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재광 金在光
    民政黨) 서대문구갑구 후보로 위원장이 되었지만 그 해 8월 한일조약비준을 반대하기 위하여 소속정당 탈당과 동시에 국회의원도 사퇴하였다. 1967년 2월 신민당 창당을 발기하였으며, 같은 해 6월 제7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또 1971년 제8대 국회의원이 되어 신민당 사무 총장과 원내총무 등을 맡아 활발한 의정...
    시대 :
    현대
    출생 :
    1922년
    사망 :
    1993년
    경력 :
    국회의원, 통일민주당 상임고문, 국회부의장
    유형 :
    인물
    직업 :
    정치인
    대표작 :
    이정표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안동(安東)
  • 채문식 우치(友癡), 蔡汶植
    재직 기간 중 『민국일보』 도쿄 특파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63년 국민당 재정부장으로 선임되며 정당인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후, 국민당 총무부장과 신민당 사무처장으로 활동하다가 1971년 7월 전국구로 제8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제3공화국과 제4공화국에서는 야당인 신민당 의원이 되어 신민당 대변인을 거쳐...
    시대 :
    현대
    출생 :
    1925년 1월 16일
    사망 :
    2010년 6월 26일
    경력 :
    제8·9·10·11·12·13대 국회의원, 제11대 국회의장
    유형 :
    인물
    직업 :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인천
  • 김동영 민초(民草), 金東英
    의원을 지냈다. 활동사항 김영삼의 비서관으로 정치에 입문하였으며, 1971년에는 우석대학교 · 고려대학교 강사를 지낸 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 신민당의 공천으로 거창 · 산청 · 함양 지역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이듬해는 신민당경상남도 당위원장이 되었다. 1975년에는 동국대학교 이사가 되고...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YH 무역 사건
    명의 경찰이 농성장에 투입되면서 23분 만에 진압되었다. 이 과정에서 22세 여성 노동자 김경숙이 숨진 채 발견됐다. 이 사건은 이후 신민당의 무기한 농성과 김영삼 당시 신민당 총재의 의원직 제명 등으로 이어졌다. 당시 목숨을 잃었던 김경숙의 죽음에 대해서는 사후 30년 만인 2008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 김두봉 도경, 金枓奉
    이후 1945년 12월 평양에 들어왔고, 1946년 2월 8일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가 조직되자 부위원장을 맡았다(위원장은 김일성). 1946년 2월 조선독립동맹이 조선신민당으로 개칭되었고, 중앙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1946년 8월 조선신민당이 북조선공산당과 합당, 북조선노동당이 조직되자 중앙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하였다...
    출생 :
    경남 동래, 1890
    사망 :
    미상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사회주의운동 社會主義運動
    농민운동 조직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미군정시기 노동운동과 농민운동을 실질적으로 지도하는 활동을 하였다. 한편 1946년 8월 북조선공산당과 조선신민당의 합당으로 북조선로동당(북로당)이 창립되는 시기를 전후하여 남한에서 3당합당이 적극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인민당 중앙집행위원회는 “노동자...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정운갑 鄭雲甲
    지냈다. 1955년 4월 내무부 차관을 거쳐 그해 11월 농림부장관에 임명되었다. 1958년 제4대 민의원 선거에 자유당 소속으로 충청북도 진천에서 출마해 당선했다. 이어 신민당 소속으로 서울에서 7대, 8대, 9대, 10대 국회의원에 연이어 당선했다. 1979년 신민당 파동 때 법원으로부터 총재직무대행에 임명되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출생 :
    1913년
    사망 :
    1985년
    경력 :
    국회의원, 농림부장관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신민당 파동
    직업 :
    관료, 정치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김홍일 일서(逸曙)
    의장고문과 군정 외무부장관을 지냈다. 1965년 한일협정을 적극 반대, 박정희(朴正熙)와 결별하고, 1967년 정계에 투신하여 제7대 국회의원이 된 뒤, 1970년 신민당 전당대회의장을 거쳐, 1971년 유진산(柳珍山)이 한때 물러난 뒤에 당수 권한대행을 맡았다. 그 해 신민당 전국구 국회의원이 되었고, 당내로는 김대중...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10·26사태 박정희 암살 사건, 十二六事態
    수매사건 등 생존권투쟁이 잇따랐다. 이러한 민심을 반영하듯 같은 해 12월에 실시한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이 31.7%를 득표한 데 비해 신민당은 32.8%를 획득함으로써 집권 여당의 위기감을 증폭시켰다. 1979년에 들어서서 YH노조사건과 신민당총재 김영삼(金泳三) 국회의원직 강제 제명사건 등이 연속...
  • 남북노동당합당 南北勞動黨合黨
    북한에서는 1946년 8월 28~30일에 북조선공산당과 조선신민당이 합당하여 북조선노동당(이하 북노당)이 창당되었으며, 남한에서도 1946년 11월 23~24일 조선공산당·남조선신민당·조선인민당의 합당이 이루어져 남조선노동당(이하 남노당)이 결성되었다. 1948년 4월 남북협상부터 1948년 5월 10일 남한의 단독선거 결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현대
  • 연안파 延安派
    내전에 참전했던 인물들을 제외하고는 1945년 11월부터 그해말에 걸쳐 입국했다. 그리고 1946년 2월 16일 '조선독립동맹'을 개칭해 조선신민당(당수 김두봉)을 결성했다. 조선신민당은 1946년 8월말 북조선공산당과 합당하여 북조선노동당으로 출범했으며, 이때 연안파 인물들은 북한 정치의 장에 전면적으로 등장하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류홍 의당(衣黨), 柳鴻
    29일 실시된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소속으로 영등포 을 선거구에 출마했지만, 무소속 김석원 후보에 패해 낙선했다. 이후 신민당 창당준비위원으로 활동하며 1961년 신민당 중앙상무위원으로 임명되었다. 민주당 구파로 이후 민정당 창당에 관여한 후, 1963년 7월 10일 민정당 임시대의원회에서 김산 위원장...
    시대 :
    현대
    출생 :
    1899년
    사망 :
    1989년
    경력 :
    국회의원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국민방위군사건
    직업 :
    정치인, 기업인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고흥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신민당
신민당 의원총회
신민당 창당대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