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헌안 의정(誼靖), 憲安王
    大王)으로 봉해진 균정(均貞)이고, 어머니는 충공(忠恭)의 조명부인(照明夫人, 혹은 昕明夫人) 김씨이며, 할아버지는 예영(禮英)으로 원성(元聖王)의 아들이다. 슬하에 이 둘 있었는데 모두 다음 왕인 경문(景文王)의 비(妃)가 되었다. 그리고 궁예(弓裔)는 왕의 서자(庶子)로 알려져 있다. 생애 / 활동사항...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861년(헌안왕 5) 1월 29일
    경력 :
    신라 제47대 국왕(재위: 857∼861)
    유형 :
    인물
    직업 :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본관 :
    경주
  • 신라 53대 왕, 신덕 神德王
    신라의 제53대 . 신라 하대 최초의 박(朴)씨 으로, 이름은 경휘(景徽) 또는 수종(秀宗)이다. 신라 초 아달라 이사금의 후손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아버지는 대아찬 예겸이고, 어머니는 정화부인이며, 비(妃)는 헌강왕의 의성왕후(義成王后) 김씨이다. 그러나 <삼국유사>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왕의 본명이...
    출생 :
    미상
    사망 :
    917(신덕왕 6)
    국적 :
    신라, 한국
    종교 :
    불교
    재위 :
    912년∼917년
    능묘 :
    경주 배동 삼릉(慶州 拜洞 三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태조 고려 1대왕, 太祖
    관할하는 사심관이 되게 했다. 이로써 신라는 경순왕을 끝으로 56 992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이후로 신라계열들은 고려에서 귀족 행세를 할 수...또한 고려에 많이 반영되었다. 더구나 태조는 김부의 백부 김억렴의 을 왕후(신성왕후)로 맞아들여 왕자 욱을 보았는데, 욱이 곧 고려 8대 현종의 부친...
  • 원성 Wonseong of Silla, 元聖王
    묘호를 올렸는지는 알 수 없으나, 최치원이 살던 850년~900년 이전에 열조라는 묘호를 사용하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원성은 무열왕의 후손이다. 태종 무열-무열왕의 (김의관의 부인)-김위문-김효양-김경신 순으로 이어진이다. 조부 : 김위문 아버지 : 김효양 - 명덕(明德王)으로 추존 외조부 : 박창근...
    도서 위키백과
  • 경애 경애(景哀), 景哀王
    개설 재위 924∼927. 성은 박씨(朴氏), 이름은 위응(魏膺). 아버지는 신덕이며, 어머니는 헌강왕의 의성왕후(義成王后 또는 資成·懿成·孝資王后)이다. 할아버지는 선성대왕(宣聖大王 또는 宣成大王)으로 추봉된 예겸(乂謙 또는 銳謙)이다. 일설에는 예겸이 신덕왕의 의부(義父)라 하여, 친할아버지는 흥렴대왕...
    시대 :
    고대/남북국
    출생 :
    미상
    사망 :
    927년
    유형 :
    인물
    직업 :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 경문 Gyeongmun of Silla, 景文王
    膺廉)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제43대 왕인 희강왕의 손자로 아버지는 김계명(金啓明)이고, 어머니는 광화부인(光和夫人)이다. 전왕인 헌안에게 아들이 없자 헌안왕의 과 결혼하여 왕위에 올랐다. 재위기에 중앙 귀족들의 모반 사건이 일어나 수습에 힘썼고, 황룡사를 개수하였다. 전설에 의하면 그는 귀가...
    도서 위키백과
  • 프랑수아 1세 Fransois I
    이탈리아로 퇴각했다. 왕비 클로드가 7명의 아이를 낳고 24세의 나이로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프랑수아 1세는 부르봉 공작을 추격하던 중이었다. 곧 둘째 도 죽었다. 그동안 영국 군대와 독일 군대는 북부로 진격해오고 있었다. 왕의 어머니는 "우리의 수호신이 우리를 버렸습니다. 전하의 별자리는 재난을 예고...
    출생 :
    1494. 9. 12, 프랑스 코냐크
    사망 :
    1547. 3. 31, 랑부예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신무 神武王
    세력과 규합하여 난을 일으켰던 것이다. 이들은 신무-문성왕의 왕권을 반대하고, 인겸계의 왕위계승권을 되찾고자 하였다. 신무∼문성은 이처럼 왕위계승...의 실봉(實封)을 내렸다. 그러나 장보고는 이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을 왕비로 세우려 하였다. 이것은 청해진세력의 강대함을 알려준다. 신무은 장보고...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839년(신무왕 1)
    경력 :
    신라 제45대 국왕(재위: 839년 4월∼7월)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김헌창(金憲昌)의 난
    직업 :
    성별 :
    분야 :
    역사/고대사
    본관 :
    경주
  • 우왕 고려 32대왕, 禑王
    닥치는 대로 강간하는 통에 백관에서부터 천민에 이르기까지 예쁜 첩이나 을 둔 사람은 한시도 마음을 놓지 못하였다. 더욱이 우왕은 인명을 경시하는 성향이...일이 비일비재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은 그의 천성이라기보다 부왕인 공민이 시종에게 살해당한 것에 대한 일종의 후유증이었다. 우왕은 평소 부왕이...
  • 혜공왕 惠恭王
    경덕왕 19)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어머니는 서불한(舒弗邯) 의충(義忠)의 만월부인(滿月夫人) 김씨이다. 비는 이찬 유성(維誠)의 인 신보왕후(新寶王后)가...창창부인(昌昌夫人)이 차비(次妃)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혜공왕은 태종무열왕의 직계손으로 계승된 신라 중대왕실(中代王室)의 마지막 이다. 즉위했던...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대사
  • 순조 안동 김씨의 60년 세도정치가 시작되다
    어린 왕의 즉위, 정순왕후의 수렴청정을 받다 순조는 1790년(정조 14) 6월 18일에 정조와 후궁 수빈 박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정조의 정비 효의왕후가 후사를 잇지 못하고, 의빈 성씨가 낳은 첫째 아들 문효세자는 5세의 어린 나이로 일찍 죽었다. 이런 상황에서 순조는 왕실에서 애타게 기다리던 아들이었다. 정조는...
    시대 :
    조선
    출생 :
    1790년(정조 14) 06월 18일
    사망 :
    1834년(순조 34) 11월 13일
    본명 :
    이공(李玜)
    본관 :
    전주(全州)
  • 공민 恭愍王
    자주적인 개혁 정치를 표방한 이다. 당시 고려는 원의 부마국으로서 은 원나라 공주와 결혼해야 했고, 원에 조공을 하고 있었다. 공민 역시 대군 시절 원나라 위(魏王)의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와 혼인했고, 원이 선왕을 폐위시킨 덕에 왕위에 올랐다. 그럼에도 그는 고려 조정에서 몽골풍을 없애기...
    출생 :
    1330년
    사망 :
    1374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