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노회 老會, presbytery
    장로의 과반수 참석으로 성립되며, 노회 안의 각 지교회와 소속 기관·단체의 총괄, 각종 사법적 업무의 처리, 지교회의 장로 선택과 임직의 승인, 장로와 전도사의 자격 고시, 목사의 임직·위임·해임·전임·권징에 관한 사항의 처리 등 주요안건의 대부분을 처리하는 중심적 기관이다. 노회는 매년 노회록을 작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마헨드라 Mahendra
    스리랑카에서는 국교인 불교의 기초를 닦은 전도자로서 추앙받고 있다. 힌두교에서 불교로 개종한 아소카 왕은 BC 251년경 마헨드라와 상가미타 공주를 전도사로 실론에 보내 티사 왕과 왕족을 개종시켰으며, 마헨드라는 왕과 왕족의 도움을 받아 많은 국민들을 개종시켰다. 아소카 왕의 전설에 따르면 마헨드라는 무력...
    출생 :
    BC 270경, 인도 파탈리푸트라
    사망 :
    204경, 실론(지금의 스리랑카) 아누라다푸라
    국적 :
    스리랑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남궁석 南宮晳
    통신업체 사장 등을 거쳐 제5대 정보통신부 장관을 지내면서 한국이 '디지털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한 '정보화 전도사'로 불린다. 1959년 선린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0년 연세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하였으며, 군 복무 후 2년 수료 뒤 1964년 고려대학교 경영학과에 입학, 1967년 졸업하였다. 1968년 중앙일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제인
  • 기독교대한성결교회 基督敎大韓聖潔敎會
    이는 본국의 교파 배경없이 해외에서 교세를 확장한 특이한 사례였다. 1907년에는 일본에서 동양선교회 소속 성서학원을 졸업한 김상준(金相濬) 등의 전도사가 귀국, 전도를 시작하였고, 1910년에는 미국 선교본부에서 파견된 토머스(J. Thomas) 목사가 조선의 동양선교회 초대감독으로 부임하였다. 1911년에는 무교동...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빙엄 George Caleb Bingham
    풍경화, 특히 중서부지방의 강변생활을 묘사한 그림으로 유명하다. 1819년에 그의 가족은 미주리 프랭클린으로 이주했으며 그는 그곳에서 자라 순회 전도사 겸 초상화가가 되었다. 펜실베이니아 미술 아카데미에서 3개월 동안 공부한 것 외에는 독학했다. 필라델피아에 한동안 머물면서 벤저민 웨스트와 토머스 로렌스...
    출생 :
    1811. 3. 20, 미국 버지니아 오거스타
    사망 :
    1879. 7. 7, 미주리 캔자스시티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양전백 梁甸伯
    3·1운동의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 사람이다. 호는 격헌. 1895년 그리스도교에 입교했으며 1897년 예수교장로회 전도사가 되었다. 1907년 평양신학교를 졸업, 한국 최초의 목사 가운데 한 사람으로 선천북교회(宣川北敎會)에 부임했다. 목사로 일하면서 신성중학교(信聖中學校)·보성여학교(保聖女學校) 등을 설립하여...
    출생 :
    1869(고종 6), 평북 의주
    사망 :
    1933. 1. 17, 평북 선천
    국적 :
    한말, 한국
    호 :
    격헌(格軒)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독립운동가
  • 오상순 선운, 吳相淳
    거쳐 1906년 경신학교를 졸업했다. 1912년 일본으로 건너가 1918년 도시샤대학[同志社大學]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이듬해 귀국했다. 귀국한 뒤로 한동안 전도사로 교회일을 맡아보았는데, 이때 머리카락을 길게 늘어뜨리고 성서와 철학책을 항상 지니고 다녔다고 한다. 1920년 〈폐허〉 동인으로 김억·남궁벽·황석우 등...
    출생 :
    1894. 8. 9, 서울
    사망 :
    1963. 6. 3,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귀암집 歸巖集
    않는다"는 설을 주장한 글이다. 이밖에 부록으로 영의정 채제공(蔡齊恭)이 1796년에 쓴 〈신도비명 神道碑銘〉, 7대손 이종연(李宗淵)이 쓴 〈시장 諡狀〉, 전도사 유주목이 쓴 〈연시고유문 延諡告由文〉 등이 실려 있다. 당시의 사회·경제와 붕당정치를 연구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규장각·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총신대학교 總神大學校, Chongshin University
    교명을 변경하였다. 1996년 선교대학원, 2001년 사회복지대학원·상담대학원을 신설하였다. 기능과 역할 교훈은 ‘신자가 되라, 학자가 되라, 성자가 되라, 전도사가 되라, 목회자가 되라’이다. 대한예수교장로회 산하 교회를 위하여 봉사할 유능한 목회자와 평신도 지도자의 양성, 세계 선교의 요람지 구축, 캘빈주의...
    시대 :
    현대
    위치 :
    사당캠퍼스: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로 143(사당3동 산31-3), 양지캠퍼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학촌로 110(제일리 산41-11)
    설립 :
    1901년 5월 15일
    성격 :
    고등교육기관
    유형 :
    단체
    설립자 :
    모펫(S. A. Moffet, 한국명 마포삼열)
    분야 :
    교육/교육
  • 지동식 池東植
    떠나 1940년 현재 동경신학대학 전신인 일본신학교를 졸업하였다. 그해 귀국하여 유학 시절부터 친교를 맺어온 최태용(崔泰瑢)의 영향을 받아 복음교회 전도사로 목회하였다. 주요 활동 1945년 광복이 되자 함경남도 문천에서 월남하여 목사 안수를 받고 서울복음교회 담임목사로 1962년까지 재직하였다. 1947년 연희...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종교·철학/개신교
  • 브라운로 William G(annaway) Brownlow
    11세 때 고아가 되어 친척 집에서 자랐으며 정규교육은 거의 받지 못했다. 그러나 많은 독서를 했고 1826년에는 감리교 목사가 되었다. 10여 년 동안 순회 전도사로 일했고, 1838년부터 오랫동안 〈테네시 휘그 Tennessee Whig〉(1838)·〈존스버러 휘그와 독립 Jonesboro Whig and Independent〉(1839~49)·〈낙스빌...
    출생 :
    1805. 8. 29, 미국 버지니아 위스
    사망 :
    1877. 4. 29, 테네시 낙스빌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론인
  • 김동식 金東植
    생애 및 활동사항 평안남도 중화 출신. 천도교인으로 1919년 3월 2일 평남 중화군 상원면에서 일어난 만세시위를 주동하였다. 3월 1일 천도교 중화교구의 전도사로부터 독립선언서를 받아서 만세운동계획을 세웠다. 3월 2일 천도교인과 기독교인을 이끌고 상원면 신읍리에 있는 상원경찰관주재소로 몰려가 포위 공격...
    시대 :
    근대
    출생 :
    1883년(고종 20)
    사망 :
    1945년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전도사(傳道師)
이슬람 전도사
강만조의 전도사 활동 보도(『조선중앙일보』 1933.12.2)
『텬로력뎡』 중 제1면 ‘크리스천이 복음전도사의 계도(啓導)를 받다’, 김준근 그림, 게일 번역,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