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새에 의해 수분(受粉)이 이루어지는 꽃.
꽃가루는 아주 조그만 먼지처럼 보이는데, 하나하나의 꽃가루는 아주 작은 알갱이로 여러 가지 모습과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씨를 만드는 식물의 수꽃에 달리는 꽃밥에서 만들어진다. 열대 지방에서는 새가 중요한 꽃가루받이 매개자 중 하나이다. 많은 새가 꽃에서 만들어진 화밀과 꽃가루를 먹고 살도록 적응하고 있는데, 이들은 가느다란 부리와 솔 또는 긴 통처럼 생긴 혀를 지니고 있다. 새들은 먹이를 찾기 위해 매우 발달된 시각 기관을 갖고 있다. 새에 의해 꽃가루받이가 일어나는 꽃들은 종종 강렬한 색을 띠기도 한다. 이런 꽃들은 곤충에 의해 꽃가루받이가 일어나는 꽃들과는 달리 향기가 없고 크고 단단하게 붙어 있으며 보다 많은 화밀을 만든다. 수술은 수가 많고 삐져나와 있어 새들이 화밀을 먹을 때 쉽게 새들의 몸에 달라붙는다. 동백나무와 바나나 꽃이 대표적으로, 동백나무의 경우 꽃 밑에서 화밀이 많이 나오는데, 동박새가 이것을 먹는 동안 꽃가루받이가 일어나는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