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China–Korea Treaty of 1882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中朝商民水陸貿易章程The China–Korea Treaty of 1882 was negotiated between representatives of the Qing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Moon, Myungki.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Vol. 5, No. 2 (Dec 2008), pp. 85–120. in October 1882.Chu, Samuel C. (1994). This agreement has been described as the Joseon-Qing...출처 영어 위키백과
-
사침안정법 오침안법(五針眼法), 四針眼訂法내용 옛 책의 장정(裝訂) 방식은 이용과 보존에 편리하도록 여러 단계에 걸쳐 발전하였다. 고대에는 죽간(竹簡)이나 겸백(縑帛) 같은 것에 글을 써서 두루마리 형태로 만들어 관리하였다. 이후 식물성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종이가 주요 서사 재료로 사용되면서 장정의 형태가 여러 가지로 변화하게 되었다. 백서(帛書...
- 시대 :
- 고려, 조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인천조계조약 仁川租界條約조계[일본전관거류지], 청국전관조계, 각국공동조계가 차례로 설치되었는데, 이상의 조계들은 각각 「인천구조계조약(仁川口租界條約)」 · 「인천구화상지계장정(仁川口華商地界章程)」 · 「인천제물포각국조계장정(仁川濟物浦各國租界章程, Land Regulations for the General Foreign Settlement at Chemulpo)」 등의...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각국약장합편 各國約章合編미국·영국·독일과, 1884년에는 러시아·이탈리아와, 1886년에는 프랑스와 각각 조약을 체결하였다. 그런데 당시의 조약은 약조(約條)·세칙(稅則)·장정(章程)의 형식으로 맺어 조약의 문서형식과 내용이 다양하고 세밀하다. 따라서, 당해업무에 종사하는 관리들에게 정확하게 이해시켜 업무에 숙달할 수 있도록 하기...
- 시대 :
- 근대
- 창작/발표시기 :
- 1887년
- 성격 :
- 외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조선교섭통상사무아문
- 분야 :
- 역사/근대사
-
대장정, 미래를 열어나가는 씨앗성을 통과하고 18개 산맥과 17개 강을 건너 2만 5,000리를 뚫고 나온 병사들은 최정예 부대이자 핵심 당원으로 거듭났다. 더 큰 소득은 씨앗을 뿌렸다는 점. 장정을 통해 2억여 명의 농민을 만난 홍군은 약탈 등 민폐를 일삼았던 국민당군이나 군벌과 달리 농민을 보호하고 계몽하려고 애쓴 결과 대중의 광범위한 지지를...
-
약장합편 約章合編조약의 대체적인 내용을 알리기 위하여 펴낸 것으로 보인다. 제1책에 총목(總目)·범례·한일약장합편(韓日約章合編 : 일본과의 사이에 맺어진 조규·조약·장정·규칙 등을 모아 수록)·한미조약(韓美條約)·각국조약이동합편(各國條約異同合編 : 영국·독일·포르투갈·러시아·이탈리아·프랑스 등과 맺은 조약의...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외부(外部)
- 창작/발표시기 :
- 1898년
- 성격 :
- 외교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책
- 분야 :
- 역사/근대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절첩장 경섭장(經摺裝), 折帖裝같이 이어 붙이고 좌우도 똑같은 크기의 장방형으로 접어 마치 병풍처럼 중첩하여 그 앞뒷면에 보호용 표지를 붙여 순환하며 열독(閱讀)할 수 있게 만든 장정이다. 장정의 발달상 두번째 단계에 해당한다. 권자형의 책은 한편으로는 읽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펼쳐 나가야 하며, 또 다 읽은 부분은 말아서 그 다음 부분...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언론·출판/출판
-
북양대신아문필담 北洋大臣衙門筆談관한 것, ③ 의주 상민의 무역 활동에 관한 것 등이다. 이 밖에 ④ 구련성(九連城) 개잔(開棧)과 삼세(蔘稅 : 15%) ⑤ 1882년에 체결된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내의 한성 개잔(開棧)에 관한 것, ⑥ 강희(康熙) 연간에 세운 백두산정계비의 토문강(土門江) 경계선의 위치 재확인 문제 등이다. 일차적으로는 갑신정변과...
- 시대 :
- 근대
- 성격 :
- 역사서, 필담기록물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1책
- 분야 :
- 역사/근대사
- 소장/전승 :
- 장서각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