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롯데월드 민속박물관 LotteWorld 民俗博物館
    활동 · 사회제도와 관습 등을 1/8로 축소하여 전시하였다. 국조오례의와 근정전진하도를 비롯하여 신윤복(申潤福), 김홍도(金弘道) 등 풍속화가들이 남긴 화첩을 근거자료로 활용하면서 건물, 인형, 각종 생활에 필요한 도구 등을 소품화하여 배열하였다. 특히 임진왜란관에서는 이순신 장군의 한산대첩 장면을 작동...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생활/민속·인류
  • 부산광역시 부산, 釜山廣域市
    그들의 사회와 문화는 급속히 발달해 삼한시대에는 유력한 부족국가를 형성했던 것 같다. 변진 독로국(弁辰瀆盧國)은 동래지방에 있었던 나라로 보는 의견이 상당히 유력하다. 이 나라는 김해지방의 가야연맹체와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부강한 나라로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동래 복천동고분군과 연산동고분군의...
    위치 :
    대한민국의 동남단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면적 :
    765.82㎢
    분야 :
    지리/인문지리
  • 덕앙족의 민속 문화
    남자아이들은 10살이 되면 대부분은 사원에 가서 승려로 지내며 기한은 같지 않다. 그중 일부는 평생 승려로 지낸다. 소승불교 신앙은 덕앙족의 정신적 사회적인 부분에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가치관념, 도덕관념, 관혼상제, 음식관습 등에서 표현된다. 덕앙족의 원시종교는 귀신숭배사상이다. 이는 귀신을 몰아내고...
    분류 :
    맹고면어족 민족 > 덕앙족
  • 시보족의 민속문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신강의 시보족은 썰매를 전문적으로 만들어 팔기도 한다. 혼인 · 가정과 상 · 장례 시보족은 일부일처제를 실행하며 두 집안의 사회적 지위와 경제적 조건이 비슷한 가정끼리 혼인을 맺는다. 중국이 창건되기 이전 시보족의 혼인은 약혼에서 결혼에 이르기까지 전적으로 부모가 맡아 진행했다...
    분류 :
    만-퉁구스어족 민족 > 시보족
  • 기낙족의 종교 신앙과 민속문화
    뚫고 귀고리 혹은 나무나 대나무로 귀구멍에 채워놓는다. 여성들은 이빨을 검은색으로 염색하는 것을 좋아하는데 이를 아름답다고 여긴다. 과거 기낙족 사회에서는 발에 문신하는 것이 유행하였다. 기낙족은 일반적으로 토장을 실행하고 나무의 속을 파낸 후 관으로 쓰며 공공묘지에 묻는다. 보통 깊이는 1m를 넘고 무덤...
    분류 :
    장면어족 민족 > 기낙족
  • 공주시 웅진, 公州市
    있다. 민속 이 지방에는 호미씻기 · 기와밟기 · 고니 등의 놀이가 행해진다. 호미씻기놀이는 7월 백중을 전후해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산이나 계곡에 모여, 농악으로 춤과 노래를 즐기는 마을의 놀이이다. 이 때 농사를 제일 잘 지은 집의 머슴을 상머슴으로 뽑아 삿갓을 쓰고 소를 탄 채 마을을 돌게 하며, 그 집...
    유형 :
    지명/행정지명ˑ마을
    분야 :
    지리/인문지리
  • 고창군 高敞郡
    1월 18일 전라북도가 전북특별자치도로 출범하면서 전북특별자치도 관할로 바뀌었다. 인구 1965년의 인구 19만 5,603명을 정점으로 이촌향도로 인한 인구의 사회적 감소가 계속된 지역이다. 1970년 18만 1,946명에서 1980년 14만 4,990명, 1990년에는 9만 5,698명으로 감소하여 약 48%의 인구감소율을 보였다. 2000년대...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남서부
    인구 :
    51,701 (2024)
    면적 :
    607.86㎢
    행정구역 :
    1개읍 13개면 566개리
    사이트 :
    http://www.gochang.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북도
  • 유고족의 종교 신앙과 민속문화
    왜냐하면 그러한 풍속에 의해 여자들도 대를 이을 수 있으며, 부모 곁에 있으면서 그들의 임종을 지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고족 부녀들은 유고족 사회에서 비교적 높은 지위를 차지한다. 유고족 지구에는 화장, 천장과 토장의 세 가지 장례풍속이 있다. 화장은 주로 유고족 서부지구에서 유행하였다. 일반적...
    분류 :
    돌궐어족 민족 > 유고족
  • 고흥군 高興郡
    내도출장소가 동일면으로 승격되었고, 포두면 송산리에 송산출장소를 신설했다. 이후 1998년 송산출장소와 오천출장소가 폐지되었다. 인구 1960년대 전반까지는 사회적 안정과 높은 출생률로 연평균 2.6%의 인구증가를 보였으나, 이촌향도의 심화로 1965년 25만 2,523명을 기점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1980...
    위치 :
    전라남도 남동단
    인구 :
    61,057 (2024)
    면적 :
    776.46㎢
    행정구역 :
    2개읍 14개면 2개 출장소
    사이트 :
    http://www.goheung.go.kr/open_content/main/main.html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장족의 종교 신앙과 민속문화
    정교합일의 지방정권을 세웠다. 13세기 중기 원나라에 힘입어 살가파 위주의 장전불교 상위층인 라마가 서장의 지방정권을 장악하였으며 ‘정교합일’의 사회정치제도를 형성하였다. 1409년 황교의 시조 객파가 갈당파의 교의를 기초로 각 유파의 경법을 통독하고 격로파를 창립하였다. ‘격로’는 장어로 ‘착한 법규...
    분류 :
    장면어족 민족 > 장족
  • 향토문화제 향토 예술제, 鄕土文化祭
    운동 대회 같은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의의와 평가 지역 축제는 지역 민속 문화와 전통 문화의 순수성이나 고유성을 계승하고 발전시킴과 아울러 지역 주민들...및 지역민의 정체성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지역 축제는 이러한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속성과 함께 축제성을 지니고 있는데, 축제성은 제의성과...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민속·인류
  • 성주 한개마을 대산동, 星州 한개마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한개마을은 조선 세종 때 진주목사를 역임한 이우(李友)가 1450년경에 입향한 이래 560여 년을 내려오면서 성산이씨(星山李氏)가 모여 살고 있는 전통 씨족마을이다. 다수의 전통한옥이 보전되어 있으며, 경상북도 국가유산으로 지정된 건축물이 9개 동에 이른다. 역사적 변천 한개마을...
    유형 :
    유적
    분야 :
    생활/주생활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