뉴욕 시 그리니치 빌리지에 있는 극장으로 이사했을 때 제작...
    출생 :
    미국 아이오와 데번포트, 1882. 7. 1
    사망 :
    1948. 7. 27, 매사추세츠 프로빈스타운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사손 본손, 使孫
    있어 친조카보다 사위가 우선순위로 되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적자가 없는 경우 양천을 막론하고 직계비속인 첩자에게 우선순위가 있고, 없는 경우에는 피상속자의 형제에게, 형제가 죽었을 경우에는 그 자녀인 조카에게, 조카가 죽었을 경우에는 그 자녀인 종손에게 상속하게 했다. 만약 이들에게도 자녀가 없을 경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피에몬테 Piemonte
    롬바르드족과 프랑크족의 지배가 끝난 뒤 사보이 가문이 이탈리아 북서부의 강력한 제후로 등장했다. 이 가문은 처음에는 이브레아·토리노 후작령의 유력한 상속자였으나, 1400년 이후로 알프스 산맥의 양 기슭 지역을 지배하면서 사부아(지금의 프랑스령)와 피에몬테를 다스리게 되었으며, 많은 지방에 대해 주권을...
    위치 :
    이탈리아 북서부
    인구 :
    4,341,375명 (2020년 추계)
    면적 :
    25,402㎢
    언어 :
    이탈리아어
    대륙 :
    유럽
    국가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