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치와와와 세인트버나드의 교미가 가능할까?부작용으로 발생된 개의 유전성 질환은 약 400종류나 된다. 예를 들어 닥스훈트의 경우, '추간 연골 헤르니아'(요추의 연골 부위에 많이 생기는 디스크. 좌골신경통, 요통 등을 일으킨다_옮긴이)나 털 색깔에 따라서는 눈의 질환을 일으키는 종류도 많이 볼 수 있다. 살찌기 쉬운 견종은 당뇨병이나 '부신피질 기능...
-
추간판 Intervertebral disc누르느냐에 따라 증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추간판탈출증의 가장 흔한 형태는 요추 추간판탈출증과 경추 추간판탈출증이며 요추 추간판탈출증은 좌골신경통, 경추 추간판탈출증은 견갑골 통증이 특징적입니다. 추간판탈출증의 치료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운동요법, 경막외 주사, 신경근차단술과 같은 비수술적...
- 관련 질환 :
- 요추 추간판 탈출증, 경추 추간판 탈출증, 요추관 협착증, 퇴행성 척추 장애
- 관련 인체 :
- 척추, 척주관
- 관련 검사 :
- 비중격 교정술, 자기공명영상
-
예덕나무 적아백(赤芽栢)껍질은 야동피라 하여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운동계의 통증과 위장 장애를 다스린다. 관련질병: 골절번통(골연풍), 관절염, 담석증, 대변불통, 십이지장궤양, 외상소독, 위염, 종독, 좌골신경통, 중독, 진통, 치통, 풍, 풍습, 해열, 행혈
- 분류 :
- 낙엽 활엽 소교목
- 학명 :
- Mallotus japonicus
- 분포지역 :
- 제주도, 남부 해안 지방
- 자생지역 :
- 산지나 바닷가
- 번식 :
- 꺾꽂이·씨
- 약효 부위 :
- 온포기
- 생약명 :
- 야동피(野桐皮)
- 키 :
- 10m 정도
- 과 :
- 대극과
- 채취기간 :
- 봄, 가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평온하며, 쓰고 떫다.
- 독성여부 :
- 있다.
- 1회 사용량 :
- 5~10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미리보란정 Miribolan Tab.시티딘 25 mg (별규) 우리딘 25 mg (별규) 티아민염산염 50 mg (USP) 피리독신염산염 50 mg (USP) 시아노코발라민 0.25 mg (USP) 효능효과 요통, 좌골신경통(궁둥이뼈신경통), 류마치스성통증, 말초신경증, 말초 및 기관의 다발성신경염(여러신경염), 류마치스성 관절 및 말초관절의 신경염. 용법용량 성인 1회 1정, 1일...
- 식약처 분류 :
- [01140]해열.진통.소염제
- 전문/일반 :
- 일반의약품
- 약효 분류 :
- 염증, 통증 관련 작용약 > 비마약성 진통제 > 복합 해열진통제 > Antipyretic & Vitamin
- 제조/수입사 :
- (주)셀트리온제약
- 성상 :
- 엷은 등황색 필름 코팅 정제
- 제형 :
- 정제, 저작정
- 투여 경로 :
- 내복제
- 보관방법 :
- 밀폐용기, 실온보관
-
속단 남초, 續斷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부인과·운동계·비뇨기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강장보호, 골절증, 근골위약, 냉병, 대하증, 동통, 보간·청간, 보신·보익, 붕루, 소염제, 안태, 옹종, 요슬산통, 요통(좌골신경통), 유정증, 자궁내막염, 진통, 척추질환, 치질, 타박상, 태루
- 학명 :
- Phlomis umbros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지의 습지나 숲속
- 번식 :
- 분근·씨
- 약효 부위 :
- 줄기·뿌리
- 생약명 :
- 속단(續斷)
- 키 :
- 1m 정도
- 과 :
- 꿀풀과
- 생활사 :
- 여러해살이풀
- 채취기간 :
- 가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달고 떫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줄기·뿌리 4~6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석송 신근초, 石松흡습성이 없어 습기를 흡수하지 않으므로 환약의 겉에 바르고 피부의 헌 자리에 뿌린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운동계와 비장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근골무력증, 산후부종, 소종양, 수종, 요슬산통, 이뇨, 좌골신경통, 좌섬, 진통, 타박상, 풍, 행혈 소아질환: 소아마비
- 학명 :
- Lycopodium clavatum var. nipponicum
- 분포지역 :
- 한라산, 흑산도, 울릉도, 설악산
- 자생지역 :
- 산기슭 양지바른 곳
- 번식 :
- 포자, 줄기
- 약효 부위 :
- 포자, 온포기
- 생약명 :
- 석송(石松)
- 키 :
- 15~30cm
- 과 :
- 석송과
- 생활사 :
- 상록 여러해살이풀(양치식물)
- 채취기간 :
- 여름~가을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따뜻하며, 쓰고 맵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6~12g
- 주의사항 :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좀현호색酸), β-sitosterol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降壓(강압), 鎭痙(진경), 行氣(행기), 止痛(지통), 活血(활혈), 祛瘀(거어)의 효능이 있다. 고혈압, 반신불수, 류머티성 관절염, 좌골신경통, 脊髓小兒痲痺後遺症(척수소아마비후유증)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4.5-15g을 달여 복용하거나 粉末(분말)하여 복용한다...
- 분류 :
- 양귀비목 > 현호색과 > 현호색속
- 꽃색 :
- 붉은색, 자주색
- 학명 :
- Corydalis decumbens (Thunb.) Pers.
- 개화기 :
- 5월
-
우단쥐손이 Velvety cransebill모양으로 길이 2cm이며 진한 자주빛 맥줄이 있다. 열매 삭과는 길이 3cm가량이며 짧은 털이 있다. 줄기 2-5개의 줄기가 곧게서거나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백색의 벌어진 털이 덮인다. 생육환경 볕이 잘 드는 산기슭. 용도 전초를 풍습비통, 관절염, 타박상, 옹저, 좌골신경통, 위장염, 이질, 월경불순, 염좌상 등에...
- 분류 :
- 쥐손이풀목 > 쥐손이풀과 > 쥐손이풀속
- 꽃색 :
- 자주색
- 학명 :
- Geranium vlassovianum Fisher ex Link
- 개화기 :
- 6월
-
뇌동맥류 Cerebral aneurysm합니다. 동맥류가 파열되면, 지주막하 뇌출혈에 의한 격심한 두통(마치 머리를 둔기로 심하게 맞은 것 같은 느낌), 경부 강직(목이 뻣뻣함), 요통 및 좌골 신경통, 간질 발작, 신경학적 장애, 의식 저하, 고혈압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 대뇌 동맥류는 뇌혈관 CT 촬영, MRA(자기공명 혈관조영술) 촬영을...
- 분류 :
- 뇌신경정신질환, 응급질환
- 발생 부위 :
- 머리
- 증상 :
- 구토, 뇌전증 발작 , 두통, 안구내 출혈, 오심, 의식 변화
- 진료과 :
- 신경외과, 영상의학과
- 관련 질환 :
- 자발성 두개강 내 출혈, 뇌동맥 폐쇄, 동맥류
-
분홍쥐손이 Western purple cranesbill거듭 두 가닥으로 갈라진다. 전체에 백색털이 다소 밀생한다. 뿌리 근경은 짧고 굵으며 직립하고 육질의 굵은 뿌리가 뭉쳐 난다. 생육환경 숲가장자리 또는 숲속에서 자란다. 용도 전초를 풍습비통, 관절염, 타박상, 옹저, 좌골신경통, 위장염, 이질, 월경불순, 염좌상 등에 쓴다. 특징 전체에 회백색 털이 밀생한다...
- 분류 :
- 쥐손이풀목 > 쥐손이풀과 > 쥐손이풀속
- 꽃색 :
- 분홍색
- 학명 :
- Geranium maximowiczii Regel & Maack
- 개화기 :
- 8월, 7월
-
유한삐콤헥사주사 20mL (수출용) Yuhan Beecom Hexa Inj. 20mL비오틴 0.5 mg (USP) 효능효과 다음 질환의 본체 함유 비타민의 보급 및 결핍예방 병중·병후 회복기, 영양불량, 체중감소, 위장관질환, 피부염, 신경염, 좌골신경통, 임산, 화학요법제 투여시 용법용량 1회 1앰플(2mL)을 근주 또는 정주한다 주의사항 1. 다음 경우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또는 염산치아민에 과민...
- 식약처 분류 :
- [03120]비타민 B1제
- 전문/일반 :
- 전문의약품
- 약효 분류 :
- 영양수액 > 희석용 첨가제 > 복합 비타민 B > Vitamin B combination
- 제조/수입사 :
- (주)유한양행
- 성상 :
- 형광이 있는 황색의 액체가 충진된 갈색 앰플
- 제형 :
- 주사제
- 투여 경로 :
- 주사제
- 보관방법 :
- 냉소(15℃이하) 차광보관, 밀봉용기
-
대 왕(王)대불에 구워서 받은 진액은 죽력(竹瀝)이라 하여 예로부터 만병통치약으로 알려져 왔다. 대는 건축·가구·낚싯대를 비롯하여 그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혈증과 신경계를 다스린다. 관련질병: 담, 두풍, 류머티즘, 좌골신경통, 중풍, 진정, 청혈, 출혈, 통풍, 해수, 해열
- 분류 :
- 상록 교목
- 학명 :
- Phyllostachys bambusoides
- 분포지역 :
- 남부 지방
- 자생지역 :
- 완만한 경사지나 평지
- 번식 :
- 분주
- 약효 부위 :
- 온그루·줄기·뿌리
- 생약명 :
- 죽엽(竹葉)·죽여(竹茹)·죽력(竹瀝)
- 키 :
- 20~30m
- 과 :
- 볏과(화분과)
- 채취기간 :
- 연중
- 취급요령 :
- 날것 또는 그늘에 말려 쓴다.
- 특징 :
- 서늘하며, 달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전체 6~12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조릿대·제주조릿대·섬조릿대·섬대·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