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관참시 Posthumous execution, 死後処刑
    戮屍)는 죽은 시신의 목을 베는 형벌로서, 부관(剖棺) 곧 관을 부수는 과정은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참시 또는 참두에 해당하는 형벌이다. 김부식 - 무신정변 현덕왕후 김종직 - 무오사화 송흠 - 연산군 10년 1504년 이파(李坡) - 연산군 10년 1504년- 갑자사화 한명회, 정여창, 남효온 한치형, 심회, 어세겸, 정창손...
    도서 위키백과
  • 능안로 (안산시)
    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목내동에서 신길동까지 이르는 안산시도로, 총 연장은 1.254 km이다. 조선 왕조인 문종의 비(姐)이자 단종의 생모(生母)인 안동 권씨(현덕왕후)의 묘가 인접하여 예부터 마을 일대를 능안이라 불러왔던 지명 유래를 반영한 것에서 유래되었다. 2009년 1월 12일 : 도로명으로 능안로를 고시 안산...
    도서 위키백과
  • 음력 7월 24일 7月24日 (旧暦), 七月廿四
    1990년 - 캄보디아의 당구 선수 스롱 디아비. 1991년 대한민국의 가수 유니스. 대한민국의 희극인 조수연. 1441년 - 조선의 제 5대 국왕 문종의 왕비 현덕왕후 권씨. 음력 360일: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전날:7월 23일 다음날:7월 25일 - 전달:6월 24일 다음달:8월 24일 양력:7월 24...
    도서 위키백과
  • 사제 김정국 묘역
    4면, 2003-04-21 조유형(趙有亨)의 보살핌을 받으며, 김굉필(金宏弼)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김정국은 1512년(중종7) 부교리가 되어 동료들과 문종 비 현덕왕후(顯德王后)의 복위를 주장하고 성사시켰다. 이후 기묘사화로 탄핵받아 고양의 망동(芒洞)에 은거하기도 했으나, 1538년(중종33) 복직되어 전라도관찰사...
    도서 위키백과
  • 음애일기
    1책의 필사본으로 이루어져 있다. 뇌물을 밝히는 공신들의 부패와 탐욕을 고발하였고 "네가 내 아들을 죽였으니 나도 네 아들을 죽이겠어"라는 저주를 하는 현덕왕후의 원통함을 보고하였다. 또, 세조실록에 "노산군이 스스로 목매어 졸하니 예로써 장사를 지냈다"고 적힌 부분이 있으나 음애일기에서는 이 자살설을...
    도서 위키백과
  • 순빈 봉씨 Deposed Crown Princess Bong, 廢嬪奉氏
    것 등을 이유로 삼아 10월 26일 그녀를 폐출하였다. 순빈 봉씨의 아버지 봉려(奉礪)는 1436년(세종 18) 음력 7월 12일에 병으로 먼저 졸(卒)하였으며, 순빈 봉씨는 1436년(세종 18) 음력 10월 26일에 폐출되었다. 여민주 - 2008년 KBS 《대왕 세종》 정다은 - 2021년 KBS드라마스페셜 《그녀들》 문종 휘빈 김씨 현덕왕후
    도서 위키백과
  • 능곡동 (시흥시)
    대한민국 읍면동 정보능곡동(陵谷洞)은 대한민국 경기도 시흥시의 행정동이다. 능곡동은 이곳에 조선 문종의 비인 현덕왕후의 묘를 쓰려다가 장소가 좁아 안산시 능안(지금의 목내동)에 예장하였는데, 그 후 능터를 잡았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옛날 부락은 뒤일과 목실이 있었다. 군자봉 북쪽 골짜기에 자리...
    도서 위키백과
  • 정종 (영양위) 鄭悰
    정충석(鄭忠碩, 1406~?)-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숙모 : 정경부인 연일 정씨(?~?) - 정종성(鄭宗誠, ?~?)의 딸 장인 : 조선 5대 국왕 문종 장모 : 현덕왕후 안동권씨 부인 : 경혜공주 아들 : 해평부원군 소평공 정미수(鄭眉壽) - 정순왕후 송씨 시양자(侍養子) 며느리 : 정경부인 전의이씨 누나 : 숙부인 정씨...
    도서 위키백과
  • 광대들: 풍문조작단 Jesters: The Game Changers
    박희순 : 세조 역 고창석 : 홍칠 역 최원영 : 홍윤성 역 김슬기 : 근덕 역 윤박 : 진상 역 김민석 : 팔풍 역 장남열 : 양정 역 김희찬 : 세자 역 최은선 : 현덕왕후 역 백수희 : 도도 역 이동희 : 공신 1 역 최광덕 : 공신 2 역 정미남 : 공신3 역 김영직 : 공신 4 역 박재완 : 공신 5 역 오무용 : 공신 6 역 김영준...
    도서 위키백과
  • 1441년 1441, 1441年
    6년 일본(日本) 에이쿄 13년 / 가키쓰 원년 후 레 왕조(後黎朝) 다이바오(大寶) 2년 명(明) 영종 정통제(英宗 正統帝) 6년 조선(朝鮮) 세종(世宗) 23년 후 레 왕조(後黎朝) 태종(太宗) 8년 장영실과 이천이 서운관에 측우기를 설치하다. 조선 6대 국왕 단종 8월 10일(음력 7월 24일) - 조선 5대 국왕 문종의 정비 현덕왕후
    도서 위키백과
  • 약천사 Yakcheonsa, 药泉寺
    1만8천기의 원불, 18톤에 달하는 범종 등이 과거 이 땅에 있었던 법화사의 영화를 재현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약천사에는 세종의 아들이었던 문종 임금과 현덕왕후, 그리고 영친왕과 이방자 여사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약천사에서는 내·외국인을 위한 다양한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파일:약천사1...
    도서 위키백과
  • 숙의 권씨 (단종)
    당시 같은 시기에 후궁이 되었던 김씨의 나이가 80세를 넘겼다는 기록으로 보아, 권씨 역시 연로했을 것으로 보인다. 단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다. 아버지 : 권완(權完, ?~1457) 시아버지 : 제5대 문종 시어머니 : 현덕왕후(顯德王后, 1418~1441) 남편 : 제6대 단종(端宗, 1441~1457) 세조찬위 내용주 참조주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26건

구리 동구릉 중 조선 문종과 현덕왕후 현릉 능침 정면
조선 왕릉의 종가 동구릉(東九陵)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상시호 금인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문종비 현덕왕후 추상시호 금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