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매머드 복제 매머드는 부활할 수 있을까?
    확인했다. 즉 DNA염기가 서로 다른 곳이 무려 3300만 곳이나 된다는 말이다. 이 가운데 매머드에 고유한 변이는 140만 곳이었다. 게놈 상의 DNA 염기 변이가 유전자의 아미노산 변이로 이어지는 경우를 확인한 결과, 1642개의 유전자에서 아미노산이 바뀌었고 26개 유전자에서는 변이로 중간에 정지 코돈이 들어가면서...
  • 유전자 가위로 노인 실명 예방한다
    맺혀서다. 노인성 황반변성은 혈관이 없어야 할 황반에 신생혈관이 자라면서 황반으로 들어오는 빛을 가로막아 실명을 초래한다. 그런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노인성 황반변성을 예방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했다. IBS 유전체 교정 연구단 김진수 단장과 서울대학교 병원 안과 김정훈 교수 연구팀은...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질병 , 세포 , 유전/진화
  • DNA 디옥시리보 핵산, DNA
    DNA 분자는 2개의 뉴클레오타이드가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서로 꼬여서 비틀어진 사다리 모양을 하고 있다. 사다리의 옆 기둥은 당과 인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쌍을 이루어 결합하고 있는 질소 염기들이 가로장을 형성한다. 이러한 염기로는 아데닌(A)·구아닌(G)·시토신(C)·티민(T)이 있다. 한쪽...
  • 유전자 발현 遺傳子發現, gene expression
    신체적으로 비슷한 생물군에서 보이는 일반적인 구조나 모습을 표현형이라고도 한다. 환경 조건은 모든 개체에 있어 공통적인 어떤 잠재능(유전자형)이 발현하도록 한다. 표현형은 환경의 변화 및 나이에 따른 생리학적·형태적 변화로 인해 생물체의 생애를 통해 항상 변한다. 생물학적·물리적 배경의 차이는 유전형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유전자치료제 gene medicine
    유전자치료제란 ‘유전물질 발현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투여하는 유전물질’ 또는 ‘유전물질이 변형되거나 도입된 세포’ 중 어느 하나를 함유한 의약품을 말한다. 유전자치료제는 현재(2020년 기준) 치료법이 없는 희귀 ・ 유전 질환이나 기본 치료법에 대한 미충족 수요가 높은 퇴행성 ・ 난치성 질환에 대하여 치료...
  • 뇌 절제 않고도 난치성 뇌전증 일으키는 유전자 찾았다
    있지만, 뇌는 다른 장기와 달리 뇌혈관 장벽으로 막혀 있어 혈장에서는 세포 유리 DNA가 검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난치성 뇌전증을 진단하려면 원인 유전자를 찾기 위해 뇌에서 병변 부위를 도려내는 수술을 해야 했다. 연구팀은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뇌척수액에 존재하는 극미량의 세포 유리 DNA에서 병인 돌연변이...
  • 유전자 가위 gene scissors
    유전자 가위란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절단해 유전체 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인공 제한효소다. 유전자 가위는 돌연변이 유전자가 있는 곳까지 인도해주는 리보핵산(RNA)과, 문제의 유전자를 잘라내고 교체하는 절단효소(단백질)로 구성된다. 이제까지 1세대 징크핑거 뉴클레이즈(ZFNs), 2세대 탈렌(TALENs), 3...
  • 장 줄기 세포 유전자와 결장암
    연구가 장 줄기 세포(Intestinal stem cell)의 거동과 고지방 식이 사이의 연관성을 제시했다. 그 연구는 지방을 태우는 것을 돕는 것으로 보이는 두 가지 유전자가 결장암(colon cancer)에서 역할을 할지도 모른다고 제시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내장에 너무 많은 식이 지방이 있을 때, 줄기 세포 수가 증가해서 결장암...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질병 , 세포 , 유전/진화
  • BCR-ABL 융합유전자 BCR-ABL fusion gene
    9번 염색체와 22번 염색체의 쪼개진 조각들이 서로 자리를 바꿔 붙으면서 생기는 돌연변이 유전자. 9번 염색체의 ABL 유전자가 22번 염색체의 BCR 유전자와 결합하여 BCR-ABL 융합 유전자가 된다. 이 돌연변이가 생성된 22번 염색체를 필라델피아 염색체라고 한다. BCR-ABL 융합 유전자는 대부분의 만성 골수성 백혈병...
  • 야생형 크라스유전자 wild-type KRAS gene
    세포성장, 세포성숙 및 세포사멸을 조절하는 세포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하는 KRAS라고 불리는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 이 유전자의 변경되지 않은 자연 형태를 야생형 KRAS이라고 한다. KRAS가 돌연변이된 형태는 비소세포(non-small cell)폐암, 대장암. 췌장암 등 일부 암종에서 발견되며, 돌연변이 된 암세포는 야생형...
    도서 암용어사전 | 태그 건강
  • 유전자도입생물 遺傳子導入生物, transgenic organism
    레트로바이러스 등의 벡터(운반체)를 이용하여 외래유전자 디옥시리보핵산(deoxyribonucleic acid/DNA)이 발생초기의 배에 삽입하면, 전능성을 가진 초기배가 분화하면서 발생과정을 통해 모든 세포에 삽입 외래유전자 DNA의 유전자를 함유한 개체로 성장한다. 즉 개체의 모든 세포가 형질전환이 일어난 상태로 발생하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전/진화
  • 모방 유전자 밈(Meme)?
    라는 말이 있다. 우리들의 삶은 모방의 연속이라고 할 수 있다. 연예인들의 의상이나 말투 등을 흉내 내고, 코미디언의 유행어를 따라 한다. '이기적인 유전자' 라는 책에서 '밈(Meme)' 이라는 개념으로 이런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남의 것을 모방하고자 하는 인간의 심리를 생물학적인 용어인 유전자(Gene)의 발음 '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출처1건

멀티미디어64건

유전자
유전자 배열
대립유전자(allele)
유전자 조작 식량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유전자 변형 작물
유전자검사 동의서
유전자치료 동의서
인간 유전자 지도
유전자변형생물체
유전자변형생물체
세포와 유전자
원암유전자(proto-oncogene)
유전자 클로닝(gene cloning)
유전자 발현과 LTP
유전자검사기관 신고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