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반려동물과 사는 법
    털에 동그란 눈을 한 강아지를 보면 누구라도 저절로 미소를 짓게 된다. 일본 아자부대 연구팀은 사람이 개에 사랑스러운 감정을 느끼는 원인은 ‘옥시토신’ 호르몬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과학학술지 ‘사이언스’ 2015년 4월 17일 자에 발표했다. 옥시토신은 여성이 아이를 출산할 때와 수유를 할 때 특히 많이 분비...
  • 근상피 筋上皮, myoepithelium
    도관을 별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는 단핵의 근세포, 즉 근상피세포(myoepithelial cell)로 구성된 평활근 조직. 수축에 의해서 분비물을 배출한다. 수축 제어는 대부분 자율신경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유선의 옥시토신과 같이 일부 호르몬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한다. ( ⇨ smooth muscle) [2] ⇨ epithelial muscle cell
  • 닮은 꼴에 끌리는 이유?
    간 사랑과 배우자 선택의 다룬 최근 10년 연구의 공통분모는 ‘동질감’이다. 심리학에서는 비슷한 사람을 계속 좋아하는 이유를 ‘같은 타입의 이성과 만나면 옥시토신이 활성화되기 때문’으로이라고 설명한다. 영국 세인트앤드류대 인지심리학자인 데이비드 페렛 교수팀은 200여명의 남녀 실험 참가자에게 자신의...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과학 일반
  • 신경뇌하수체호르몬 뇌하수체후엽호르몬, neurohypophysial hormone
    신경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포유류에서는 바소프레신과 옥시토신이 대표적이지만 척추동물의 강 또는 그 이하의 그룹에는 다른 물질이 존재한다.
  • 남자에게서도 젖이 나올까?
    1994년 말레이지아에서 붙잡힌 '데이악 큰박쥐' 수컷 열 마리는 젖을 분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수컷은 유선을 갖고 있지만 젖을 분비할 수 없는데 프로락틴이나 옥시토신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 호르몬을 주입하면 적은 양이지만 수컷도 젖을 생산하게 된다. 2006-09-22
    도서 과학향기 | 태그 동물 , 과학 일반
  • 유방 Breast, 乳房
    꽈리 형태를 하고 있다. 이 꽈리들은 여러 개가 모여 각각의 엽을 이루고, 엽의 중심이 되는 유관을 따라 젖이 유두의 출구로 내보진다. 근상피세포가 옥시토신의 자극을 받아 수축하면 꽈리에 저장되어있던 모유가 분출된다. 모유가 유두 밖으로 나가기 전에는 유두 안쪽에 있는 유관동에 모인다. 아기가 빨기 시작하면...
    도서 위키백과
  • oxytocic activity 자궁[근]수축작용, 子宮[筋]收縮作用
    자궁근의 수축을 일으키는 화학물질의 작용. 옥시토신의 활성이 대표적이다.
  • 피투이트린 pituitrin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을 함유하는 뇌하수체 후엽의 분비물.
  •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
    시상하부이다. 뇌하수체 호르몬은 중추, 또는 말초 신경계에서 시작되는 신경 자극으로 조절된다. 뇌하수체 호르몬의 말초신경 조절의 예는 수유시 프로락틴과 옥시토신 분비 조절이다. 아기가 젖을 빨면 감각 신경이 자극되어 시상하부 경로를 활성화하고 뇌하수체 후엽에서 옥시토신의 분비 반응이 일어나며 TRH의...
    도서 위키백과
  • 오르가슴 Orgasm, オーガズム
    수 있다. 하지만 남자와 여자가 가지는 오르가슴 주기는 달라 동시에 오르가슴을 느끼기에는 힘들다. 오르가슴 이후에는 종종 나른함을 경험하게 되는데, 이는 옥시토신과 프로락틴이라는 신경 호르몬의 분비에 기인한다. 남성과 여성의 뇌는 오르가슴(상대방에 의한)을 느낄 때 일시적으로 대뇌피질 상당 부분의 대사...
    도서 위키백과
  • 프레리들쥐 Prairie vole
    다시 다른 종의 들쥐들과 함께 대초원의 서식지를 넓히게 된다. 이러한 페어 본딩의 원인인 생화학적 요인을 살펴보면, 프레리들쥐의 행동학적 요인은 옥시토신과 바소프레신 호르몬과 관련이 있다. 여성 프레리들쥐 뇌의 옥시토신 수용체는 다른 종에 비해 더 많이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남성 프레리들쥐 뇌...
    도서 위키백과
  • 뇌하수체 Pituitary gland, 脳下垂体
    중엽에서는 색소 세포 자극 호르몬(MSH)이 분비되는데, 중엽은 사람의 경우 성인이 되면 퇴화하므로 그 기능이 분명치 않다. 후엽에서는 자궁 수축 호르몬(옥시토신)과 항이뇨 호르몬(바소프레신)이 분비된다. 사람의 뇌하수체는 달걀모양으로 콩알만한 크기로 일명 '말안장'이라고 하는 터키안장(sella turcica) 뼈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3건

중외옥시토신주 포장
중외옥시토신주 포장
중외옥시토신주5단위 포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