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지주의 카타리파 또는 알비파, 순수파는 12세기에서 13세기까지 프랑스 남부의 알비와 툴루즈를 중심으로 생겨난 기독교 교파이다. 이들의 교리는 이원론과 영지주의를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11세기에 주로 랑그도크 지역에 전파되었으며 12세기에서 13세기까지 교세를 확장하였으나 강력한 탄압을 받고 사라졌다...
주장한 이후로 성서비평학계를 중심으로 전세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진다.서적 인용 슐라이마이허는 본 서신들이 바울로의 시대보다 더 발전된 형태의 영지주의에 대응하기 위해 서술된 것일지도 모른다는 주장을 펼친다.서적 인용 장로(πρεσβύτερος) 혹은 원로라는 단어의 사용이 시대에 맞지 않는다는 비판도...
지식'을 뜻하는 그리스어의 일반 명사(γνῶ, gnô, f.)다. 이 용어는 다양한 헬레니즘 종교와 철학에서 사용된다.Gnosticism, Encyclopædia Britannica 영지주의로부터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 그것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지식이나 통찰력 자체를 신으로 표현하며, 이는 개인에게 인류 본연의 신성한 불꽃을...
중요시하는 여러 영적인 전통들을 총괄하여 일컫는 낱말이다. 서양의 밀교에 포함되는 것들로는 고대 이집트 피타고라스주의(Pythagoreanism), 나스티시즘(영지주의 연금술(Alchemy), 점성술(Astrology), 마법(Magic), 신성 마법(Theurgy), 신지학(Theosophy), 헤르메스주의(Hermeticism), 카발라(Kabbalah), 허브학...
다른 종교와 특성을 공유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독교는 단순히 구약성서의 연속이 아니라 혼합주의이며 헬레니즘 유대교(필로)와 헬레니즘 종교인 신비 숭배와 영지주의에 뿌리를 두고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이 학파의 대표적인 학자들은 베른하르트 더함(1873), 알버트 아이크혼(1856-1926;1886), 헤르만 궁켈...
고대 이란 종교: 고대 이란족이 믿은 종교. 조로아스터교 주르반교 미트라교: 기원후 1세기-4세기에 로마 제국에서 유행한 밀교. 마니교: 3세기에 나타난 영지주의 이원론 종교. 마즈다크교: 5세기말-6세기초의 원시공산주의 영지주의 종교. 페르시아 신비주의 쿠람교 베하파리드교 야즈단교 아스딘교: 스키타이 신이...
뜻하는 그리스어 데미오스(δήμιος )와 일을 뜻하는 에르곤(έργον)에서 왔으며, 한자로는 제작자라는 뜻을 갖고있다. 기독교의 창조론 견해 중, 영지주의의 인간관에 따르면, 참 하나님은 온전한 선이기 때문에 악한 물질세상( 질료 )에 손을 댈 겨를이 없다판단하고있으며, 이에 따라 참 하나님( God )이 조금...
윤회가 끝난다. 윤회, 즉, 삶과 죽음의 인생사는 어둠을 극복하여 깨달음 또는 구원에 이르는 여정이다. 힌두교 고대 이집트 종교.cw피타고라스 학파.cw영지주의.cw헤르메스주의 등에서 윤회를 믿었거나 믿고 있다. 힌두교와 불교에 따르면, 윤회를 부정하는 것은 인과응보 또는 원인과 결과의 인과법칙을 부정하는 것...
기원후 4세기에 로마령 히스파니아에서 프리스킬리아누스(Priscillianus)에 의해 발전한 기독교 종파였다. 멤피스 출신의 마르쿠스(Marcus)라는 이집트인의 영지주의적 교리에 감동된 평신도 프리스킬리아누스가 설파하였다. 나중에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 양쪽에서 이단으로 간주되었다. 기독교 영지주의 토막글
그의 그리스도론은 가현설(도케티즘)로 발전한다. 복음서 가운데서 구약의 하느님과 관련한 부분을 삭제하였으며, 신학적으로 그노시스주의(Gnosticism, 영지주의)에서 부분적으로 영향 받았다고 여겨진다. 마르키온은 초기 교회에서 이단으로 단정되었다. 후에 마르키온의 신학을 따르는 교회가 확산함에 따라 많은...
靈知)라고 일컫는다. 이는 믿음보다 자신에 대한 참된 인식이 구원을 가져오며, 그렇기 때문에 그노시스는 믿음보다 높은 차원의 단계라고 주장한다. 한편 영지주의는 그리스 철학에서 출발하여 동방 종교의 이원론(二元論)을 흡수하고, 하느님과 세상, 영과 육, 선과 악 등의 대결된 입장에서 고찰하여, 독특한 구원론...
단지에 밀봉되어 있던 가죽 장정 파피루스 코덱스 13권이 지역 농민에 의해 발견된 장소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들 코덱스는 대부분 영지주의 관련 문헌들을 담고 있으며, 영지주의적 금서를 소유하는 것이 이단으로 공격받던 상황에서 파코미우스 수도원 가까이의 수도사에 의해 숨겨진 것으로 여겨진다. 문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