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미상 |
---|---|
사망 | 917(신덕왕 6) |
국적 | 신라, 한국 |
종교 | 불교 |
재위 | 912년∼917년 |
능묘 | 경주 배동 삼릉(慶州 拜洞 三陵) |
요약 신라 제53대 왕이자 신라 하대 최초의 박씨 왕으로, 이름은 경휘 또는 수종. 신라 초 제8대 아달라이사금의 직계후손으로 추정되며, 선대왕 효공왕이 아들이 없이 죽었으므로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왕위를 이었다. 당시 신라는 후고구려의 궁예와 후백제의 견훤 세력이 크게 확장하여 국가적 위기 상황에 놓여 있었다. 두 아들 승영과 위응이 각각 54대 경명왕과 55대 경애왕으로 왕위를 계승했다. 죽은 뒤 시호를 신덕이라 하고 죽성에 장사지냈다.
신라의 제53대 왕. 신라 하대 최초의 박(朴)씨 왕으로, 이름은 경휘(景徽) 또는 수종(秀宗)이다. 신라 초 아달라 이사금의 후손이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아버지는 대아찬 예겸이고, 어머니는 정화부인이며, 비(妃)는 헌강왕의 딸 의성왕후(義成王后) 김씨이다. 그러나 <삼국유사>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왕의 본명이 수종이고, 예겸은 의부이며, 친부는 왕의 즉위와 함께 흥렴대왕으로 추봉된 이간이라고 전하여 약간의 차이가 있다. 효공왕이 죽고 아들이 없었으므로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했다.
당시 신라는 경주 일원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대부분을 이미 궁예와 견훤 세력에게 상실한 상태에 있었으며, 916년 견훤이 대야성을 공격하다가 이기지 못한 사건이 있었으나, 신라는 스스로 외세를 막아낼 능력이 없었다. 승영·위응의 두 아들이 있어 각각 경명왕과 경애왕이 되었다. 죽은 뒤 시호를 신덕이라 하고 죽성에 장사지냈다. <삼국유사>에는 화장한 뒤 뼈를 잠현 남쪽에 뿌렸다고도 전한다. 지금의 경주 남산 서쪽의 삼릉 중 하나가 신덕왕릉으로 전하지만 고분구조상 10세기 신덕왕의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