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제신문 國際新聞
    이것을 1950년 8월 19일 〈국제신보 國際新報〉로 바꾸었으며, 1977년 6월 1일 다시 〈국제신문〉으로 바꾸었다. 발행소는 부산시 중구 동광동. 체재는 타블로이드판. 불편부당과 시시비비를 사시로 하고, 국시선양·언론창달·문화향상을 편집방침으로 삼았다. 부산에서는 최초인 1948년 1월부터 갱지를 사용하였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 민주신보 民主新報
    내용 9월 1일 김형두(金炯斗)를 편집인 겸 발행인으로 부산광역시 중구 대창동에서 창간되었다. 체재는 타블로이드판 2면제였으며, 처음은 일문지 『부산일보』를 8월 16일부터 우리말 신문으로 발행하다가 9월 1일부터 『중보(衆報)』로 제호를 바꾸었고, 미군이 진주한 이후 다시 『민주중보』로 변경하였다. 이 신문...
    시대 :
    현대
    저작자 :
    김형두
    창작/발표시기 :
    1945년 9월 1일(창간)
    성격 :
    신문, 일간신문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김형두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민주일보 民主日報
    1946년 6월 10일 창간되었다. 체재는 타블로이드판 2면. 사장은 상해임시정부의 선전부장이었던 엄항섭이 맡았고, 명예사장은 김규식, 발행인은 김인현, 편집인은 이헌구였으며, 편집위원으로 김광섭·오종식·신경순·안석주 등이 참여했다. 김구 중심의 임시정부계와 관련이 깊은 신문이었다. 1947년 10월부터 휴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 매일신문 대구매일신문, 每日新聞
    8월 1일『대구매일신문』으로 제호를 바꾸었고, 같은 해 10월 1일 천주교 대구대교구유지재단(大邱大敎區維持財團)에서 지령 제1,339호부터 인수하여 타블로이드판 2면을 발행하였으며, 초대사장에 최덕홍(崔德弘)이 취임하였다. 그 뒤 1960년 7월 1일 전국지로 발돋움하면서 지령 제4,780호부터 『매일신문』으로 제호...
    시대 :
    현대
    창작/발표시기 :
    1946년 3월 1일(창간)
    성격 :
    신문, 일간신문
    유형 :
    문헌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독립신보 獨立新報
    1946년 5월 1일 창간되었다. 사장은 장순각, 편집국장은 서광재, 주필은 고경흠이었다. 발행소는 서울 을지로 1가. 체재는 타블로이드판 2면. 발행부수는 2만 5,000부 안팎. 조선공산당의 기관지가 아니면서도 좌익계열의 대변지 역할을 했고, 당시 지식인들이 많이 읽었다. 1946년에는 신탁통치안을 적극 지지하는 논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 한국교육신문 韓國敎育新聞
    타블로이드판 8면으로 출발, 1962년 10월 대판 4면, 1968년 3월 대판 8면, 1970년 4월 대판 12면으로 늘렸다가, 1970년 석유파동으로 대판 8면으로 줄였으며, 특별한 날을 제외하고는 대판 8면을 발행하고 있다. 한국의 민주교육 발전을 실현하려는 교육부의 교육 방침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1·7면은 보도기사, 2면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민주신보 民主新報
    1945년 9월 1일 창간되었다. 체재는 타블로이드판 2면. 편집 겸 발행인은 김형두였다. 발행소는 부산시 중구 대창동에 있었다. 창간 때의 제호는 〈중보 衆報〉였으며, 그뒤 〈민주중보〉로 바뀌었다가 다시 〈민주신보〉로 바뀌었다. 부산을 중심으로 경상남도에서 일어난 소식을 보도하는 데 힘썼다. 다른 신문들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 문화전선 文化戰線
    개설 타블로이드판, 4면. 조선문학건설본부를 중심으로 하여 결성된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의 기관지로서 1945년 11월 15일에 창간호가 발간되었다. 신문의 형태로 발간되었으며 월 2회 발행을 목적으로 하였다. 내용 좌파 문학단체인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의 기관지로서, 단체의 문학적 입장을 피력하는 평론이나...
    시대 :
    현대
    저작자 :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
    창작/발표시기 :
    1945년 11월 15일(창간)
    성격 :
    잡지, 문예잡지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서울일일신문 ─日日新聞
    은 친 정부계열의 신문을 자처하고, 이승만(李承晩)대통령에 대한 절대지지를 천명하였다. 6·25사변으로 잠시 휴간하였다가 1951년 임시수도 부산에서 타블로이드판 2면으로 속간하였다. 1952년 4월 20일 자매 통신사로 『동양통신』을 창간하였다. 이 신문은 ‘정계야화(政界夜話)’라는 고정란을 두어 주필 정국은...
    시대 :
    현대
    저작자 :
    김창문, 천관우
    창작/발표시기 :
    1960년 7월 11일(창간), 1962년 1월 1일(폐간)
    성격 :
    신문, 일간신문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이관구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 전북매일신문 全北每日新聞
    1946년 5월 1일 육복술이 창간한 〈군산민보 群山民報〉가 그 전신이다. 타블로이드판 2면이다. 1949년 〈삼남일보 三南日報〉로 제호를 바꾸었고 1968년 〈전북매일신문〉으로 다시 제호를 고쳤다. 〈전북교육연감〉(1969)·〈전북연감〉(1970)을 발행했으며, 1973년 6월 1일 전주의 〈전북일보〉, 군산의 〈호남일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문
  • 조양보 朝陽報
    국한문혼용, 타블로이드판 24쪽 안팎으로 조양보사에서 펴냈다. 국권회복을 위한 국민의 지식을 계발할 것을 목적으로 학술논문과 실업에 도움이 될 만한 기사를 실었다. 내용은 논설·교육·실업·담총·관보초록·내외잡보·사조·소설 등을 실었다. 12호는 국판, 월간으로 바꾸어 발간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출판
  • 호남매일 湖南每日
    신문으로 속간호를 내놓았다. 1946년 8월 1일 주식회사 목포일보사가 설립되면서 다시 『목포일보』로 개제되었고, 문재철(文在喆)이 사장에 취임하였다. 타블로이드판 2면제로 발행되던 이 신문은 1947년 4월 화재로 사옥과 인쇄시설이 모두 불타 한 달 동안 발행이 중단되었다. 5월김철진(金哲鎭)이 사장에 취임하면서...
    시대 :
    현대
    창작/발표시기 :
    1965년 1월 1일(창간), 1973년 5월 31일(폐간)
    성격 :
    신문, 일간신문
    유형 :
    문헌
    분야 :
    언론·출판/언론·방송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