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화초 시리즈 (제5집) 동백색깔은 홍색 혹은 자색이며, 아주 드물게 흰색의 꽃도 핀다. 꽃이 매우 아름다워 원예가들이 관상목으로 즐겨 재배하고 있으며, 꽃이 필 때는 꿀이 많아 동박새 등이 날아와서 조매화(鳥媒花)의 한 예가 된다. 열매로 짠 기름을 동백기름이라 하여 예부터 여인들의 머릿기름으로 사용하여 왔으며, 지금은 공업용으로...
- 발행일 :
- 1975.11.15
- 발행량 :
- 3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20원
- 디자인 :
- 동백
- 우표번호 :
- 990
- 인면 :
- 23×3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10×5
- 용지 :
- 백색 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아 4도색
- 디자이너 :
- 김성실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화초 시리즈 (제5집) 용담색깔은 홍색 혹은 자색이며, 아주 드물게 흰색의 꽃도 핀다. 꽃이 매우 아름다워 원예가들이 관상목으로 즐겨 재배하고 있으며, 꽃이 필 때는 꿀이 많아 동박새 등이 날아와서 조매화(鳥媒花)의 한 예가 된다. 열매로 짠 기름을 동백기름이라 하여 예부터 여인들의 머릿기름으로 사용하여 왔으며, 지금은 공업용으로...
- 발행일 :
- 1975.11.15
- 발행량 :
- 3000000
- 종수 :
- 2
- 액면가격 :
- 20원
- 디자인 :
- 용담
- 우표번호 :
- 991
- 인면 :
- 23×33
- 천공 :
- 13
- 전지구성 :
- 10×5
- 용지 :
- 백색 무투문지
- 인쇄 및 색수 :
- 그라비아 4도색
- 디자이너 :
- 김성실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
거차군도 구초도, 巨次群島있다. 1월 평균기온 2℃, 8월 평균기온 26℃, 연강수량 1,010㎜, 연강설량은 15㎜이다. 난류의 영향으로 후박나무 등 난대림이 우점하고 있으며, 칼새 · 동박새 등 희귀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이러한 해안과 해양조건의 영향으로 벵어돔, 감성돔 등의 낚시터로도 유명하다. 변천과 현황 거차군도는 진도의 남단에서...
- 유형 :
- 지명/자연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야생조류의 성 구별 Sexing오리류, 큰유리새, 딱새 등은 외형상 명확하게 성 구별이 가능하지만, 갈매기류, 동박새, 솔새류는 외형상 성 구별이 불가능하다. 성 구별은 흔히 깃 색을 분석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붉은양진이, 긴꼬리딱새, 흰꼬리딱새 등은 암수가 명확하게 구별되지만, 그해 태어난 어린 개체의 경우 가을 이동시기에 성...
-
가덕도 동백군생지 加德島 冬栢郡生地있다. 가덕도에는 동백나무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전한다. 마음씨 나쁜 왕이 착한 동생과 조카를 죽이려 하자 동생은 동백나무로 변하고 조카는 동박새로 변하였는데, 그들은 서로의 정을 잊을 수 없어 동박새는 동백나무의 꽃을 찾아 꽃가루받이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생물학적 특성] 가덕도 동백군...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강서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동백나무 冬柏나무의해 꽃가루받이[종자식물에서 수술의 화분(花粉)이 암술머리에 옮겨 붙는 일]를 하는데, 동백나무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벌과 나비가 아닌 새[동박새]의 힘을 빌려 꽃가루가 운반되는 조매화(鳥媒花)에 속한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부산광역시는 1970년 3월 1일 시화로 동백꽃을, 7월 1일 시목으로...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