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최성모 한산(漢山), 崔聖模
    가난한 집 자녀들에게 학비를 도와 주기 위하여 사리원장학회를 설립한 것을 비롯, 어린이회관 건립기금, 안중근(安重根)의사 동상 및 기념관 건립기금, 김대건(金大建) 신부동상 건립기금 등 애국선열에 대한 추모사업과 어린이관련 사업 등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또한 대한제분협회 회장, 한국사료협회 회장, 전국...
    시대 :
    현대
    출생 :
    1909년
    사망 :
    1976년
    경력 :
    동아제분(東亞製粉)·대한생명보험(大韓生命保險)등 경영, 대한제분협회 회장,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
    유형 :
    인물
    직업 :
    기업인
    성별 :
    분야 :
    경제·산업/경제
    본관 :
    양주(楊州)
  • 여사울 여술(여사울의 준말), 餘사울
    가졌다. 특징과 의의 여사울 지역은 충청도 천주교회의 출발점이자 초창기 교회의 중심지였으며, 이존창의 집안에서 박해시대 한국 천주교회의 두 방인사제 김대건(金大建, 안드레아, 1821~1846) 신부와 최양업(崔良業, 토마스, 1821~1861) 신부가 배출되었다는 점에서 한국 천주교회 사제성소의 못자리로도 평가된다...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 아름다운 순례길
    활성화와 종교화합을 위해 2009년 10월 지정된 길이다. 전주 풍남문에서 시작하여 한옥마을로 돌아오는 총 9개 코스 약 240km의 거리로 이루어져 있다. 김대건 신부의 숨결이 느껴지는 나바위 성지, 1923년 콜튼선교사의 첫 예배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복음의 사역을 다 하는 효자동 교회, 신라시대 이후 1,200여 년 동안...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 베지 Besi(de Bezi)
    Besi(de Bezi) (?~?). 주교. 중국 강남(江南) 교구장. 이탈리아에서 출생. 선교사로 중국에 입국하여 강남 교구장으로 재직하면서 김대건(金大建) 신부, 페레올(Ferreol) 주교, 다블뤼(Daveluy) 주교 등 조선 입국을 위해 상해(上海)의 주교관에 들른 조선 선교사들을 도와주었다. 특히 김대건 신부에게는 많은 도움을...
  • 은이골캠핑장
    천주교 성지인 은이성지 안쪽에 위치하고 있어 찾기도 쉽고 의미도 깊은데, 은이라는 말은 본래 숨어있는 마을, 또는 숨겨져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김대건 신부가 어릴 적 당진에서 이사와 천주교 공부를 하던 곳이자 훗날 유학 후 신부자격을 얻고 선교를 하면서 박해를 피해 피신해 계시던 곳이다. 지금은 이곳이...
    위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은이로 282
  • 최양업 Thomas Choe Yang-eop
    집은 당시 경기도 과천군 수리산 자락에 자리잡게 되었다. 1836년 열다섯 살의 나이에 프랑스의 파리 외방전교회소속의 선교사인 모방 신부의 천거로 김대건, 최방제 등과 함께 신학생으로 선발되어 이듬해 1837년 6월 7일 마카오 파리외방전교회 극동대표부에 도착하여 신학을 공부하였다. 피에르 모방 신부는 조선에서...
    도서 위키백과
  • 은이성지, 마애불길(양지면 남곡리~원삼면 독성리)
    영남길 6길은 양지면 남곡리에서 시작되어 좌우에 갈미봉과 형제봉을 끼고 칠봉산을 거쳐 문수산 능선을 타고 원삼면 독성리까지 이어진다. 이 구간에는 김대건 신부 은이성지와 문수산 마애불(문수보살, 보현보살)이 위치하고 있어 종교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곳이다. 문수산을 지나면 만날 수 있는 법륜사, 용인...
    위치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남곡로 92
  • 고려치명사략 高麗致命史略
    제9장은 주문모(周文謨) 신부의 활동과 신유박해 순교자들, 제10장부터 제13장은 프랑스인 선교 사제의 활동과 기해박해 순교자들, 제14장부터 제16장은 김대건(金大建) 신부의 활동과 병오박해, 제17장과 제18장은 최양업(崔良業) 신부와 메스트르(Maistre) 신부의 활동, 그리고 제19장부터 제23장까지는 병인박해 때...
    시대 :
    근대
    유형 :
    문헌/도서
    분야 :
    종교·철학/천주교
  • 석정보름우물
    수요가 상당했다고 한다. 1794년 천주교 선교를 위해 청나라에서 넘어온 외국인 주문모 신부가 조선에서 첫 미사를 진행하며 이 우물물로 세례를 줬고 김대건 신부는 성수로 사용했다고 하여 천주교에서도 이 우물을 소중히 여긴다. 현재는 상수도 보급과 지하수 오염으로 사용하지 않은 우물이 되었고 입구도 봉쇄되어...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계동 24-3
  • 최양업 崔良業
    때 박해를 피해 낙향, 당시 홍주(洪州) 땅인 다락골에 정착하게 되었다고 한다. 여기서 최양업의 부친 최경환이 출생하였다. 최경환은 이성례와 결혼함으로써 김대건 신부 일가와 친척관계를 맺게 되었다(최양업과 김대건은 진외 6촌간). 다락골에서 점차 생활이 넉넉해지고 또 외교인 친척들과의 접촉으로 인해 신앙...
  • 유네스코지정 미륵사지와 왕궁리유적코스
    곳이다. 익산에서 가장 유명한 유적지로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두 곳을 여행하면서 백제의 문화를 느껴보는 것도 좋겠다. 화산천주교회는 조선 현종 때 김대건 신부가 황산 나루터로 상륙한 것을 기념해 1907년 완공했다. 한국 천주교회에서는 성지로 여기는 곳이다. 익산교도소세트장은 폐교에 세운 교도소 세트장...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 미륵사지로 362
  • 임치백
    포도대에 자원하여 포졸로 복무했다. 그는 언제나 교우들을 보호했다. 1846년에 그의 아들들 중에 선박 주인인 임성룡이 (한국인 처음의 천주교 사제인) 김대건 신부와 동행하여 황해도 서해안으로 갔다가 6월 5일에 김대건 신부와 함께 체포되었다. 임치백은 그 소식들 듣고 황급히 아들이 체포된 곳으로 갔는데, 이미...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7건

김대건
김대건
김대건
김대건 신부
김대건 신부 초상
안성 성 김대건 신부상
안성 성 김대건 신부 묘지 세부
안성 성 김대건 신부 사정 정표 정면
김대건 신부
김대건 동상
김대건 신부 동상
김대건신부생가지
김대건(金大建, 1821~1846)
김대건 체포 관련 보도(『동아일보』 1921.6.12)
김대건 체포 관련 보도(『동아일보』 1921.6.12)
까모에스 정원(Camoes Grotto & Gardens, 白鴿巢公園)의 김대건 신부 동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