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숭실학교 崇實學校학당(梨花學堂)에 대학부가 설립되어 여성들을 위한 고등교육을 담당하였다. 그런데 숭실학교는 일제하에서 고등보통학교(高等普通學校)로의 승격문제 및 신사참배 강요 등에 따른 민족의 수난과 함께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지 않을 수 없었다. 일제가 제정 공포한 사립학교규칙 제1조 · 제2조 · 제3조는 형식상으로는...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
-
-
외국인 선교사 추방사건 외국인 선교사 철수·송환, 外國人 宣敎師 追放事件1930년대에 들어와 만주사변(1931)과 중일전쟁(1937)을 도발한 일제 전시체제의 형성에 따라 한국 주재 선교사들에 대한 감시와 탄압도 가중되었다. 1930년대 신사참배 저항의 배후에 선교사들이 있다고 판단한 일제는 선교사들에 대한 탄압과 회유를 병행하였으나, 「외국인의 입국, 체재 급 퇴거에 관한 건(법령...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사건
- 분야 :
- 종교·철학/개신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196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현승 눈물과 보석과 별의 시인김기림 · 이태준 등도 그에게 격려와 찬사를 보냄으로써 김현승이라는 이름은 일찍부터 시단에 알려진다. 1936년에 들어 위장병이 도지고 숭실전문이 신사 참배 거부로 폐쇄되는 사태가 벌어지자 그는 졸업을 앞둔 채 광주로 돌아와 모교인 숭일소학교에서 교편을 잡는다. 그런데 얼마 뒤 불거진 숭일의 신사 참배 거부...
- 출생 :
- 1913년
- 사망 :
- 1975년
-
김명수 金明守, Kim, Myeong-su朴商圭), 배장실(裵長實), 장재상(張在尙), 오경팔(吳慶八), 조문대(趙汶大), 백정기(白政基) 등 10여명과 함께 조선독립을 목적으로 청년독립회를 조직해 신사참배거부운동을 전개했다. 1943년 4월 창원역과 창원 주요관문에 ‘조선독립만세’라고 쓰여진 벽보를 붙이는 등 독립운동을 전개했으며, 1944년 12월 진해...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29년 7월 9일
- 사망 :
- 1945년 9월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창원만세사건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주일선거 반대사건 主日選擧 反對事件3분의 1정도가 여기에 가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북한 지역의 많은 기독교인들은 이후 6·25전쟁 중에 대거 월남하였다. 의의 및 평가 일제 말기 신사참배 문제가 대두되었을 때 북한 지역의 교회 지도자들은 신사참배에 반대하여 감옥에서 죽기까지 하면서 우상 숭배를 거부하였다. 하지만 해방 후 소련군이 진주...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사건·사고
- 분야 :
- 종교·철학/개신교
-
침례교 浸禮敎폐쇄되었다. 3·1운동 이후 포교 허가제가 포교 신고제로 바뀜에 따라 교회의 문이 다시 열렸다. 1931년 만주사변(滿洲事變) 이후, 일제는 기독교계에 신사 참배(神社參拜)를 강요하기 시작했다. 이에 김영관 감목은 1935년 10월 5일 자로 발간된 교단지인 「달편지」를 통해 전국 교회에 신사 참배의 부당성을 알리고...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종교·철학/개신교
-
리들리한인장로교회 리들리한인감리교회(Reedley Korean Methodist Chur..한인들이 예배를 보기 시작하였고, 1922년 3월 26일 리들리한인감리교회라는 이름으로 남감리교 선교부의 정식 인준을 받았다. 1936년 한국의 감리교단이 신사참배를 하기로 결정하자 이에 반발해 장로교단으로 변경하였다. 설립목적 하와이에서 미국 본토로 이주한 후, 중부 캘리포니아 지역 포도농장에서 일하던 한인...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위치 :
- 1408 J Street, Reedley, California
- 설립 :
- 1919년 2월
- 성격 :
- 재미한인교회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78년
- 분야 :
- 역사/근대사
-
만국 부인 기도회 사건 萬國婦人祈禱會事件순서지는 1월 하순부터 남장로회 선교구역이었던 호남지방을 제외하고 전국에 골고루 배포되었다. 남장로회가 불참한 이유는 1938년 장로회 총회에서 신사참배 결의안이 상정된 후 남장로회 선교부가 소속 노회를 탈퇴하여 개별적인 선교사업을 전개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시기는 한국교회가 신사참배를 결의함으로써...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발생 :
- 1941년 2월 28일
- 성격 :
- 개신교 사건
- 유형 :
- 사건
- 종결 :
- 1941년 10월
- 분야 :
- 종교·철학/개신교
- 관련 인물/단체 :
- 버츠, 블레어, 여선교회, 여신도회
- 관련 장소 :
- 전국의 장로교회와 감리교회
-
숭실대학교 숭실대, 崇實大學校정식 인가를 받았으며 1925년 일제의 「전문학교규칙」에 의하여 4년제 문과만으로 편성된 숭실전문학교로 개편되었다. 1930년대 중반부터 계속된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함에 따라 평양의 숭실전문학교 · 숭실중학교 · 숭의고등여학교 등 3숭(崇)의 학교가 폐교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에 사회 각계에서...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