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바흐의 재발견그런데 바흐가 죽은 지 80여 년이 흐른 후, 음악사상 가장 드라마틱한 사건이 일어났다.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의 지휘자로 부임한 멘델스존이 바흐의 작품 중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는 〈마태 수난곡〉의 악보를 발견한 것이다. 바흐가 살던 시절, 독일의 여러 교회에서는 매년 성 금요일이 되면 그리스도...
-
-
-
종교적 심성을 노래한 온화한 낭만주의자, 막스 브루흐 Max Christian Friedri..유명한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페르디난트 힐러와 보헤미아 출신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이그나츠 모샬레스 밑에서 공부했는데, 초창기에는 주로 슈만, 멘델스존의 영향을 받은 작품을 썼다. 1858년부터 브루흐는 쾰른 음악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해에 괴테의 작품에 곡을 붙인 첫 오페라...
- 출생 :
- 1838년 01월 06일
- 사망 :
- 1920년 10월 02일
- 국적 :
- 독일
- 대표작 :
-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콜 니드라이〉 등
-
우아하고 세련된 프랑스풍 오페라의 창시자, 샤를 프랑수아 구노 Charles―François..생각을 하기도 했다. 1842년, 구노는 로마를 떠나 오스트리아 빈으로 가서 자신의 미사곡을 발표했다. 그다음 독일 라이프치히에 들러 작곡가 멘델스존을 만났다. 멘델스존은 그에게 바흐의 음악을 소개하고, 그가 사용하던 성 토마스 교회의 오르간을 보여 주었다. 구노는 바흐의 음악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 평균율...
- 출생 :
- 1818년 06월 17일
- 사망 :
- 1893년 10월 18일
- 국적 :
- 프랑스
- 대표작 :
- 교회음악 〈성 체칠리아를 위한 장엄미사〉, 오페라 〈파우스트〉 등
-
야코비 Friedrich Heinrich Jacobi레싱의 말을 듣고 야코비는 스피노자주의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스피노자주의의 합리론적 접근법에 거부감을 느낀 그는 〈스피노자 이론에 관하여, 모제스 멘델스존에게 보낸 서한들에서 Über die Lehre des Spinoza, in Briefen an den Herrn Moses Mendelssohn〉(1785)에서 스피노자를 비난했다. 멘델스존은 다른...
- 출생 :
- 1743. 1. 25, 베르크 공작령 뒤셀도르프
- 사망 :
- 1819. 3. 10, 뮌헨
- 국적 :
- 독일
-
피아노 트리오 g단조 클라라 슈만, Trio für Pianoforte Violin, und Violoncello Op.17매혹적인 선율과 섬세한 화음변화를 세 악기가 더없이 아름답게 균형을 이루며 펼쳐보인다. 3악장 안단테(Andante) 더없이 서정적인 느린 악장으로, 쇼팽과 멘델스존을 연상케 할 만큼 섬세한 선율 감각을 보여준다. 아련한 동경을 담은 첫 부분과 깊은 열정을 담은 중간 부분, 긴 여운을 남기는 종지가 낭만주의의 정수...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실내악>3중주
- 제작시기 :
- 1846년
- 작곡가 :
- 클라라 슈만(Clara Schumann, 1819~1898)
- 출판 :
- 1847년
- 구성 :
- 4악장
- 편성 :
-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
피아노 협주곡 a단조 클라라 슈만, Piano Concerto in a minor Op.7주는 대담함과 원숙함은 놀라울 정도이며, 대규모 작품을 노련하게 다루고 있다. 1835년의 초연에 이어 1837년 빈에서 이 작품을 연주한 뒤, 그녀는 쇼팽, 멘델스존, 슈만과 함께 ‘낭만악파’의 일원으로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되었다. 자신보다 열 살이나 많은 원숙한 작곡가들과 동등한 평가를 받을 정도로 그녀는 당대...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관현악곡>협주곡
- 제작시기 :
- 1833~1836년
- 작곡가 :
- 클라라 슈만(Clara Schumann, 1819~1896)
- 초연 :
- 1834(단악장), 1835년(전체 3악장)
- 구성 :
- 3악장
- 편성 :
- 피아노(독주), 오케스트라
-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 Leipzig Gewandhaus Orchestra연주회를 가졌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초기에는 당시의 관례를 따라 지휘자 없이 악장이 악단을 이끌었으나 1835년 상임지휘자 제도를 신설하여 멘델스존을 맞아들였다. 멘델스존은 이 악단과 더불어 슈베르트의 9번 교향곡을 초연하고 잊혀진 바흐의 작품들을 재연하는 등 역사적인 업적을 쌓았다. 1895년 근대적인 지휘...
-
피아노 3중주 1번 안톤 아렌스키, Piano Trio No.1 in d minor Op.32주제에 의한 변주곡〉에서 직접적으로 들을 수 있다. 이 작품 역시 차이콥스키가 죽고 나서 몇 달 안에 쓰인 작품이었다. 어떤 이들은 그의 작품에서 멘델스존의 영향을 듣기도 한다. 특히 피아노 3중주라는 장르에서 멘델스존이 이미 같은 조성인 d단조로 걸출한 작품을 작곡한 바가 있음을 기억해야한다. 하지만 음악...
- 시대 :
- 낭만
- 분류 :
- 낭만주의 음악>실내악>3중주
- 제작시기 :
- 1894년
- 작곡가 :
- 안톤 아렌스키(Anton Arensky, 1861~1906)
- 출판 :
- 1894년, 모스크바
- 구성 :
- 4악장
- 편성 :
-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