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회양목 황양목(黃楊木), 淮楊木단단하며 치밀하기 때문에 도장·지팡이·조각재로 널리 쓰인다. 조선시대에는 회양목이 목판 활자를 만드는데 이용되었으며 호패·표찰·도장·장기알 등의 재목으로 널리 쓰였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간경을 다스리고, 호흡기 질환 및 통증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동통, 산증, 진통...
- 분류 :
- 상록 활엽 관목 또는 소교목
- 학명 :
-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 분포지역 :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 산지의 석회암 지대
- 번식 :
- 씨
- 약효 부위 :
- 가지·잎
- 생약명 :
- 황양목(黃楊木)
- 키 :
- 5~7m
- 과 :
- 회양목과
- 채취기간 :
- 연중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평온하며,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15∼18g
- 주의사항 :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동속약초 :
- 좀회양목의 가지·잎
-
-
-
-
꽃벼룩류 꽃벼룩류 꽃벼룩, tumbling flower beetleflower beetle)이라는 영어 이름을 얻었다. 보통 3~7㎜로 길이가 작고 꽃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몸이 가는 털로 덮여 있고 곱사등에 쐐기 모양이며, 앞부분의 끝은 넓지만 점차 가늘어져서, 뾰족한 복부는 앞날개보다도 더 뒤로 나와 있다. 유충은 썩은 재목이나 식물 줄기에 살면서 나방이나 딱정벌레의 유충을 먹고 산다.
- 분류 :
- 절지동물 > 곤충강 > 딱정벌레목 > 꽃벼락과
- 원산지 :
- 아시아, 유럽
- 서식지 :
- 꽃
- 크기 :
- 약 0.3cm ~ 0.55cm
- 학명 :
- Mordella brachyura brachyura Mulsant
-
-
연한살갗버섯2.5㎛로 타원형이며 때로는 약간 휘어 있다. 포자의 표면은 매끈하고 투명하며 흔히 작은 기름방울이 들어 있다. 자낭의 크기는 50~70×5~6㎛이고 8-포자성이며 자낭포자들은 1열로 배열한다. 측사는 원통형이며 양쪽 끝은 뭉뚝하다. 생태 습기가 많은 곳의 참나무류 등 활엽수의 썩은 재목에 군생 혹은 속생(총생)한다...
- 분류 :
- 자낭균문 > 주발버섯아문 > 두건버섯강 > 살갗버섯목 > 살갗버섯과 > 연한살갗버섯속
- 학명 :
- Mollisia cinerea (Batsch) P. Karst. M. cinerea (Batsch) P. Karst. f. cinerea
- 분포지역 :
- 한국, 일본, 유럽
- 발생시기 :
- 봄~가을
-
감람나무 Canarium album검정색 핵과로 익는다. 열매의 50%가 기름으로 되어 있으며 날것으로 먹거나 또는 소금물이나 초에 담갔다 먹는다. 성서에는 감람나무 말고도 집을 지을 때 재목으로 썼다는 들감람나무, 감람목 또는 돌감람나무 등이 나오는데, 이들은 모두 한 가지 식물로 알려지고 있으나 아직 정확하게는 알 수 없다. 많은 학자들은...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무환자나무목 > 감람과 > 올리브속
- 원산지 :
- 아시아 (중국)
- 서식지 :
- 아시아 열대지방의 산야
- 크기 :
- 약 5m ~ 20m
- 학명 :
- Canarium album
-
갈색털들주발버섯내부의 살은 두꺼우며 젤라틴질이다. 포자의 크기는 25~30×12~13㎛로 타원형에 양쪽 끝이 가늘고 어떤 것은 방추형이면서 표면에 사마귀돌기가 있다. 요오드 반응에서 꼭대기는 청색으로 된다. 측사는 실 모양이며 지름은 2.5~3.5㎛이다. 격막이 있고 위쪽에 갈색의 과립이 있다. 생태 숲속의 썩은 재목에 군생한다...
- 분류 :
- 자낭균문 > 주발버섯아문 > 주발버섯강 > 주발버섯목 > 털접시버섯과 > 털들주발버섯속
- 학명 :
- Trichaleurina celebica (P. Henn.) M. Carbone, Agnello & P. Alvarado Galiella celbica (Henn.) Nannf.
- 분포지역 :
- 한국,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뉴기니, 마다가스카르, 유럽
- 발생시기 :
- 가을
-
차나무 아차(芽茶), 茶나무수확한다. 어린눈과 잎을 채취하여 녹차·홍차의 원료로 쓴다. 뿌리를 차근(茶根), 열매를 차자(茶子)라 한다. 방향성이 있다. 열매는 기름을 짜서 쓰고 재목은 단추를 만드는 재료로 이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외상에는 녹차 달인 물로 씻는다. 탕...
- 분류 :
- 상록 활엽 관목
- 학명 :
- Thea sinensis
- 분포지역 :
- 전남, 경남
- 자생지역 :
- 경사지에 재배
- 번식 :
- 꺾꽂이·분주·접목
- 약효 부위 :
- 잎·뿌리·열매
- 생약명 :
- 차엽(茶葉)
- 키 :
- 자생 2~3m, 재배 50~100cm
- 과 :
- 차나뭇과
- 채취기간 :
- 수시(뿌리), 3월 하순(잎), 10월(씨)
- 취급요령 :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 서늘하며, 달고 쓰다.
- 독성여부 :
- 없다
- 1회 사용량 :
- 0.5~1.0g
- 주의사항 :
- 오래 써도 몸에 이롭다.
-
당의 건국과 흥망, 측천 무후의 집권물었다. “한 사람의 유능한 인재를 얻고자 하는데 적당한 인물이 없겠소?” “뛰어난 인물이 있습니다. 장간지(張柬之)라는 사람으로 나이는 많지만 재상의 재목입니다.” 무후는 즉시 장간지를 낙주 사마(洛州司馬)에 임명하였는데 후에 재상의 자리까지 올랐다. 705년 반세기에 걸쳐 궁정에 군림했던 여걸 측천 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