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십이흰점무당벌레
    특징 적갈색의 딱지날개의 흰색 점무늬는 1-2-2-1로 배열되어 있다. 생태 성충은 5~6월에 숲 속의 초원 지대에서 볼 수 있다.
    분류 :
    딱정벌레목(Coleoptera) > 무당벌레과(Coccinellidae)
    서식지 :
    숲 속의 초원 지대
    크기 :
    성충의 몸 길이 3~5mm
    학명 :
    Vibidia duodecimguttata Poda
    식성 :
    잡식
    분포지역 :
    한반도, 울릉도, 일본, 중국, 시베리아 등
  • 무당벌레붙이과 Endomychidae
    몸 길이는 1~20mm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 촉각은 길고, 고목에서 곰팡이나 버섯류를 먹는다. 전세계에 약 13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종이 보고되어 있다. ㆍ무당벌레붙이
    분류 :
    딱정벌레목(Coleoptera)
  • 호주, 곤충 시리즈 우표 호주 우표
    발행일 :
    1991.04.11
    발행국가 :
    호주
    액면가격 :
    43c(센트)
    디자인 :
    무당벌레
    전지구성 :
    4mm x 3mm
    도서 세계우표 | 태그 문화 일반
  • 배나무 병해충 방제
    실시한다. ⑤ 질소를 너무 많이 주어 먹이 조건이 좋으면 피해를 받기 쉽다. 비료를 알맞게 주어 너무 무성하게 자라지 않도록 한다. ⑦ 포식성응애, 무당벌레, 포식성노린재, 풀잠자리 등의 천적에 독성이낮은 약제를 선택하여 이용한다. (2) 꼬마배나무이 * 학명(學名) : Cacopsylla pyricola (Foerster) * 영명(英名...
    도서 | 태그 산업 , 과일
  • 진딧물 aphid
    식물의 발육을 방해하고 충영(蟲癭)을 유발하며 식물의 바이러스 질환을 전파한다. 또한 잎·싹·꽃을 변형시킨다. 진딧물은 화학약품을 분무하거나 무당벌레류·풀잠자리류 등의 천적을 써서 구제(驅除)할 수 있다. 진딧물은 생활사가 복잡하다. 암컷은 여름 내내 수정 없이(즉 처녀생식에 의해) 살아 있는 새끼를...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매미목 > 진딧물과
    서식지 :
    식물
    크기 :
    약 0.2cm ~ 0.4cm
    식성 :
    초식
    천적 :
    무당벌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선녀벌레
    해칠 수 있다. 겨울에 죽은 가지를 잘라서 소각하는 방식으로 방제할 수 있다. 가을에 죽은 가지에 산란하며 알 상태로 겨울을 나는 선녀벌레의 특성을 이용한 방식이다. 또한, 포식자인 무당벌레류, 풀잠자리류, 거미류 등을 보호해 생물적으로 방제할 수도 있다. 선녀벌레만을 목적으로 약제를 살포하는 사례는 많지...
    분류 :
    절지동물 > 곤충류 > 매미목 > 선녀벌레과
    크기 :
    몸길이 5mm, 날개 길이 10mm
    학명 :
    Geisha distinctissima
    분포지역 :
    한국, 중국, 일본 등
    기주식물 :
    밤나무, 배나무, 감귤나무 등 활엽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Coccinella septempunctata 칠성무당벌레, ナナホシテントウ
    Coccinella septempunctata, the seven-spot ladybird (or, in North America, seven-spotted ladybug or "C-7"), is the most common ladybird in Europe. Its elytra are of a red colour, but punctuated with three black spots each, with one further spot being spread over the junction of the two, making a...
  • Harmonia 무당벌레속, Harmonia (beetle)
    Harmonia is a genus of lady beetles belonging to the subfamily Coccinellinae. The distinction of the individual species within the genus is often very difficult, and in some cases requires examination of the reproductive system. The coloring and drawing in the genus Harmonia are very variable...
  • 버들잎벌레 Salix Leaf Beetle
    짝짓기를 하는데, 5월 중순~6월에 2세대의 성충이 나타난다. 지역에 따라 1년에 3~4회 세대를 반복한다. 성충, 유충 모두 버드나무류의 잎을 먹는다. 남생이무당벌레의 유충이 들잎벌레의 유충을 건드리면 반점샘으로부터 흰색의 액을 분비하여 방어한다. 유충은 무리를 지어 잎 뒤에 매달려 번데기가 된다. 우화시는 몸...
    분류 :
    딱정벌레목(Coleoptera) > 잎벌레과(Chrysomelidae)
    크기 :
    성충의 몸 길이 7mm 내외
    학명 :
    Chrysomela vigintipunctata Scopoli
    식성 :
    잡식
    분포지역 :
    한반도, 일본, 중국, 타이완,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유럽 등
  • 무당거미 Nephila clavata, ジョロウグモ
    한쪽에 매달아 놓고 수일에 걸쳐 섭취한다. 모기는 물론 커다란 매미나 말벌과 같은 것도 먹는다. 심지어 다른 무당거미속의 거미는 무당벌레나 메뚜기 등을 사냥하기도 한다. 무당거미의 둥지에는 무당거미 뿐만이 아니라 다른 거미도 있을 수 있다. 그 거미는 다른 거미줄에 기생하여 무당거미가 상대하지 않는 작은...
    도서 위키백과
  • 사시나무잎벌레 포플러잎벌레, Red poplar leaf beetle
    6월까지 활동한다. 암컷은 황철나무, 사시나무 등 먹이 식물의 새로운 잎이 돋아날 신아 근처의 가는 가지에 약 30~40개의 알을 무리를 지어 낳는데, 남생이무당벌레의 성충이 봄에 이 알을 먹기도 한다. 알에서 깨어난 유충은 사시나무 등 황철나무류의 잎을 먹는데, 유충은 8월경이면 다 자란다. 번데기는 잎 뒤에...
    분류 :
    딱정벌레목(Coleoptera) > 잎벌레과(Chrysomelidae)
    크기 :
    성충의 몸 길이 10~12mm
    학명 :
    Chrysomela populi Linnaeus
    식성 :
    잡식
    분포지역 :
    한반도, 일본, 중국,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유럽, 북아프리카
  • 성긴주름검은갓버섯 절구버섯
    직경 0.8~2.5cm이며 겉면은 흰색이다가 점차 갓과 같은 색깔로 된다. 상처를 받으면 붉은색으로 변한다. 속은 차있으나 가운데는 해면 모양이며 늙은 것은 벌레가 먹으므로 속이 거의 빈다. 포자는 둥그스름하고 무색이며 크기는 8~9×6~8㎛이다. 겉면에는 가시와 새김 무늬가 있다. 안에는 큰기름 방울이 있다. 포자...
    분류 :
    담자균아문(Basidiomycotina) > 진정담자균강(Eubasidiomycetes) > 주름살버섯목(Agaricales) > 색갓버섯과(Russulaceae) > Russula속
    서식지 :
    나무숲 안의 땅
    학명 :
    Russula nigricans (Bull.) Fr.
    국내분포 :
    산지:, 신양, 대성산, 묘향산, 금강산
    해외분포 :
    아시아(일본, 중국, 소련 극동), 북미주, 유럽
    발생시기 :
    여름~가을
    생활사 :
    공생생활
    군락형태 :
    산생
    도서 버섯사전 | 태그 균류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85건

무당벌레
무당벌레
무당벌레
무당벌레
무당벌레
무당벌레
무당벌레
무당벌레
무당벌레
무당벌레
무당벌레
무당벌레
무당벌레
무당벌레
무당벌레
무당벌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