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신광하 사회(士晦), 申光夏훈련원도정(訓練院都正) 등에 발탁되었다가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을 거쳐, 1727년(영조 3)에 어영대장(御營大將)으로 전직하였다. 그런데 이 해 정미환국이 단행되어 소론의 공격을 받게 되자 스스로 물러났다. 이듬해 다시 서용(敍用)되어 총융사에 임명되었다. 1729년에 한성부좌윤을 거쳐 1730년에 수원부사로 부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88년(숙종 14)
- 사망 :
- 1736년(영조 12)
- 경력 :
- 총융사, 도총부총관, 포도대장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정미환국
- 직업 :
-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평산(平山)
-
조덕린 택인(宅仁), 趙德鄰소를 올렸다가, 노론을 비난하는 내용이 있어 당쟁을 격화시킬 염려가 있다 하여 종성에 유배되었다. 70여세의 나이로 3년간의 적거(謫居) 끝에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집권하게 되자 유배에서 풀려 홍문관응교에 제수되었으나, 서울에 들어와 숙사(肅謝)한 다음 곧 고향으로 돌아갔다. 1728년 3월 이인좌(李麟佐...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58년(효종 9)
- 사망 :
- 1737년(영조 13)
- 경력 :
- 동부승지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이인좌의 난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옥천문집(玉川文集)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한양(漢陽)
-
민통수 사연(士淵), 閔通洙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한림(翰林)의 천거로 6품직에 올랐다. 1739년 교리(校理) 때는 형인 민형수(閔亨洙)와 함께 아버지의 억울한 심정을 대신하여 정미환국 이후 아버지가 당론자로 오해받고 있음은 부당하며, 특히 당시 영의정이던 이광좌(李光佐)에 대한 대립적 입장을 토로하는 소를 올렸다. 곧이어 광주부윤...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96년(숙종 22)
- 사망 :
- 1742년(영조 18)
- 경력 :
- 광주부윤, 이조좌랑, 승지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여흥(驪興, 지금의 경기도 여주)
-
홍치중 사능(士能), 洪致中보복에는 반대해 노론의 강경파로부터 기회주의자라는 비난도 받았다. 그러나 탕평을 추구하는 왕으로부터는 신임이 두터워 좌의정에 승진되었다. 뒤이은 정미환국으로 소론정권이 들어선 뒤에도 잠시 물러났다가 바로 복직되었다. 1729년 조문명(趙文命) 등의 탕평파가 신임옥사에 대한 시비의 절충을 꾀하자, 노론4...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67년(현종 8)
- 사망 :
- 1732년(영조 8)
- 경력 :
-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남양(南陽)
-
조원명 치경(致卿), 趙遠命제수되었으나 거의 나가지 않았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한 뒤 부응교를 지내고 다음 해 동부승지·이조참의가 되었으나 노론의 집권으로 파직되었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다시 집권하자 이조참의·부제학·승지·대사성을 역임하고, 1728년 개성유수 때 왕씨 능침(陵寢)의 수호를 명받았다. 이후 대흥산성(大興...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75년(숙종 1)
- 사망 :
- 1749년(영조 25)
- 경력 :
- 평안도관찰사, 공조참판·부총관·동지경연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풍양(豊壤)
-
민진원 성유(聖猷), 閔鎭遠贈職)을 상소하고 그 해에 좌의정이 되었다. 이듬해 중추부영사(中樞府領事)가 되었으나, 1727년 당색이 강한 자를 제거해 탕평하려는 영조의 정책으로 정미환국이 일어나자 파직되어 순안(順安)에 안치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났다. 1729년 중추부판사가 되어 『가족제복론(加足帝腹論)』을 찬진(撰進)하였다. 그 뒤 당쟁...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김재로 중례(仲禮), 金在魯5인을 죄주도록 청하고, 소론 김일경(金一鏡)의 무고 사실을 상소해 사형하게 하였다. 이어 이조참판·좌빈객(左賓客)·예조참판을 역임하였다. 1727년에는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재등장하자 다시 파직되었다. 이듬해인 17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충주목사로 호서안무사(湖西安撫使)를 겸해 난의 수습에...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82년(숙종 8)
- 사망 :
- 1759년(영조 35)
- 경력 :
- 부수찬, 대사간, 승지, 이조참의, 예조참판, 병조판서, 판중추부사, 영의정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신임사화, 정미환국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천의소감언해, 난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청풍(淸風)
-
김시혁 회이(晦而), 金始㷜그 뒤 동지사(冬至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724년(경종 4)에 수원부사로 나갔다가 영조 즉위 후 물러났으나 1727년(영조 3) 정미환국 이후 다시 기용되어 황해도관찰사로 나갔다. 1729년에 호조참의를 거쳐 대사간·동부승지·춘천부사를 지냈다. 1734년 함경도관찰사를 지낸 뒤 다시 대사간과...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76년(숙종 2)
- 사망 :
- 1750년(영조 26)
- 경력 :
- 정언, 영광군수, 수찬, 교리, 장악원정, 춘천부사, 비변사제조, 호조참판, 대사헌, 판돈녕부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강릉(江陵)
-
윤심형 경평(景平), 尹心衡영조 즉위년) 노론의 집권으로 정언·교리·이조좌랑·헌납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소론 이광좌(李光佐)·조태억(趙泰億) 등의 남은 죄를 추궁하다가, 1728년 정미환국으로 작은아버지 윤봉조(尹鳳朝)가 귀양가고 노론의 영수인 영부사(領府事) 민진원(閔鎭遠) 등 수십 인이 파직당할 때 같이 파직되었다. 이듬해 영조가...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98년(숙종 24)
- 사망 :
- 1754년(영조 30)
- 경력 :
- 정언, 이조좌랑, 에조참판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신임옥사, 정미환국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임재집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파평(坡平, 지금의 경기도 파주)
-
이재 희경(熙卿), 李縡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다. 1725년(영조 1) 영조가 즉위한 뒤 부제학에 복직해 대제학·이조참판을 거쳐 이듬해 대제학에 재임되었다. 그러다가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 중심의 정국이 되자 문외출송(門外黜送: 서울 성문 밖으로 쫓겨남)되었으며, 이후 용인의 한천(寒泉)에 거주하면서 많은 학자를 길러냈다. 1740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80년(숙종 6)
- 사망 :
- 1746년(영조 22)
- 경력 :
- 문학, 정언, 헌납, 북평사, 형조참의, 병조참의, 동부승지, 부제학, 형조참판, 대사헌, 이조참판, 대제학, 공조판서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대표작 :
- 도암집, 사례편람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우봉(牛峯, 지금의 황해도 금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