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벨 신전 Temple of Bel
    Gateway)이 있는데, 1132년경 아랍 무슬림들이 벨 신전을 이슬람 사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2015년 8월 IS에 의해 벨 신전이 파괴되었다. IS는 폭파를 위해 약 30톤 분량의 폭약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장벽을 제외한 중앙의 신전과 주위의 기둥들이 모두 파괴되어 흔적만 남았다. IS는 2015년...
  • 채석장 採石場, quarry
    파쇄된 암석은 콘크리트용 골재와 도로건설용으로 사용하며, 석회암은 용광로의 용제와 화학제품에 사용한다. 채석기술에는 심부 굴착과 암석을 조각으로 폭파하는 기술이 있다. 수많은 장약을 동시에 점화하여, 1번의 폭파로 약 2만t의 부서진 암석을 생산한다. 부서진 암석은 작은 조각으로 파쇄하고 체질을 하여 크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류탸오거우 사건 柳條溝事件
    만주사변의 발단이 되었다. 폭파를 담당한 사람은 펑톈 독립수비대의 고모토 스에모리[河本末守] 중위 등이며, 만주에서 무력행사를 할 수 있는 구실을 만들기 위해 이시하라 간지[石原莞爾], 이타가키 세이시로[板垣征四郞]를 비롯한 관동군 간부들이 계획한 것이다. 관동군은 이 폭파를 당시 항일적 성격이 강했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김인 金仁
    전쟁의욕을 촉진시켰다. 1938년 5월 창사[長沙]에서 주석 김구의 명령에 따라 상해에 재차 잠입하여 당(黨) 재건을 기도함과 동시에 일본의 중요관공서를 폭파할 것과 일본의 현관(顯官)들을 총살할 계획을 지휘 감독하였다. 또한 일본전투군함 이즈모[出雲]를 폭파, 격침할 만반의 준비를 진행하다가 사전에 정보가...
    시대 :
    근대
    출생 :
    1917년
    사망 :
    1945년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안동(安東)
  • 라이프치히 전투 제국민전쟁, Battle of Leipzig
    시작했다. 오후 1시 모두가 무사히 건넜으나 동맹군의 공격 위험도 없고 아직 퇴각하는 프랑스 군대로 붐비고 있던 때에, 놀란 하사 1명이 다리를 폭파시켰다. 이 폭파로 인해 3만 명의 후위군(後衛軍)과 부상군인들이 라이프치히에 갇혔고 이튿날 모두 포로가 되었다. 프랑스군은 3만 8,000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동맹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전투
  • 안병균 安秉均
    상해임시정부 광복군총영의 결사대원 이학필(李學弼)·임용일(林龍日)·김응식(金應植)이 국내에 잠입, 미국의원단에게 제출할 진정서 및 선천역과 선천경찰서 폭파계획을 수립하였다. 박치의(朴治毅)·김석창(金錫昌)·백시찬(白時瓚)·백경옥(白敬玉) 등 20여 명과 함께 모의하고, 그 해 9월 1일 새벽 3시 실천에...
    시대 :
    근대
    출생 :
    1892년(고종 29)
    사망 :
    1941년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스타리 모스트, 어제의 친구가 적이 된 내전을 잊지 말자 건축 유산 미..
    누가 장악하느냐가 전쟁의 승패를 결정짓는 관건이 되었다. 결국 상대방의 보급로를 끊어버린다는 명분하에 폭약으로 스타리 모스트를 폭파했는데 아직까지 어느 진영에서 다리를 폭파했느냐로 논쟁이 이는 상태이다. 양 민족 간의 연결을 의미하는 다리가 파괴되면서 모스타르 시를 점령한 크로아티아 민병대들은...
  • 비격진천뢰 飛擊震天雷
    뚜껑이 있다. 내부에는 도화선인 약선을 감는 목곡(木谷)이 있고, 또한 목곡이 들어가는 죽통(竹筒)이 있으며 내부에는 빙철(馮鐵)이 채워진다. 특히 목곡은 폭파시간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그 재료는 단목(檀木)을 사용하며, 그 골을 나사모양으로 파서 폭파를 빠르게 하고자 할 때에는 열 고비로, 더디게 하고자 할 때...
    시대 :
    조선
    성격 :
    무기, 포탄
    유형 :
    유물
    재질 :
    무쇠
    분야 :
    과학/과학기술
    소장/전승 :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신촌동) 연세대학교 박물관
  • 정인복 鄭仁福
    파괴하여 세계여론을 환기하기 위해, 총영장 오동진으로부터 지령을 받고 국내특파결사대원으로 김예호(金禮浩)와 함께 국내에 잠입했다. 그러나 일본기관을 폭파하려다 실패하여 같은 해 8월 15일 신의주로 가서 신의주역에 폭탄을 던지고, 겸이포제철소를 폭파한 뒤 용천에 피신했다가 일본경찰에게 체포되었다...
    출생 :
    ?, 평안
    사망 :
    1922. 3. 2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재블린 FGM-148, Javelin
    최대 160m까지 상승한 뒤 위에서 내리꽂는 일명 ‘탑 어택’(Top Attack) 방식의 무기이다. 작전 반경은 약 2.4km에 달하며 탱크와 헬리콥터와 같은 저공 비행체를 폭파할 수 있다. 탄두는 이중 탄두 구조로 첫 탄두가 탱크에 명중하면 뒤이어 메인 탄두가 탱크를 관통해 폭파시킨다. 이와 비슷한 무기로는 대전차...
    도서 에듀윌 시사상식 | 태그 국방
  • 선천경찰서투탄의거 宣川警察署投彈義擧
    몇 개를 가지고 돌아왔는데, 미국 의원단은 벌써 선천을 통과하여 서울에 들렀다가 간 뒤였다. 박치의와 결사대원들은 다시 상의한 결과, 경찰서와 군청을 폭파하기로 했다. 9월 1일 선천군청으로 가서 토지대장이 들어 있는 군청 지적창고에 투탄했으나 불발하자, 박치의는 그 날 새벽 3시에 선천경찰서로 가서 이학필...
  • 이성우 성우(成宇), 李誠宇
    김원봉(金元鳳)·이종암·서상락·강세우·한봉근(韓鳳根)·곽재기(郭在驥)·신철휴(申喆休) 등과 같이 의열단을 조직하였다. 총독부고관 사살, 주요기관 폭파 등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김원봉과 함께 상해에 가서 폭탄 20여개와 권총, 탄환 약 100발을 구입하였다. 1920년 5월 곽재기·황상규(黃尙奎) 등과 같이...
    시대 :
    근대
    출생 :
    1899년
    사망 :
    1929년
    경력 :
    건국훈장 국민장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3건

철도 폭파의 증거물
〈콤퓨터 핵전함 폭파대작전〉
부민관 폭파사건 관련자들
1996년 중앙은행 폭파
테러리스트에 의한 열차 폭파 사건
미얀마 아웅산 묘소 폭파사건
폭파된 한강 인도교와 철교 / 6.25
폭파된 한강 인도교와 철교 / 6.25
미군의 폭파로 불타는 필라델피아호
1차 세계 대전 중 폭파된 부대
1945년 부민관 폭파 의거 직전(왼쪽부터 강윤국 ・ 조문기 ・ 유만수)
병인의용대 일본총영사관 폭파 보도 기사(『동아일보』 1926. 9. 24)
여성주의 시각에서 외모 지상주의를 비판한 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