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로촌족 Oroqen people, オロチョン族
    시와 헤이룽장성의 흥안령 일대에 거주하고 있다. 원래 이들은 흥안령 산맥을 중심으로 수렵 생활을 하던 종족이었다. 2010년 기준 인구는 8,659명이다. 오로촌인들은 문자가 없기 때문에 자신들의 역사를 기록할 수 없었다. 다른 종족의 문헌 중 오로촌인에 관한 기록은 비교적 늦게 나타날 뿐 아니라 아주 적기 때문에...
    도서 위키백과
  • 라 하울라 데 오로 La jaula de oro (TV series)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정보 《라 하울라 데 오로》은 1997년 방영된 멕시코의 텔레노벨라이다. 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라 롱카 데 오로 La ronca de oro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정보 《라 롱카 데 오로》은 2014년 방영된 콜롬비아의 텔레노벨라이다.
    도서 위키백과
  • 오로 베르데 Ouro Verde (TV series)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정보 《오로 베르데》는 2017년 방영된 포르투갈의 텔레노벨라이다.
    도서 위키백과
  • 우루무치시 Ürümqi, ウルムチ市
    우루무치는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수부(首府)이다. 도시 명은 '아름다운 목장'을 뜻하며 중국 서부의 최대 도시이다. 1990년대 이래 우루무치 경제는 점차 개발되고 있고 현재 교통과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우루무치는 톈산산맥 북쪽의 중가르 분지 남동쪽에 있다. 2천년 전 우루무치는...
    도서 위키백과
  • Óró sé do bheatha abhaile Óró sé do bheatha abhaile
    Óró sé do bheatha abhaile([ˈoːɾˠoː ʃeː d̪ˠə ˈvʲahə ˈwalʲə], 오로 셰 더 바허 왈려)는 아일랜드의 300년 이상 된 오랜 민요이다. 20세기 초 아일랜드 독립 전쟁 당시 저항가요로 불렸고 2006년 영화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에 삽입되면서 세계적으로 알려졌다. 아일랜드어로 된 노래로 "Óró"는 환호를...
    도서 위키백과
  • 우루크 기 Uruk period, ウルク文化
    우루크 기(기원전 4000년~3100년)는 선사시대, 금석병용시대에서 초기 청동기시대에 걸친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역사의 한 부분으로, 시기적으로는 우바이드 기(期) 다음이다. 이름은 도시의 이름인 우루크에서 따왔으며, 이 시기에 기초적인 도시생활이 시작되었고, 그 뒤를 이어 수메르 문명이 발달하게 된다. 우르크...
    도서 위키백과
  • 아후라 마즈다 Ahura Mazda, アフラ・マズダー
    라는 낱말은 지혜를 뜻하므로, "아후라 마즈다(Ahura Mazda)"는 문자 그대로 "빛과 지혜" 또는 "빛과 지혜의 존재"다. 아후라 마즈다는 오르마즈드(Ohrmazd), 오로마스데스(Oromasdes), 아후라마즈다(Ahuramazda), 호우르마즈드(Hourmazd), 호르마즈드(Hormazd), 후르무즈(Hurmuz), 아잔다라(Azzandara)로도 불린다...
    도서 위키백과
  • 왕귀뚜라미 エンマコオロギ, 黃臉油葫蘆
    생물 분류 왕귀뚜라미는 동아시아 등지에 서식하는 귀뚜라미의 일종이다. 일본 이름 'エンマコオロギ'귀뚜라미’ 또는 ‘엠마(emma 또는 yemma)귀뚜라미’로도 불린다. 한국에 서식하는 귀뚜라미 중 두 번째로 크며, 여름에 흔히 볼 수 있다. 몸은 검은색이거나 흑갈색이다. 사계절이 뚜렷하고 겨울이 존재하는 우리나라...
    도서 위키백과
  • 윌타어 Uilta language, ウィルタ語
    윌타어 또는 오로크어는 사할린섬의 윌타족이 사용하는 퉁구스어족의 언어이다. 러시아에선 사할린주에 있는 포로나이스키군과 노글릭스키군에 분포한다. 일본 홋카이도에도 소수의 윌타어 사용자가 있으나 그 수는 알려지지 않았다. 2002년 조사내용에 따르면 러시아에는 346명의 윌타족이 살았으며 그 중 64...
    도서 위키백과
  • 오녀산성 Wunü Mountain, 五女山
    대체로 졸본성(卒本城)이라 쓰고 있다. 《삼국유사》에서는 해모수가 건국한 북부여의 수도를 홀승골성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고려사》 공민왕조에는 오로산성(五老山城) 또는 우라산성(于羅山城)으로 쓰여 있다. 조선 후기의 학자 안정복은 《동사강목》에서 오녀산성의 옛 이름인 우라산성의 발음이 위나암성에서...
    도서 위키백과
  • 영광군 (함경남도) Yonggwang County, 栄光郡
    대흥군과 인접한다. 군내의 황초령에는 신라 진흥왕의 순수비가 세워졌다. 1952년 12월에 함주군 하조양면, 상기천면, 하기천면, 주북면, 기곡면을 분리하여 오로군(五老郡)으로 신설되었다. 오로리와 그 주변지역은 오로읍으로 개편하였으며 영광군의 옛 이름은 오로군은 영광읍의 옛 이름인 오로리(五老里)에서 유래...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3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