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복 사복(蛇伏), 蛇福
    이라 하였다. 사동은 사복(蛇卜), 사파(蛇巴), 사복(蛇伏) 등으로도 불리는데 모두 사동을 의미한다. 사복은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고선사(高仙寺)에 있는 원효(元曉)를 찾아가서 “그대와 내가 옛날 경(經)을 싣고 다니던 암소가 지금 죽었으니 같이 가서 장사(將事)를 지내자.”라고 청하였고, 원효와 함께 집으로...
    시대 :
    고대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판비량론 判比量論
    주장하였고, 팔식의 심왕(心王)과 심소(心所)에 대하여 그 체(體)는 동일하지만 소기(所起)의 용(用)은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 이 소기의 용에 대하여 원효 이전의 유식학자들은 삼분으로 나누어 보았다. 삼분은 마음 속에 나타나는 바 경계의 모습(境相)인 상분(相分), 이 상분을 견조(見照)하는 작용인 견분(見分), 이...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원효(元曉)
    창작/발표시기 :
    671년
    성격 :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제석사(경산)
    제석사는 원효대사(617-688)의 탄생지에 지어진 사찰이다. 원효대사는 신라 고승으로 통불교(원효종, 분함종, 해동종)을 제창하고 민중 속에 불교를 보급하고 한국 고대사, 철학사, 사상사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인물로 추앙받고 있으며, 독창적 지식체계의 위상과 가치는 아시아를 넘어 전세계에서 꾸준히 재조명되고...
    위치 :
    경상북도 경산시 자인면 북사안길 18
  • 대승기신론별기 기신론별기(起信論別記), 大乘起信論別記
    #구성과 내용 『기신론소』(이하 『소』라 약칭)와 『대승기신론별기』(이하 『별기』라 약칭)는 『대승기신론』에 대한 원효의 사상을 전하는 대표적 문헌이다. 두 문헌의 관계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원효가 『대승기신론』에 관심을 가지고 처음 정리한 것이 『별기』이고, 이후 보다 종합적으로 찬술한...
    시대 :
    고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의상 해동화엄시조원교국사, 義湘
    있다. 이들을 종합해보면, 속성은 김씨(金氏) 또는 박씨(朴氏)이며 아버지는 한신(韓信)이다. 어려서 경주 황복사(皇福寺)에서 출가했다고 한다. 8세 위인 원효(元曉)를 만나 친교를 맺고 그와 함께 고구려 보덕(普德) 화상에게 〈열반경 涅槃經〉을 배우기도 했다. 650년 당나라 유학을 결심하고 원효와 함께 중국으로...
    출생 :
    625(진평왕 47)
    사망 :
    702(성덕왕 1)
    국적 :
    신라, 한국
  • 소요산 자재암 영원사(靈源寺), 逍遙山 自在庵
    개설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奉先寺)의 말사이다. 역사적 변천 654년(무열왕 1)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자재암이라고 하였으며, 974년(광종 25) 각규(覺圭)가 태상왕의 명으로 중창하였다. 1153년(의종 7) 화재로 소실된 것을 각령(覺玲)이 대웅전과 요사채만을 복구하여 폐사와 다름없이 명맥만 이어...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화엄경입법계품초 華嚴經入法界品抄, Summary of the Gandhavyuha Sut..
    서지적 사항 『석교제사제작목록(釋敎諸師製作目錄)』 권3(『대일본불교전서』 불교서적목록 제2) 「화엄종 원효조(華嚴宗元曉條)」에 원효 저술로서 『화엄경입법계품초(華嚴經入法界品抄)』 2권이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비록 목록으로만 전하는 서적이지만 원효의 화엄 관련 저술 중 『화엄경』의 특정 품을 다룬...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저작자 :
    원효(元曉, 617∼686)
    성격 :
    주석서, 불교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2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불성 佛性
    가려 불성을 알지 못하던 자가 부처님의 교설을 만나 깨달음을 얻게 됨을 비유한 것이다. 불성에 대한 독특한 견해를 집대성한 불교사상가 중에서 신라의 원효(元曉)를 첫째로 꼽을 수 있다. 원효는 불성에 대한 종래의 여러 가지 설을 집대성하고 한걸음 더 나아가 독특한 불성관을 제시하였다. 원효는 우선 불성의 체...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이영무 운제(雲霽), 李英茂
    조선대학교 국사연구원 원장(1964년), 동국 역경원 역경위원(1965년) 등을 역임하였으며 건국대 사학과 교수(1968∼87년), 한국불교학회 이사(1973년), 원효연구원 초대 이사장(1996년)을 지내면서 각종 세미나와 출판을 통해 원효스님의 삶과 사상을 재조명하고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한편 한국...
    시대 :
    현대
    출생 :
    1921년
    사망 :
    1999년 4월 16일
    경력 :
    동방불교대학장, 건국대 사학과교수, 태고총림 선암사 승가대학 초대학장, 한일불교문화교류협의회 이사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불교학자
    대표작 :
    원효사상, 한국의 불교사상, 유마경
    성별 :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무량수경종요 無量壽經宗要
    개설 1권. 『고려대장경』·『신수대장경』·『속장경』 등에 수록되어 있다. 원효(617 ~ 686)가 이 경에 대하여 종요(宗要)를 쓰기 전에 중국에서는 담란(曇鸞)·영유(靈裕)·혜원(慧遠)·길장(吉藏) 등이 주소(註疏)를 낸 바 있다. 원효의 이 종요는 혜원·길장의 주소와 신라의 후학 경흥(憬興)의 것과 더불어...
    시대 :
    고대/남북국
    저작자 :
    원효
    성격 :
    해설서, 불교해설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권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범망경보살계본사기 梵網經菩薩戒本私記
    것이라고 해석한 것, 계의 실체적 유(有)에 집착하면 계의 실상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위범이고 계의 실체적 무(無)에 집착하면 계를 잃는다고 한 것 등에서 원효의 중도적 사유 체계를 볼 수 있다. 또한 ‘심지’를 해석하면서, “삼취계를 소주지(所住地)로 삼는다.”라고 한 것, ‘감로문’을 해석하면서, “소전...
    시대 :
    고대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원융사상 원융설, 圓融思想
    이후 우리나라 불교의 대표적인 흐름이 되어 우리나라 불교를 원융불교라고까지 부르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원융사상을 주창한 대표적인 고승은 원효(元曉)이다. 원효는 여러 저술을 통해 공(空)과 유(有), 진(眞)과 속(俗), 이(理)와 사(事), 소승(小乘)과 대승(大乘), 아(我)와 법(法) 등 인도 및 중국 불교에서...
    유형 :
    개념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8건

원효
원효
원효
원효
원효(元曉)
원효 영정
원효대사 초상
《금강삼매경론》
송광사 원효
원효(元曉)
원효대교
원효대교
원효대사
원효폭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