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방학곶이
    영등포구 신길동과 영등포동이 연접한 여의도 샛강 나루터 인근에 바위가 돌출되어 있어 바위곶이라 했던 것이 변하여 방학곶이가 된 것으로 보인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암곶〔岩串: 바위곶이〕이라고 했고, ≪대동지지≫ 시흥 산천조에는 확곶〔確串: 방학곶이〕이라 하고, 또 진도조에는 방학호진(방학나루...
    유형 :
    자연물
  • 버드나룻길
    m 구간이었다. 1981년 10월 22일 가로명 개정 때 당산3로는 중로1류 74호로 지정되었다. 1984년 11월 7일 서울특별시공고 제673호에 의해 당산3로는 버드나룻길로 변경되어 처음 이름 붙여졌으며, 기점이 영등포로터리로 350m 단축되었다. 이 길은 여의도 샛강을 따라 달리는 올림픽대로 안쪽에서 한강을 따라 나 있다...
    유형 :
    도로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신천동 신천리(新川里), 新川洞
    신천동 동명은 한강의 샛강인 新川이 이 마을 북단을 흐르는 데서 유래되었다. 신천동은 조선 말기까지 경기도 양주군 고양주면의 일부였으며, 1914년 3월 1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와 동년 4월 1일 경기도령 제3호에 의한 경기도 구역획정 때 경기도 고양군 뚝도면 신천리가 되었다. 이때의 신천리는 양주군 고양주면...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강남4로
    구간을 통합하여 종점이 연장되고 기점 이름이 변경되었다. 1986년 3월 13일 강남4로는 노들길로 가로명이 변경되었다. 강남4로는 일반국도 제6호선과 제48호선의 일부로 여의도와 영등포지역을 분할하는 샛강을 끼고 돌았다. 강남4로는 당산철교・양화대교・성산대교 남단으로 이어졌으며, 강북으로의 연결통로가 되었다...
    유형 :
    도로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당산동2가 堂山洞2街
    를 지냈던 데서 유래되었다. 당산동 지역은 1936년부터 도시계획에 따라 시행한 구획정리사업이 1947년 9월 8일 완료되고, 또한 광복과 6・25전쟁 이후 인구가 증가하게 되니 샛강을 사이로 여의도와 마주하고 있는 동쪽 지역만을 당산동으로 남기고 토지구획정리사업이 확정된 지역의 일부를 나누어 당산동2가로 삼았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당산동5가 堂山洞5街
    를 지냈던 데서 유래되었다. 당산동 지역은 1936년부터 도시계획에 따라 시행한 구획정리사업이 1947년 9월 8일 완료되고, 또한 광복과 6・25전쟁 이후 인구가 증가하게 되니 샛강을 사이로 여의도와 마주하고 있는 동쪽 지역만을 당산동으로 남기고 토지구획정리사업이 확정된 지역의 일부를 나누어 당산동5가로 삼았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당산동4가 堂山洞4街
    를 지냈던 데서 유래되었다. 당산동 지역은 1936년부터 도시계획에 따라 시행한 구획정리사업이 1947년 9월 8일 완료되고, 또한 광복과 6・25전쟁 이후 인구가 증가하게 되니 샛강을 사이로 여의도와 마주하고 있는 동쪽 지역만을 당산동으로 남기고 토지구획정리사업이 확정된 지역의 일부를 나누어 당산동4가로 삼았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당산동6가 堂山洞6街
    를 지냈던 데서 유래되었다. 당산동 지역은 1936년부터 도시계획에 따라 시행한 구획정리사업이 1947년 9월 8일 완료되고, 또한 광복과 6・25전쟁 이후 인구가 증가하게 되니 샛강을 사이로 여의도와 마주하고 있는 동쪽 지역만을 당산동으로 남기고 토지구획정리사업이 확정된 지역의 일부를 나누어 당산동6가로 삼았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당산동3가 堂山洞3街
    洞祭를 지냈던 데서 유래한다. 당산동 지역은 1936년부터 도시계획에 따라 시행한 구획정리사업이 1947년 9월 8일 완료되고, 또한 광복과 6・25전쟁 이후 인구가 증가하게 되니 샛강을 사이로 여의도와 마주하고 있는 동쪽 지역만을 당산동으로 남기고 토지구획정리사업이 확정된 지역의 일부를 나누어 당산동3가로 삼았다.
    유형 :
    동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서울교
    영등포구 여의도동 28번지와 영등포제2동 94번지 사이 여의도샛강에 있는 다리이다. 1968년 여의도윤중제 공사가 완공되면서 영등포와 여의도를 연결하는 교량이 필요함에 따라 착공되어 1971년 완공되었으며, 여의도를 관통하여 마포대교와 직결되어 영등포에서 서울특별시청까지 이어주는 다리였다. 이후 늘어나는...
    유형 :
    시설명
  • 대방역 Daebang station, 大方駅
    대방동에 속했기 때문에 현재의 명칭이 정해졌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급행열차 운행 일환으로 대피선 설치 계획이 있다. 서울 경전철 신림선은 샛강 하저터널로 샛강(KB금융타운)역과 연결된다. 1호선과 신림선의 유상 병기역명은 성애병원이다. 3면 4선의 쌍상대식 승강장이며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도서 위키백과
  • 대사 평야 大沙 平野
    사이에 발달된 거대한 하중도로 평탄한 모래가 퇴적된 평지이다. 대사도 남단에는 퇴적된 하중도인 순아도(順牙島)가 있고, 대사도와 순아도 사이에 작은 샛강은 서낙동강으로 유입한다. 대사도는 중덕도(中德島)·팔애섬·신덕도(新德島)·덕도도·신천도·덕포도·송백도(松栢島)·천자도(天字島)·순아도·수봉도...
    분야 :
    지리
    지역 :
    부산광역시 강서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여의도샛강 생태공원 내일 전 구간 개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