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행우 사회(士會), 李行愚
    개설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사회(士會), 호는 수남(水南). 지평 이제신(李濟臣)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기준(李耆俊)이고, 아버지는 장악원정(掌樂院正) 이후기(李厚基)이며, 어머니는 남호(南琥)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33년(인조 1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예문관검열, 대교를 거쳐, 1635년 정언에...
    시대 :
    조선
    출생 :
    1606년(선조 39)
    사망 :
    1651년(효종 2)
    경력 :
    좌부승지, 이조참의, 대사간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병자호란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전의(全義, 지금의 충청남도 연기)
  • 황서 정옥(廷玉), 黃瑞
    명종 7) 사과(司果)로서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였다. 같은 해 봉상시주부로 전경(殿經)에 참여하여 뛰어난 학문적 능력을 인정받았다. 1555년(명종 10) 사헌부지평으로서 사부학당(四部學堂)을 비롯한 관학교육의 침체상을 지적하고 시정을 촉구하였다. 예조정랑을 거쳐 다시 지평이 되었으나, 장악원정 심전(沈銓)이...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좌부승지, 병조참지, 청홍도관찰사(淸洪道觀察使)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평해(平海, 지금의 경상북도 울진)
  • 최명상 자량(子亮), 崔命相
    假注書)·정언·사서(司書)를 역임하였으며, 이 해에는 동지사 김흥경(金興慶)을 수행하여 서장관으로 북경을 다녀 왔다. 이듬해 지평을 거쳐 1729년 지제교·지평이 되었다. 1732년에도 지평을 거쳐 이듬해 1734년 헌납·사간·동래부사를 역임하였으며, 재직시 임소(任所)에서 서거하였다. 동래부사 시절에 동래읍성을...
    시대 :
    조선
    출생 :
    1676년(숙종 2)
    사망 :
    1736년(영조 12)
    경력 :
    사간, 동래부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경주(慶州)
  • 이신 李申
    생애 및 활동사항 1391년(공양 3) 11월 사헌부지평이 되었다. 이듬해에는 지평으로서 대사헌 강회백(姜淮伯), 집의 정희(鄭熙), 장령 김무(金畝)·서견(徐甄), 지평 이작(李作) 등과 함께 조준(趙浚)·정도전(鄭道傳) 등에게 죄줄 것을 청하는 한편,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오사충(吳思忠)을 탄핵하여 귀양가게 하였다...
    시대 :
    고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사헌부지평
    유형 :
    인물
    직업 :
    관리,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황윤준 자겸(子謙), 黃允峻
    1504년(연산군 10)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며, 1517년(중종 12)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고, 사간원정언을 거쳐 1524년(중종 19) 사헌부지평이 되었다. 사헌부지평 역임 시 승지들이 근밀한 자리에 있으면서 중요한 사안을 바른대로 계달하지 못하는 잘못을 지적하고 시정을 청하자 왕이 받아들였다. 그 이듬해...
    시대 :
    조선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사간원정언, 사헌부지평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장수(長水)
  • 홍만종 여수(汝受), 洪萬鍾
    으로 사관 벼슬인 대교(待敎)로 재직하면서 패초(牌招: 왕이 패를 내려 신하를 부름)를 여러 번 어겼다는 이유로 탄핵되었다. 이후 봉교(奉敎)를 거쳐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으로 옮겼으나, 대신들로부터 비난을 받아 체직되었다가 다시 지평으로 복귀하였다. 1670년(현종 11)에는 사간원정언으로 옮겼다. 1672년 홍문...
    시대 :
    조선
    출생 :
    1637년(인조 15)
    사망 :
    1688년(숙종 14)
    경력 :
    부수찬, 승지,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 도승지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풍산(豊山, 지금의 경상북도 안동)
  • 신홍망 망구(望久), 申弘望
    조지(趙址)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27년(인조 5) 진사시에 합격하고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1639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주서·지평·정언·풍기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1652년(효종 3) 사헌부지평으로 있을 때 도승지 이시매(李時楳)가 자못 패만(悖慢)한 것을 지평 이온발(李溫發)이 상주...
    시대 :
    조선
    출생 :
    1600년(선조 33)
    사망 :
    미상
    경력 :
    풍기군수 , 사헌부지평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고송집(孤松集)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아주(鵝洲: 지금의 경상남도 거제)
  • 조식 지정(持正), 趙湜
    籍)에 제수되었으나, 고묘론(告廟論)에 대한 상소 주도로 대사간 정재희(鄭載禧)의 탄핵을 받아 사판(仕版: 벼슬아치의 명단)에서 삭제당하였다. 그 뒤 1689년 지평(持平)에 제수되었다. 기사환국(己巳換局)이 일어나자 이광한(李光漢)·김익훈(金益勳) 등 노론계의 훈적(勳籍: 공훈의 내용을 기록한 명단) 삭제를 주창...
    시대 :
    조선
    출생 :
    1648년(인조 26)
    사망 :
    1714년(숙종 40)
    경력 :
    승지, 종성부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횡성(橫城)
  • 간평일구 簡平日晷
    申正) 등의 시각선(시선·각선)이 차례로 서쪽으로 잇따랐고, 동지절후선은 가장 남쪽에, 하지절후선은 가장 북쪽에 있는 것으로 보아, 이것은 지평보다 위쪽의 반천구를 지평에 투영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각선은 그림의 북극의 주위 360°를 15° 간격으로 24개의 시선(時線)이 뻗어나갔고, 시선과 시선 사이를...
    시대 :
    조선
    성격 :
    천문관측기구, 해시계
    유형 :
    유물
    재질 :
    화강암
    분야 :
    과학/과학기술
    소장/전승 :
    세종대왕기념관
  • 새로운 해시계를 만든 천문인, 김영 金泳
    삼역관으로 승진시키려 하자, 우의정 윤시동과 여러 역관이 반대한 이유도 그가 음양과에 합격하지 못한 사실 때문이었다. 조선시대 해시계 앙부일구와 지평일구 김영(金泳, 1749~1817)은 농사꾼 출신인데, 어려서 고아가 되어 이리저리 떠돌다가 한양에 올라왔다. 중인 신분도 못되는 데다, 말도 어눌하고 용모까지...
    출생 :
    1749년
    사망 :
    1817년
    도서 조선의 중인들 | 태그 조선
  • 유명천 사원(士元), 柳命天
    관찰사 유석(柳碩)에게 입양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51년(효종 2)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672년(현종 13) 별시문과에 갑과로 급제, 정언·지평 등을 역임하였다. 1675년(숙종 1) 이조좌랑이 되고, 이듬해에는 대사간·대사성을 지냈다. 1680년 이조참판으로 재직 중에 경신대출척으로 음성에 유배되었다가...
    시대 :
    조선
    출생 :
    1633년(인조 11)
    사망 :
    1705년(숙종 31)
    경력 :
    공조판서, 예조판서, 홍문관제학, 판의금부사, 판중추부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갑술옥사, 김기문옥사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진주(晋州)
  • 김중일 백진(伯珍), 金重鎰
    병과로 급제하여 전적(典籍)에 등용되었다. 1635년 정언(正言)이 되고, 이듬해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에서 독전어사(督戰御使)가 되었다. 1637년 지평(持平)이 되고, 이듬해에 다시 정언·지평이 되었다. 지평으로 있으면서 공서파(功西派:인조반정 공신)의 언관 이규(李珪)가 청서파(淸西派:서인으로서 반정에...
    시대 :
    조선
    출생 :
    1602년(선조 35)
    사망 :
    1667년(현종 8)
    경력 :
    풍덕부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안동(安東)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6건

지평향교
지평군읍지여지도
지평군읍지여지도
지평군읍지여지도
대동여지도 / 광주, 수원, 가평, 고양, 시흥, 안산, 양근, 지평, 양주
지평일구
지평향교
지평향교
신법 지평일구
신법 지평일구
신법 지평일구
신법 지평일구
지평 전투전적비
신법지평일구
신법지평일구
신법지평일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