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앨라 Ælla of Northumbria
    왕으로 즉위했는데, 그 시기는 862년 또는 863년이라 하나 866년이라 하기도 한다. 앨라의 치세에 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연대기작자 더럼의 시메온 수도사는 앨라가 교회의 땅인 빌링검(Billingham), 일레클리프(Ileclif), 위게클리프(Wigeclif), 크레케(Crece)를 공격했다고 기록했다. 대부분의 문헌에서...
    도서 위키백과
  • 불가리아의 역사 History of Bulgaria, ブルガリアの歴史
    북쪽으로는 오늘날 루마니아 전역과 동부 헝가리까지 팽창하였다. 세르비아인들은 불가리아에 종속되어 있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교육받은 차르 시메온 1세(시메온 대제)의 치하에 불가리아는 다시금 비잔티움 제국에 심각한 위협이 되었다. 그의 팽창 정책은 그의 주요 동맹인 지역 내의 유목민들과 연합하여...
    도서 위키백과
  • 스테판 네마냐 Stefan Nemanja, ステファン・ネマニャ (セルビアの大ジュパン)
    세르비아의 대공으로 즉위하면서 네마니치 왕조 시대를 열었다. 1196년 고령을 이유로 왕위에서 물러난 뒤에 수도원에서 수사로 근무했으며 자신의 이름을 시메온(Symeon)으로 개명했다. 아들인 성 사바(Sava)와 함께 독립적인 세르비아 교회를 건설하는 데에 주력하는 한편 동방 정교회를 수호하기 위해 노력했다. 또한...
    도서 위키백과
  •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제위 계승 순위
    카를 페터 합스부르크로트링겐(1955년), 루돌프 합스부르크로트링겐의 아들. 로렌츠 합스부르크로트링겐 (2003년), 카를 페터 합스부르크로트링겐의 아들. 시메온 합스부르크로트링겐 (1958년), 루돌프 합스부르크로트링겐의 아들. 요하네스 합스부르크로트링겐 (1997년), 시메온 합스부르크로트링겐의 아들. 루트비히...
    도서 위키백과
  • 불가리아 제국 Bulgarian Empire, ブルガリア帝国
    소피아의 백작으로 추정되는 마르마이스에게 종속될 때까지 불가리아 통치자들의 공격에 성공적으로 저항하였다.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교육받은 차르 시메온 1세의 시기에 불가리아는 비잔티움 제국의 가장 큰 위협이었으며 최대 영토 확장을 이룩하였다. 시메온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취하고자 하였고 그의 긴...
    도서 위키백과
  • 마르가리타 삭스코부르크고츠키 Margarita Saxe-Coburg-Gotha
    왕족 정보 마르가리타 삭스코부르크고츠키(Margarita Gómez-Acebo y Cejuela, 1935년 1월 6일 ~ )는 불가리아의 차르 시메온 2세의 아내로, 차르 시메온 2세가 망명한 후 결혼했다. 따라서 그녀는 때때로 차리나 마르가리타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녀는 작센코부르크와 고타의 왕자빈이자 작센의 공작부인...
    도서 위키백과
  • 불가리아 정교회 Bulgarian Orthodox Church, ブルガリア正教会
    성 클리멘토스(선교사인 성 키릴로스와 성 메토디오스의 제자)는 많은 슬라브인에게 성직자 교육을 시켜 불가리아 민족교회의 기초를 마련했다. 보리스의 아들 시메온 1세은 불가리아의 주교를 총대주교로 선포했으나 시메온 1세가 죽은(927년) 후에야, 동로마 제국의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는 당시 불가리아의 수도였던...
    도서 위키백과
  • 유다 하나시 Judah ha-Nasi, イェフーダー・ハン=ナーシー
    비롯하여,서적 인용 '우리의 거룩한 스승'이라는 의미의 '라베누 하카도쉬'라고도 한다. 유다는 새롭게 설치된 로마 속주 시리아 팔라이스티나에서 시메온 벤 가마리엘 2세의 아들로 135년에 태어났다. 탈무드에 따르면, 그는 다윗 왕조 출신이고 한다. 그는 랍비 아키바가 순교자로 죽은 같은 날에 태어났다고도 한다...
    도서 위키백과
  • 프레슬라프 공 키릴 Kyril, Prince of Preslav, キリル・サクスコブルクゴツキ
    왕족 정보 프레슬라프 공 키릴(Kyril, Prince of Preslav, 1964년 7월 11일 ~ )은 시메온 2세와 마르가리타 삭스코부르크고츠키의 둘째 아들이다. 그의 아버지 시메온은 1943년부터 1946년까지 불가리아의 차르로, 2001년부터 2005년까지 불가리아의 총리로 재임했다.토막글
    도서 위키백과
  • 알렉산드로스 (동로마 제국) Alexander (Byzantine emperor), アレ..
    형수인 황후 조이 카르보노프시나를 쫓아내고 황후의 삼촌이자 제국의 뛰어난 장군인 히메리우스도 파면하여 감옥에 가두어서 옥사시켰다. 한편 불가리아의 시메온 1세의 조약 갱신을 뒤엎고 불가리아 사절을 좇아버리는 바람에 시메온과 전쟁이 일어났으며 형 레오에 의해 퇴위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니콜라스...
    도서 위키백과
  • 고통의 성모 Our Lady of Sorrows, 悲しみの聖母
    때, 마리아의 심장에 일곱 자루의 단검이 박혀 있이 피를 흘리는 가운데, 얼굴은 비탄에 빠져 눈물을 흘리는 모습으로 그려지곤 한다. 이와 관련하여 랍비 시메온의 예언을 근거로 하여, 마리아의 일곱 가지 슬픔 또는 고통을 묵상하는 기도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기도로는 성모 칠고 묵주 기도가 있다. 고통의...
    도서 위키백과
  • 작센코부르크고타가 House of Saxe-Coburg and Gotha, ザクセン=コー..
    1세 (1861년~1889년) 카를루스 1세 (1889년~1908년) 마누엘 2세 (1908년~1910년) 불가리아의 독일계 왕가로서 불가리아의 차르를 배출해왔다. 마지막 차르인 시메온 2세는 소련의 압력으로 강제 퇴위되었으나 훗날 불가리아가 독립했을 때 고국으로 돌아와 총리가 되었다. 현존하는 작센코부르크고타코하리가의 유일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시메온(Saint Symeon the New Theologian)
시메온 메타프라스테스(Simeon Metaphrastes)
산 시메온 피콜로 성당(San Simeon Piccolo)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