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태풍 콩레이 (2018년) Typhoon Kong-rey (2018), 颱風康芮 (201..
    크기 '대형'의 강한 열대 폭풍의 세력으로 한반도에 상륙했다. 빠른 속도로 북동~북북동진하며 한반도를 관통한 뒤에 동해상에 진출하였고, 동해상에서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어서,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10월 7일 오전 3시에 일본 삿포로 남서쪽 약 4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도서 위키백과
  • 태풍 앗사니 (2015년) 颱風閃電 (2015年)
    세력 '매우 강', 크기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 북위 27도선에서 북동진으로 전향한 뒤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며 서서히 약화되었고,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는 8월 25일 오후 6시에 일본 삿포로 남동쪽 약 1,47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64hPa의 온대...
    도서 위키백과
  • 2018년 북서태평양 열대저압부
    반경)의 세력 '강', 크기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일본 남쪽 해상에서 북동진하면서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며 서서히 약화되었고, 6월 12일 오전 3시에 일본 도쿄 동쪽 약 6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도서 위키백과
  • 태풍 난마돌 (2022년) Typhoon Nanmadol (2022), 令和4年台風第14号
    전향을 시작하였다. 9월 19일 14시에 일본 기상청 기준으로 태풍 난마돌이 동해상에 진출한 뒤 편서풍과 제트기류를 타면서 빠르게 동북동진하며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어서, 9월 20일 9시에 일본 센다이 북동쪽 약 23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기상청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도서 위키백과
  • 2017년 태풍 2017 Pacific typhoon season, 2017年の台風
    기준으로는 7월 5일 오전 3시에 일본 도쿄 동쪽 약 2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8hPa의 열대저압부로 소멸하였다. 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어서 7월 5일 오전 9시에 일본 도쿄 동쪽 약 56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9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태풍 난마돌의 영향으로...
    도서 위키백과
  • 태풍 마와르 (2023년) Typhoon Mawar, 令和5年台風第2号
    JMA 기준 강풍 직경이 1,000km에서 1,040km로 근소하게 커졌다. 3시에NOAA는 태풍 마와르가 아열대저기압으로 변질된 것으로 분석하였다. 6시에 태풍 마와르가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고 분석하였다.중심기압 985hPa, 10분 평균 풍속 23m/s, 10분 순간풍속 33m/s의 세력으로 중심기압이 상승하였다고 분석하였다...
    도서 위키백과
  • 2012년 태풍 2012 Pacific typhoon season, 2012年の台風
    의 강한 열대폭풍으로 발달하였다. 그 이후 북동진을 계속하면서 빠르게 약화되었고, 5월 28일 12시에 일본 도쿄 동남동쪽 약 1,300km 부근 해상에서 온대 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소멸하였다. 상우는 마카오에서 제출한 태풍 이름으로 산호를 의미한다. 2012년 제3호 태풍 마와르(MAWAR)는 6월 1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도서 위키백과
  • 2013년 태풍 2013 Pacific typhoon season, 2013年の台風
    최성기 이후 일본 규슈를 향해 북동진을 하면서 약화되었고, 6월 21일 9시에 제주도 서귀포 남동쪽 약 1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2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장마전선에 합류되어 소멸하였다.(한국 기상청 태풍정보 기준으로는 중심기압 1000hPa) 리피는 라오스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라오스에 있는 폭포...
    도서 위키백과
  • 2020년 태풍 2020 Pacific typhoon season, 2020年の台風
    최대풍속 18m/s의 비교적 약한 세력으로 북한 옹진반도에 상륙하였다.(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 북한 상륙 뒤 한반도에서 빠르게 북동진하며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어서, 8월 6일 9시에 북한 강원도 통천군 북동쪽 약 12km 부근 해상(동해)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일본 기상청...
    도서 위키백과
  • 2016년 태풍 2016 Pacific typhoon season, 2016年の台風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열대폭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한 뒤에 바로 7월 25일 오전 3시에 일본 삿포로 동남동쪽 약 1,64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1000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 루핏은 필리핀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잔인함을 의미한다. 2016년 제3호 태풍 미리내(MIRINAE)는 7월 26일 오후 3시에 중심기압 1000...
    도서 위키백과
  • 2018년 태풍 2018 Pacific typhoon season, 2018年の台風
    반경)의 세력 '강', 크기 '대형'(일본 기상청 태풍정보 속보치 기준)의 태풍으로 최성기를 맞이하였다. 최성기 이후에는 일본 남쪽 해상에서 북동진하면서 온대저기압화가 진행되며 서서히 약화되었고, 6월 12일 오전 3시에 일본 도쿄 동쪽 약 690km 부근 해상에서 중심기압 984hPa의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었다.(한국...
    도서 위키백과
  • 허리케인 나딘 Hurricane Nadine, 飓风纳丁
    그럼에도 불구하고 폭풍은 몇몇 섬에 열대성 폭풍우를 일으켰다. 9 월 21일, 폭풍은 아조레스 남쪽에서 남동쪽으로 휘어졌다. 그날 늦게 Nadine은 온대 저기압 지역으로 전환했다. 유리한 조건으로 인해 Nadine의 잔해는 9월 24일에 열대성 저기압으로 재생되었다. 재생성된 후 폭풍은 사이클론 루프를 실행하고 동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크리스토벌 허리케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