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허목 조선 후기의 문신
    남인으로 17세기 후반 2차례의 예송(禮訟)을 이끌었으며 군주권 강화를 통한 정치·사회 개혁을 주장했다.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화보(和甫)·문보(文父), 호는 미수(眉叟)·대령노인(臺嶺老人). 아버지는 현감 교(喬)이며, 어머니는 임제의 딸이다. 1615년(광해군 7) 정언옹(鄭彦)글을 배우고, 1617년 현감으로 부임...
    출생 :
    1595(선조 28)
    사망 :
    1682(숙종 8)
    국적 :
    조선, 한국
    본관 :
    양천(陽川, 지금의 서울 강서구와 양천구)
    자 :
    문보(文甫), 화보(和甫)
    호 :
    미수(眉叟)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권율 행주대첩으로 조선 육군의 위용을 세우다
    승리를 이끌어낼 줄 아는 지휘관, 권율 200년의 평화 끝에 만난 임진왜란이라는 초유(初有)의 국난에 조선은 맥없이 무너졌다. 일본이 부산진을 공격하고 북상한 지 한 달여 만에 한양을 점령했고, 선조와 조정은 개성, 평양을 거쳐 의주까지 도망친 상태였다. 전란 초기 조선 육군은 그야말로 허수아비나 다름없었다...
    시대 :
    조선
    출생 :
    1537년(중종 32)
    사망 :
    1599년(선조 32)
    본관 :
    안동(安東)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정약용 다산, 丁若鏞
    조선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 정약용은 윤휴, 유형원, 허목, 이익, 권철신, 이벽 등에게 영향을 받은 남인 학자로 무너져 가는 조선왕조의 난맥상을 지적하고 이를 개혁하고자 한 인물이다. 그의 개혁 사상은 ‘낡은 나라를 새롭게 하자.’라는 문구로 집약할 수 있다. 그는 백성들의 곤궁한 생활을 개선하고 독선적인...
    출생 :
    1762년
    사망 :
    1836년
  • 김종직 조선 초기의 문신
    개요 재지사림(在地士林)의 주도로 성리학적 정치질서를 확립하려 했던 사림파의 사조(師祖)이다. 세조의 즉위를 비판하여 지은 〈조의제문〉이 무오사화를 불러일으켰다. 출신 본관은 선산. 자는 계온(季昷)·효관(孝盥), 호는 점필재. 아버지는 성균사예(成均司藝)를 지낸 숙자(叔滋)이며,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
    출생 :
    1431(세종 13), 경남 밀양
    사망 :
    1492(성종 23)
    국적 :
    조선, 한국
    본관 :
    선산(善山)
    시호 :
    문충(文忠)
    호 :
    점필재(佔畢齋)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김학진 농민 편에 선 당찬 전라감사
    격전지인 전라감사에 임명되다 동학농민군이 본격적으로 봉기해 황토현 · 장성전투에서 승리를 하고 전라감영으로 치올라가자, 조정은 어찌할 줄 몰랐다. 우선 그 책임을 당시 전라감사인 김문현에게 물어 파직시키고, 그 후임자로 참신한 인물을 물색했다. 민씨 세력이 아니면서 청렴하고 명망 있는 인물을 새 감사로...
    출생 :
    1838년
    사망 :
    1917년
  • 강감찬 귀주대첩으로 고려를 구하다
    고려를 지킨 명장, 강감찬 우리 역사에서 '3대 대첩(大捷)'을 꼽는다면, 두말 할 것도 없이 을지문덕의 살수대첩과 이순신의 한산대첩(閑山大捷), 그리고 강감찬(姜邯贊)의 귀주대첩(龜州大捷)을 든다. 그중 고려 시대 거란의 수십만 대군을 맞아 귀주에서 섬멸한 귀주대첩을 이끈 장군이 바로 강감찬이다. 강감찬은...
    시대 :
    고려
    출생 :
    948년(정종 3)
    사망 :
    1032년(덕종 1)
    도서 명장열전 | 태그 역사인물 , 한국사
  • 정몽주 달가(達可), 鄭夢周
    개설 본관은 영일(迎日). 출생지는 영천(永川). 초명은 정몽란(鄭夢蘭) 또는 정몽룡(鄭夢龍), 자는 달가(達可), 호는 포은(圃隱).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 정습명(鄭襲明)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정운관(鄭云瓘)이다. 어머니 이씨(李氏)가 난초화분을 품에 안고 있다가 땅에 떨어뜨리는 꿈을 꾸고 낳았기 때문에 초명...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박규수 환경(桓卿), 환경(瓛卿). 정경(鼎卿), 朴珪壽
    개설 본관은 반남(潘南). 초명은 박규학(朴珪鶴), 초자(初字)는 환경(桓卿), 자는 환경(瓛卿) 또는 정경(鼎卿), 초호(初號)는 환재(桓齋), 호는 환재(瓛齋) 또는 환재거사(瓛齋居士). 서울 출신. 북학파 거두 박지원(朴趾源)의 손자로, 현령 박종채(朴宗采)의 장남이며, 어머니는 유영(柳詠)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시대 :
    근대
    출생 :
    1807년(순조 7)
    사망 :
    1877년(고종 14)
    경력 :
    사간원 정언, 사헌부장령, 성균관대사성, 이조참판, 공조판서, 평안도관찰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애로호 사건, 제너럴셔먼호 사건
    직업 :
    실학자, 개화론자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반남(潘南)
  • 박세당 계긍(季肯), 朴世堂
    개설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계긍(季肯), 호는 잠수(潛叟) · 서계초수(西溪樵叟) · 서계(西溪). 박응천(朴應川)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참찬 박동선(朴東善)이고, 아버지는 이조참판 박정(朴炡)이며, 어머니는 양주윤씨(楊州尹氏)로 관찰사 윤안국(尹安國)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4살 때 아버지가 죽고 편모...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김부식 입지(立之), 金富軾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입지(立之). 호는 뇌천(雷川). 얼굴이 검고 우람하였으며 고금의 학식에 있어 김부식을 당할 사람이 없었다. 신라 무열왕(武烈王)의 후손으로 신라가 망할 무렵 증조부인 김위영(金魏英)이 고려 태조(太祖)에게 귀의해 경주지방의 행정을 담당하는 주장(州長)에 임명되었다. 그 뒤 김부식...
    시대 :
    고려
    출생 :
    1075년(문종 29)
    사망 :
    1151년(의종 5)
    경력 :
    직한림, 추밀원부사, 중서시랑평장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학자, 문인
    대표작 :
    삼국사기, 예종실록, 인종실록
    성별 :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본관 :
    경주(慶州)
  • 이완용 경덕(敬德), 李完用
    개설 본관은 우봉(牛峰)이고, 자는 경덕(敬德)이며, 호는 일당(一堂)이다. 조선 말기 고위 관료를 지내고 국권을 일제에 넘긴 ‘을사5적’ 중 거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58년 6월 7일 경기도 광주군 낙생면 백현리에서 가난한 선비 이호석(李鎬奭)의 아들로 태어났다. 집안이 대대로 노론 계열에 속하였으며, 호석의...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조광조 효직, 趙光祖
    개설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효직(孝直), 호는 정암(靜菴). 한성 출생. 개국공신 조온(趙溫)의 5대 손이며, 조육(趙育)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조충손(趙衷孫)이고, 아버지는 감찰 조원강(趙元綱)이다. 어머니는 여흥 민씨(驪興閔氏)로 민의(閔誼)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세 때 어천찰방(魚川察訪)으로 부임...
    시대 :
    조선
    출생 :
    1482년(성종 13)
    사망 :
    1519년(중종 14)
    경력 :
    부제학, 대사헌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기묘사화
    직업 :
    문신
    대표작 :
    정암집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한양(漢陽, 지금의 서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0건

문신
문신
문신
닭장 / 문신
문신미술관
문신(1923~1995) 동상
문신을 한 타이티 인
문신, 〈개미〉
문신 지우기
헤나 문신
문신미술관 입구
문신강제절목
문신강제절목
문신강제절목 / 김종수
문신강제절목 / 김종수
문신강제절목 / 김종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