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민병숙 閔丙肅
    민병태(閔丙台)이다. 조카 민준기(閔駿基)도 함께 독립운동을 하였다. 주요 활동 1919년 4월 2일 강원도 홍천군 동면(東面) 속초리(束草里)에서 800명의 군중들이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홍천에서는 3월 말경부터 독립만세를 외치려는 협의가 이루어져 4월 1일 홍천 읍내에서 천도교와 야소교(耶蘇敎) 신도들이...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이희석 李喜錫
    3월 19일 정오, 이찬영과 함께 인근의 비봉산(飛鳳山)에 올라가 고천제(告天祭)를 올렸다. 그리고 일제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읍내에 분산해 있던 시위 군중에게 봉성동으로 모이라는 신호를 하고는 곧 하산하였다. 수백 명의 시위 군중에게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나누어주고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뒤 독립만세를 선창...
    시대 :
    근대
    출생 :
    1892년(고종 29)
    사망 :
    1950년
    경력 :
    건국포장, 애국장
    유형 :
    인물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박상엽 朴尙燁
    오전 9시, 군북면 동촌리(東村里)의 신창학교(新昌學校)에서 50여 명의 학생들에 의하여 시작되었는데, 이를 신호로 군북 장터에 있던 박상엽(朴尙燁)은 시위 군중과 함께 일제히 궐기하였다. 제2단계는 오후 1시경, 조상규가 둑 위에 올라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조용규가 “대한독립만세”를 선창하자, 3,000여 명의...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연백 3·1운동 연백 삼일운동, 延白 三一運動
    정해졌다.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는 과정에서 3월 2일 경찰에 발각되는 위기를 맞기도 했지만 시위는 예정대로 진행되었다. 3월 15일 제일 먼저 봉북면에서 시위 군중이 연안면 동문 쪽으로 행진했다. 이튿날인 16일에는 호동면의 시위 군중이 연안면의 남문 쪽으로 행진했다. 헌병의 저지에도 불구하고 시내 진출에 성공...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발생 :
    1919년 3월 중순
    성격 :
    독립운동, 3·1운동
    유형 :
    사건
    종결 :
    1919년 3월 하순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손창현(孫昌鉉), 송흥국(宋興國), 이정식(李廷植)
    관련 장소 :
    황해도 연백
  • 의성 3·1운동 義城三一運動
    중심으로 전개된 그곳의 만세시위운동에 참가했다. 기독교인들은 12일 박영신의 집에서 태극기 200여 장을 제작해, 정오에 박영신의 집 앞에 모인 200여 명의 군중에게 나누어주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동리를 시위 행진한 후 뒷산에 올라가 만세시위를 전개했다. 13일과 16일에도 비안면 동부동에서 김석근(金石根) 등의...
  • 엘리아스 카네티 Elias Canetti
    때 배웠다. 1913년 아버지가 죽자 어머니와 함께 빈으로 이주했다. 취리히·프랑크푸르트·빈 등지에서 공부했으며 1929년 빈대학교에서 화학박사학위를 받았다. 군중에 대한 관심은 1920년대에 프랑크푸르트에서 일어난 인플레이션 항의 폭동을 지켜보면서 구체화되었다. 이 가두 폭동은 1927년 성난 군중이 빈 법무궁...
    출생 :
    1905. 7. 25, 불가리아 루스추크
    사망 :
    1994. 8. 14, 스위스 취리히
    국적 :
    불가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평양 3·1운동 평양 삼일운동, 平壤 三一運動
    설암리 옛 대성학교 뒷자리에 자리한 천도교구에서는 천도교인들이 각각 독립선언식을 하고 시내로 행진하여 합류했다. 시위 군중은 시간이 갈수록 점점 늘어났다. 군중에게는 선언서와 태극기가 공급되었다. 상인들도 철시하고 시위에 가담했으며, 보통학교 학생들도 합류했다. 여기에 학교별로, 동네별로 조직된 시위...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발생 :
    1919년 3월 1일
    성격 :
    독립운동, 3·1운동
    유형 :
    사건
    종결 :
    1919년 4월 초순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이승훈(李昇薰), 김선두(金善斗), 박석훈(朴錫勳)
    관련 장소 :
    평안남도 평양
  • 박도현 朴道玄
    전해 받은 독립선언서와 태극기를 수천 장 더 만드는 등 사흘간 밤낮으로 준비하였다. 4월 4일 12시 30분, 이리 장터에 기독교인들을 중심으로 300여 명의 군중들이 모이자 박도현과 문용기 등은 미리 준비한 독립선언문을 학생과 시민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들은 군중들과 함께 시가를 행진하며 독립만세를 불렀다...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이용화 운경(雲京), 李龍和
    규합하였으며, 각 마을을 돌아다니며 시위 계획을 알리고 일장기를 변형하여 태극기를 제작하는 등 시위를 준비하였다. 3월 28일 오전 9시경 효촌리에는 많은 군중이 집결하였는데, 갑자기 민가에 화재가 발생하여 시위가 지연되었다. 이에 오후 3시경 김진성, 백남식 등과 함께 마을 주민을 이끌고 10여 리[약 4㎞...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이준배 李俊培
    거사일로 정하고 시위를 준비하였다. 거사 당일 오전 9시경 지석용(池錫湧)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 본격적으로 시위가 시작되었고, 시간이 갈수록 시위 군중은 급증하였다. 이때 반석교회(盤石敎會) 장로 최능현(崔能賢)과 사천시장교회(沙川市場敎會) 목사 송현근(宋賢根)이 전날 만세시위를 도모하였다가 검거된...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동풍신 董豊信
    3·1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1921년 서대문형무소에서 옥사하였다. 활동사항 1919년 3월 14일 오전 11시 화대동 헌병 분견대 앞에서 5,000여 명의 군중이 모여 독립만세시위를 벌였다. 함경북도에서 일어난 만세시위 중 최대 인파가 모였던 이날 시위에서 헌병이 무차별 사격하여 5명의 시위군중이 목숨을 잃었다...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출생 :
    1904년(고종 41)
    사망 :
    1921년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3·1운동
    직업 :
    독립운동가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 박창서 朴昌瑞
    동지들을 규합하여 3월 31일을 거사일로 정하고 준비에 들어갔다. 거사 당일인 3월 31일, 박창서 · 박일경 등은 미리 준비한 태극기 2,000여 개를 시위 군중들에게 나눠준 뒤, 독립만세를 고창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시위 군중 600여 명을 이끌고 면사무소를 습격하였다. 미처 피하지 못한 면 직원 3명을 위협해 만세를...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5건

휴전 반대시위 군중
휴전 반대시위 군중
무솔리니에게 환호하는 군중
장제스를 환영하는 군중
6・10만세 시위 군중
6 ・ 10만세 시위 군중(1926)
▲ {군중 앞에서 연설하는 레닌}
장 앙투안 와토 〈공원의 군중〉
예금을 찾기 위해 모인 군중
1893년 차이콥스키 장례식에 모인 군중들
을사늑약을 반대하는 대한문 앞 군중
모스크바 3상회의를 지지하는 군중
쑨원의 죽음을 애도하는 군중들
쑨원의 죽음을 애도하는 군중들
군중 앞에서 연설을 하고 있는 글로리아 스타이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