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갑산군의 산업과 교통
    생산된다. 임동리와 창동리에서는 아마가, 남평리와 송암리에서는 홉이 주로 생산된다. 또한 삼림이 무성하여 오미자·당귀·고사리·도라지·버섯·머루·다래 등이 많이 나며, 양강도에서는 유일하게 과수원과 뽕나무밭이 있다. 또한 동점노동자구·추풍리·송암리·삼봉리를 중심으로 원목생산과 목재가공이 활발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곡우
    하면 흙의 신(土神)이 질투하여 쭉정이 농사를 짓게 한다고 믿기 때문이었습니다. 곡우 무렵엔 나무에 물이 많이 오릅니다. 곡우 물이 많은 나무로는 주로 산 다래, 자작나무, 박달나무 같은 나무로 이들 수액은 몸에 좋다고 해서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에서는 깊은 산속으로 곡우 물을 마시러 가는 풍속이 있지요...
  • 개다래 Silver Vine
    수가 단단하게 꽉 차 있는 반면 쥐다래는 꽉 차 있지 않고 주름져 있는 것이 다르다(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열매를 식용으로 재배하는 다래(Actinidia arguta (Siebold & Zucc.) Planch. ex Miq.)와 같은 속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본 분류군의 열매도 식용으로 쓸 수 있다. 맛이 별로 없어 소금 간...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차나무목 > 다래나무과 > 다래나무속
    서식지 :
    산지의 경사 지대, 계곡
    학명 :
    Actinidia polygama (Siebold & Zucc.) Maxim.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동북부
  • 김정숙군의 자연환경
    8월평균기온 20.5℃ 내외, 연평균강수량 750㎜ 정도이다. 산림이 군 면적의 91.8%를 차지하며, 대부분 활엽수림으로 삼송류·이깔나무·잣나무·피나무·참나무·붓나무·사스래나무 등이 자란다. 특히 신창동천의 상류와 희색봉 일대에는 잣나무가 많고, 산지에는 머루·다래·고사리·참나물·당귀 등이 자생하고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으름덩굴 통초(通草)
    이용된다. 열매를 으름이라 하며 과육을 먹을 수 있다. 예전에는 열매를 '조선바나나'라 하여 여름에 흰 과육이 많이 있는 것을 따서 팔기도 하였다. 머루·다래와 함께 산에서 나는 3대 과일 중의 하나이다. 또 과육을 먹으면 씨앗이 씹히면서 차가운 느낌이 전해져 얼음 같은 느낌이 난다 하여 으름으로 불리게...
    분류 :
    낙엽 활엽 덩굴나무
    학명 :
    Akebia quinata
    분포지역 :
    황해도 이남
    자생지역 :
    산기슭, 들, 숲 속
    번식 :
    꺾꽂이·씨·분주
    약효 부위 :
    줄기
    생약명 :
    목통(木通)
    키 :
    길이 5m 정도
    과 :
    으름덩굴과
    채취기간 :
    가을∼이듬해 봄
    취급요령 :
    날것 또는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평온하며,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줄기 5∼7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검덕산 劍德山
    검(劍)’자를 붙였다고 전해온다. 검덕산 일대의 연평균기온은 5℃ 이하이다. 잎갈나무·삼송류·참나무·가솔송·생열귀나무·만병초 등이 자라며 머루·다래·도라지·더덕·승검초 등의 임산물도 풍부하다. 또한 납·아연 등 금속광물자원이 많이 매장되어 있다. 이 산줄기의 검의덕(劍義德)에 있는 검덕광산은 우리...
    성격 :
    유형 :
    지명
    면적 :
    높이 2,150m
    소재지 :
    함경남도 단천군 북두일면 , 함경남도 풍산군 천남면
    분야 :
    지리/자연지리
  • 고욤나무
    이조(㮕棗)라고도 한다. 조(棗)자가 쓰이는 것은 열매의 모양이 대추를 닮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남부지방에서는 영조(梬棗)라고도 하는데, 북부지방에서는 다래나무를 가리키는 말이다. 학명은 Diospyros lotus L.이다. 높이는 14∼15m에 달하고, 새로 난 가지에는 흰색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이며, 길이 6...
    분류 :
    감나무과
    성격 :
    식물, 나무
    유형 :
    동식물
    크기 :
    높이 14∼15m
    학명 :
    Diospyros lotus L
    분야 :
    과학/식물
    개화기 :
    6월
  • 삼천군의 자연환경
    기온 9.8℃ 내외, 1월평균기온 -6.5℃ 내외, 8월평균기온 24℃ 내외, 연평균강수량 900~1,000㎜ 정도이다. 산림은 군면적의 65%를 차지하며, 소나무·참나무·분비나무·아카시아나무·밤나무·산사나무 등이 있다. 그밖에 다래·머루·도토리 등의 산열매와 도라지·더덕 등의 산나물, 천남성·삽주 등의 약초가 많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수액 樹液, sap
    수종은 단풍나무류(고로쇠나무, 당단풍나무)와 자작나무류(자작나무, 박달나무, 물박달나무, 거제수나무, 사스레나무)로 제한된다. 이외에 일부 지역에서는 다래나무, 대나무 등의 수액을 마시기도 한다. 채취시기 수액은 일년 중 밤의 기온이 영하 3~4도이고 낮의 기온이 10~15도 정도로 낮과 밤의 온도차가 10~15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식물
  • 양강도의 자연환경
    사스래나무·봇나무·황철나무·피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그밖에 무수해·청취·고사리·참나물·고비·도라지 등 100여 종의 산나물과 머루·다래·돌배 등 30여 종의 과일나무가 있으며, 오미자덩굴·생열귀·마가목·들쭉나무 등이 많다. 또한 표범·호랑이·담비·노루·사슴·수달 등 50여 종의 희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김화군의 자연환경
    나타내며, 또한 강수량도 많은 편이다. 연평균기온 9.1℃ 내외, 1월평균기온 -9℃ 내외, 8월평균기온 23℃ 내외, 연평균강수량 1,250㎜ 정도이다. 산림이 군면적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소나무·참나무·잣나무·잎갈나무 등이 자란다. 그밖에 머루·다래·고사리·더덕·참나물·돌배 등 각종 산과일과 약초가 자생...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백무고원 白茂高原
    주요 통나무산지 중 하나이며, 잎갈나무를 비롯한 전나무·가문비나무·사스래나무 등이 무성하다. 또한 도라지·고사리·참나물·버섯·단너삼·머루·다래 등의 산나물과 산과일이 많이 자라며, 사슴·사향노루·곰 등의 동물도 있다. 농경지는 대부분 국영종합농장으로 되어 있으며, 주요농산물로는 밀·보리·감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6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